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상록수역'''}}}[br](안산대학교) || ||<-3>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 || [[당고개역|{{{#585858 {{{#!html
당고개 방면}}}}}}]][[반월역|반 월]][br]← 3.7㎞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html
4호선
(448)}}}}}}]] || [[오이도역|{{{#585858 {{{#!html
오이도 방면}}}}}}]][[한대앞역|한대앞]][br]1.5㎞ → || || [[당고개역|{{{#585858 {{{#!html
당고개 방면}}}}}}]][[산본역|산 본]][br]← 9.4㎞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html
4호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em" '''급행'''}}} || [[오이도역|{{{#585858 {{{#!html
오이도 방면}}}}}}]][[중앙역(안산)|중 앙]][br]3.1㎞ → || ||<-3>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C.svg|width=31]]]] || || --[[덕정역|{{{#585858 {{{#!html
덕정 방면}}}}}}]][[금정역|금 정]]--[br]← 11.7㎞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fff {{{#!html
GTX-C}}}}}}]](미개통) || {{{#585858 {{{#!html
시종착}}}}}} ||}}}}}} || ||<-3>[include(틀:지도, 장소=상록수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ngnoksu[* Sangroksu가 아닌 이유는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음운 변동]]이 일어난 결과를 그대로 표기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즉 '상록수'가 [[비음화]]로 인해 '상녹수'로 발음되는 것을 그대로 로마자 표기에도 반영하는 것이다.] || || [[한자]] ||<-2> 常綠樹 || || [[간체자]] ||<-2> 常绿树 || || [[가나(문자)|가나]] ||<-2> [ruby(常緑樹, ruby=サンノクス)] || ||<-3> '''주소''' || ||<-3>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본오동 1177) || ||<-3>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안산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안산선]] ||<-2> 1988년 10월 25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역사|{{{#fff 안산선[br]{{{#!html
(당시 국철)}}}}}}]] ||<-2> 1988년 10월 25일[br]~2003년 4월 30일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 4호선}}}]] ||<-2> 1994년 4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금정역|{{{#585858 {{{#!html
금정 방면}}}}}}]][[반월역|반 월]][br]← 3.7㎞ || '''[[안산선]]'''[br]상록수 || [[오이도역|{{{#585858 {{{#!html
오이도 방면}}}}}}]][[한대앞역|한대앞]][br]1.5㎞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상록수역 스탬프.jpg|width=150]] || || 상록수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1988년 용신역으로 출발--[* 이 내용은 잘못되었으며 용신역은 가칭일 뿐이다.], 상록수역으로 개명''' >'''소설 속 주인공 이름에서 소설 제목으로''' >상록수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의 개통에 따라 2층의 지상역사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안산대학교 등 학교와 아파트단지, 번화가가 인접하여 1988년 전철 개통 이래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며 성장해왔다. 상록수역의 최초 명칭은 용신역으로, 상록수 소설 속의 실제 주인공 '최용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일대가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배경이자 인근에 최용신의 묘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정 인물보다 소설의 제목이 더 적합하다는 철도청의 판단에 따라 상록수역으로 명칭을 바꾸어 문학작품을 역명으로 사용한 최초의 역사가 탄생하게 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4호선]] 448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본오동 1177) 소재. == 역 정보 == ||[[파일:2022 상록수역.jpg|width=100%]]|| || 상록수역 건물 || [[안산선]] 최초 기획 당시의 명칭은 '용신역'이었다. --[[용산역]]이 아니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소설)|상록수]]의 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로 유명한 최용신의 묘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소설의 배경이 된 곳인 것을 감안하여 붙여진 이름이었다. 