[include(틀: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과거 참가 구단)] ---- ||<-2> [[파일:상무 아이스하키단 로고.svg|height=180]] || ||<-2> {{{#2c292a {{{+1 '''상무 아이스하키단'''}}}}}} || ||<-2><#2c292a> {{{#ffffff {{{+1 '''Sangmu Ice Hockey Club'''}}}}}} || || '''정식 명칭''' ||국군체육부대 아이스하키단 || || '''영문 명칭''' ||Korea Armed Forces Athletic Corps Ice Hockey Club || || '''창단''' ||[[1987년]] || || '''해체''' ||[[2000년]] || || '''창단''' ||[[2012년]] || || '''해체''' ||[[2019년]][* 리그 탈퇴는 [[2016년]], 해체 발표(예고)는 [[2018년]]이었다.] || || '''연고지 변천''' ||[[서울특별시]] (2013~2015)[br][[인천광역시]] (2015~2016)[br]'''[[경상북도]] [[문경시]]''' (2016~2019) || || '''홈구장 변천''' ||[[목동아이스링크]] (2013~2015)[br][[선학국제빙상경기장]] (2015~2016)[br]'''[[태릉선수촌]] 실내빙상장''' (2016~2019) || || '''구단명 변천''' ||대명 상무 (2013~2016)[br]'''상무 아이스하키단''' (2016~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과거 [[국군체육부대]] 산하의 [[아이스하키]] 선수단. == 역사 == [[1987년]]에 창단했다가 [[2000년]]에 해체했다. [[아이스하키]] 진흥을 위해서 [[2012년]]에 재창단했다. 신생 구단으로 알려졌으나 [[1980년대]]~[[1990년대]] 초반에 아이스하키단을 운영한 적이 있었으므로 신생 구단은 아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상무 구단의 특성상 성적의 기복이 심한 편이었다. [[대명그룹]]의 후원으로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했고 참가 첫 해에는 '''선수 22인 전원이 국가대표 출신'''인 엄청난 곳이었으나[* 유일하게 포스트 시즌에 진출한 시즌이다.] 그 이후로는... [[2015년]]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인천 [[선학국제빙상경기장]]으로 홈구장을 옮겼다. 2015-16 시즌을 끝으로 대명그룹이 새로 [[대명 킬러웨일즈|아이스하키단을 창단]]하면서 후원 기업이 없어진 상태로 이후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아시아리그]]에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국군체육부대]]가 [[경북]] [[문경시|문경]]에 있기 때문에 [[2017년]]과 [[2018년]]의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는 '''경북 대표'''로 출전했다. 정작 국군체육부대에는 빙상 시설이 없고 가까운 [[진천선수촌]]의 빙상 시설은 당시 완비되지 않아서 훈련할 때마다 170km 가량 떨어져 있는 [[태릉선수촌]]까지 가서 훈련했다고(...) 그러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평창올림픽을 위해 만들어진 구단인 것을 대놓고 드러내며 더 이상 선수를 뽑지 않겠다고 발표해 한국 아이스하키계에 비상이 걸렸다. 상무를 폐지하면 선수들은 전부 [[현역]]으로 [[입대]]해야 하기 때문이다. [[http://www.osen.co.kr/article/G1111032572|관련 뉴스]][* 아이스하키 뿐만 아니라 빙상, [[루지]], [[스키]],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종목은 '''대놓고''' 평창올림픽 대비를 위한 한시적 운영이라고 밝혔다. 그렇다고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기도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점은 아시안 게임은 금메달만 병역 특례가 주어지기 때문에 당연히 금메달을 따야 하는데 2017년 처음으로 은메달을 땄을 정도고 메달 도둑으로 불리는 [[카자흐스탄]]에 매번 밀려 경기 수가 많지 않는데도 금메달을 딴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아시안 게임이라고 하면 대부분은 하계 아시안 게임만 생각할 수준으로 유명한데 반해 동계 아시안 게임은 인지도도 낮기까지 해서 2017년을 이후로 원래대로라면 2021년이 다음 게임이었지만 유치를 희망하는 나라가 없어서 무산됐고 같은 이유로 2025년 게임도 개최하지 않는다고 알려졌으나 후에 [[하얼빈시]]에서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기로 했다. 또한 당장은 어렵다면 차차기 아시안 게임인 [[2029 네옴시티 동계 아시안 게임]]까지 기다려야 한다. 당장 2023년 현재 23세인 선수도 그때 가면 29세가 된다.] [[2019년]] 전국동계체육대회에는 불참했다. 2018년 참가 당시의 선수단으도 3라인을 못 채울 정도의 규모였는데, 2018년부터 선발 없이 기존 선수들이 전역하면서 더이상 정상적인 시합이 불가능해진 것이 불참 원인으로 보인다. 아시아리그 참가 당시 표 가격이 6,000원이었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상무 아이스하키단 역대 감독)] ---- ||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초대 || [[변석욱]] || 2013~2014 || 창단 감독 || || 2대 || [[배영호(아이스하키)|배영호]] || 2014~2016 || || || 3대 || [[심의식]] || 2016~2019 || 최종 감독 || == 역대 성적 == ||­ || 우승 || || ­|| 준우승 || || ­|| 플레이오프 진출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시즌 || 순위/구단 수 || 플레이오프 || 경기 수 || 승점 || || 2013-14 || 2/8 || 준결승 탈락 || 42 || 78 || || 2014-15 || 7/9 || 진출 실패 || 48 || 58 || || 2015-16 || 8/9 || 진출 실패 || 48 || 36 || === 개인 기록 및 수상 === 2013-14 시즌 아시아리그 베스트 6: FW #36 [[박우상]], DF #61 [[이돈구(아이스하키)|이돈구]] == 둘러보기 == [include(틀:국군체육부대)] [[분류:상무 아이스하키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