그러나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에서 당시에는 특정 인물명을 역명에 썼던 사례가 없었기에[* [[김유정역]]은 당시에는 소재지의 지명을 따와 신남역이었으며 2004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를 대신하여 널리 알려진 [[소설]] 이름을 쓰는 편이 더 낫다 판단하여 1988년에 오늘날의 상록수역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로써 상록수역은 문학작품을 역명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그리고 2002년 [[안산시]]가 분구될 때 이 역이 있는 지역[* 당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선거구]] 기준 안산시 갑 지역에 해당되었던 곳이다. 참고로 을 지역은 현재의 [[단원구]].]도 이 소설의 이름을 따라 [[상록구]]가 되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들 중 최남단에 있는 역이다. [[부역명]]은 [[안산대학교]]. 당고개행 완행 열차가 이 역 4번 [[플랫폼]]에서, 안산/오이도행 완행 열차는 이 역 1번 플랫폼에서 대피한다. 안산선에서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 가동된 역이다. 다만, 본선 쪽에만 설치되어 있다. 부본선은 급행열차 대피를 제외하면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고 문제가 되지 않아서 아예 설치를 안 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로 인해 스크린도어를 개방했던 적이 있다. 부본선은 2023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예정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44785|#]] 2013년 연말에 게이트 교체 작업이 진행되면서 삼발이 게이트가 사라지게 되었다. 새로운 게이트는 출입구 기준으로 기존의 게이트보다 좀 더 앞쪽에 위치한다. 본래 출구가 1번과 2번으로 두 개였으나, 2015년 11월 출입구 신설 공사를 시작하여 새로운 출입구가 2017년 1월 말에 개통되었다. 현재의 3번 및 4번 출입구로, 새로운 출입구는 상가 밀집지역 건너(주차장 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대합실의 규모가 2배 이상 넓어졌으며 [[화장실]]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 기존 화장실이 게이트 외부에 존재하는 것에 반해 새 화장실은 게이트 내부에 존재한다.] 이제 [[안산 버스 52|52번]]에서 내려서 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새로운 출입구 측에 상점이 하나도 없는 게 문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안산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상록수 역명만 방송한다. 세계 최초로 [[태양광 전지]]패널 방음벽이 운영 중이다. 개통 초기에는 승강장에 지붕이 없었다. 대합실에서 올라오는 계단 부분에만 지붕이 있었다. 4호선 직통 직후에도 그렇게 운영되어오다 1996년에 [[MBC]]에서 두들겨맞고는 1998년에 승강장 지붕을 설치했으며, 2003년경에 승강장 지붕을 철거하고 현재와 같이 승강장과 선로 전체를 덮어버리는 지붕을 설치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1996/nwdesk/article/2010437_30711.html|1996년 비오는 날의 상록수역을 다룬 뉴스]] 철도청 시절 1호선이 운행했으나 이후 4호선으로 편입되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2021년 1월 24일, [[중앙일보]]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이 이 역까지 연장 운행할 예정이라고 단독 보도했다. 이는 금정~수원 사이 경부선 철도의 용량이 부족한 탓에 GTX 열차의 25%가량을 안산선으로 빼낸 뒤 상록수역에서 되돌려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장창석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팀장은 이에 대해 "경부선 용량 부족 등을 고려해 안산선의 상록수역을 회차 지점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사업 참여를 준비 중인 민간업체들에서도 여러 고려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5&aid=0003072095|#]] 2021년 5월 26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에 입찰한 3개 컨소시엄 중 포스코건설 컨소시엄만 상록수역 정차안을 제안서에 넣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록수역 인근 주민의 질의에서 안산시는 의왕이나 인덕원, 왕십리와 상록수는 완벽히 별개의 경우로 경쟁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가능성은 있으며, 안산시도 다른 지자체들처럼 컨소시엄들과의 협상에서 신설비용 부담 의사를 타진했다는 응답을 보내 왔지만, 기술적으로 산본역 회차가 가능한 상황에서 상록수역까지 연장하면 배차관리가 어려워지는 데 비해 이익은 크지 않다고 판단한 듯하다. 하지만 2022년 2월 24일,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23379|국토교통부가 상록수역 포함 4개 추가역을 실시협약안에 반영해서]] 상록수역까지의 연장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2023년 8월 상록수역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노선의 추가 정차역으로 확정됐다. 안산시는 국토교통부와 사업시행자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씨노선 주식회사'(가칭)과 실시협약을 체결했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17885| ]] 원인자 부담에 따라 안산시가 투입될 예산은 2천648억 원으로 추산된다. 공사 기간인 5년간 추가정차역 건설비 489억 원, 차량구입비 393억 원을 각각 투입하고 운영비는 연평균 약 44억 원씩 향후 40년간 투입할 예정이다. GTX-C 상록수역이 준공되면 안산에서 서울 강남지역까지 30분대에 이동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인구 유입, 기업 유치 활성화, 수도권 철도와의 연계 및 환승 등을 통해 도시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이 역의 부역명으로도 쓰이는 [[안산대학교]](구 안산1대학)가 있으며, 역 남쪽으로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같이 있는 거주지역인 본오동이 있어 이 쪽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걸어서 5분 거리에 [[안산 OK금융그룹 읏맨]]의 홈구장인 [[상록수체육관]], [[동안산세무서]]가 있다. 또, 15~20분 걷거나, 버스를 이용하여 호동초등학교 앞이나 굴다리 앞에서 하차하면 '안산식물원'이 있다. [[화성시]] [[남양읍]]에서는 같은 화성시에 있는 [[병점역]]보다 상록수역이 더 가깝다. [[안산, 화성 버스 310]] 노선이 생기면서 상록수역까지 올 수 있는 방법도 생기게 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8년 || 1,552명|| || || 1989년 || 3,823명|| || || 1990년 || 9,265명|| || || 1991년 || 16,479명|| || || 1992년 || 19,125명|| || || 1993년 || 22,568명|| || || 1994년 || 26,891명|| || || 1995년 || 36,079명|| || || 1996년 || 40,312명|| || || 1997년 || 44,678명|| || || 1998년 || 44,658명|| || || 1999년 || 41,597명|| || || 2000년 || 38,017명|| {{{#fff,#1f2023 비고}}} || || 2001년 || 40,462명|| || || 2002년 || 44,774명|| || || 2003년 || {{{#00a4e3 49,222명}}}|| || || 2004년 || 36,130명||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35,632명|| || || 2006년 || 35,529명|| || || 2007년 || 36,748명|| || || 2008년 || 38,785명|| || || 2009년 || 38,841명|| ||}}}}}}}}} || || 2010년 || 40,207명|| || || 2011년 || 42,136명|| || || 2012년 || 43,032명|| || || 2013년 || 44,012명|| || || 2014년 || 44,078명|| || || 2015년 || 43,148명|| || || 2016년 || 42,673명|| || || 2017년 || 42,032명|| || || 2018년 || 41,339명|| || || 2019년 || 41,030명|| || || 2020년 || 28,920명|| || || 2021년 || 26,956명|| || || 2022년 || 29,310명|| || ||<-3>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자체적인 역세권도 꽤 발달한 편이지만, [[본오동]]과 [[사동(안산)|사동]] 남부 그리고 [[수인로]] 인근 주민들이 버스로 가장 쉽게 넘어올 수 있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다. 그리하여 2000년대에는 하루 3만 명대 중후반, 2010년대에는 4만 명대 초중반의 이용객이 타고 내렸다. 열차를 타려는 유동인구가 많기 때문에 상록수역의 상권은 안산에서 알짜로 통하는 상권이다. 안산 상권의 중앙역 쏠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전구간 개통으로 인한 [[사리역]]으로의 이용객 분산 및 수원-안산 버스 이용객 저하로 인해 중앙역에게 안산선 승객수 1위 자리를 내주고 승하차량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나 중앙역에 열차가 더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혼잡도는 아직 상록수역이 더 높다. == 승강장 == [[파일:상록수역 승강장 2021.jpg|width=500]] [[:파일:상록수역 승강장.jpg|이전 승강장 보기]] ||<-8> ↑ [[반월역|반월]]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8> [[한대앞역|한대앞]] ↓ || || {{{#ffffff 1}}} ||<|4>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중앙역(안산)|중앙]]·[[초지역|초지]]·[[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급행]|| || {{{#ffffff 2}}} ||[[중앙역(안산)|중앙]]·[[초지역|초지]]·[[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일반]|| || {{{#ffffff 3}}}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서울역]]·[[당고개역|당고개]] 방면[*일반]|| || {{{#ffffff 4}}}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서울역]]·[[당고개역|당고개]] 방면[*급행]|| 이 역은 한대앞 방면으로 2퍼밀 내리막이 있다. 이 역과 [[반월역]]의 역간거리는 3.7㎞로, 4호선의 코레일 구간 중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구간이다. 1·4번 승강장의 경우 2023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예정이다. 해당 승강장이 존재하는 이유는 이 역이 급행 정차역이기 때문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44785|#]] == 연계 교통 == 상록수역 앞에는 버스 정류장만 '''6곳'''이 있기 때문에 이 곳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이 아닌 이상은 어디서 어떤 버스를 타야 하는지 헷갈릴 것이다. 더욱이 기존에는 정류장 이름이 상록수역, 상록수역앞으로 통일되어있어 혼동의 여지가 많았으나, 2022년 3월 선상역사 밑 정류장을 '''2번출구/건너편''', 상록수로 정류장을 '''3번출구/건너편'''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큰길(용신로)상의 정류장 명칭은 그대로 '''상록수역앞'''으로 유지하여 정류장 명칭을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일동/본오동 방면 시내버스는 주로 2번출구 정류장, 52번이나 101번과 상록수역이 종점인 노선들은 3번출구 정류장을 이용하다. 그리고 301번을 제외한 직행좌석버스, 시외버스 등 '''대부분의 버스노선들은 큰길가(용신로)에 있는 상록수역앞''' 정류장에 정차한다. 짧게 요약해서 2번출구/3번출구 정류장에 없으면 일단 큰길가로 나오면 된다. 세부 노선은 하단 항목 참조. === 상록수역2번출구/건너편 [1, 2번 출구 방면 정류장 (석삼말로)]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12> 상록수역[br]2번출구[br](17247) || [[화성 버스 11|{{{#3c9 11}}}]] ||본오동·팔곡동·반월동·당수동·입북동·서수원터미널·[[수원역]]·팔달문·상현역·광교신도시 방면|| || [[시흥 버스 21|{{{#3c9 21}}}]] ||상록수역앞·태영A 방면|| || [[시흥 버스 23|{{{#3c9 23}}}]] ||본오동차고지 방면|| || [[안산 버스 60|{{{#ff6c00 60A}}}]] ||본오동·감골운동장·한양대입구·고잔고·[[중앙역(안산)|중앙역]] 방면|| || [[안산 버스 71|{{{#3c9 71}}}]] ||본오동·사동·[[중앙역(안산)|중앙역]]·호수동·초지동·원곡동·[[시우역]]·반월공단([[원시역]]) 방면|| || [[안산 버스 71-1|{{{#3c9 71-1}}}]] ||본오동·사동·U정보센터·[[중앙역(안산)|중앙역]]·호수동·초지동·원곡동·[[시우역]]·반월공단([[원시역]]) 방면|| || [[안산 버스 76|{{{#3c9 76}}}]] ||본오교회 방면|| || [[안산 버스 80|{{{#3a32c3 80A}}}]] ||본오동·사리역·명휘원·그랑시티자이·안산갈대습지 방면|| || [[안산 버스 99-1|{{{#3c9 99-1}}}]] ||본오동차고지 방면|| || [[안산 버스 125|{{{#3c9 125}}}]] ||본오교회 방면|| || [[안산, 화성 버스 310|{{{#3c9 310}}}]] ||본오동·팔곡동·매송면(야목리)·비봉면·남양읍·[[화성시]]청 방면|| || [[안산 버스 301|{{{#f00 301}}}]] ||사동·본오A 방면|| ||<|13> 상록수역[br]2번출구'''건너편'''[br](17246) || [[화성 버스 11|{{{#3c9 11}}}]] ||일동·[[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원시역]]) 방면|| || [[시흥 버스 21|{{{#3c9 21}}}]] ||일동·부곡동·월피동·서울예술대·와동·선부동·원곡동·[[안산역]]·정왕동·오이도 방면|| || [[시흥 버스 23|{{{#3c9 23}}}]] ||일동·[[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홈플러스·시청·원곡동·[[안산역]]·정왕동·[[오이도역]]·월곶지구·[[월곶역]] 방면|| || [[안산 버스 60|{{{#ff6c00 60B}}}]] ||일동·부곡동·월피동·성포동·안산터미널·[[중앙역(안산)|중앙역]] 방면|| || [[안산 버스 66|{{{#3c9 66}}}]] ||일동·[[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원시역]]) 방면|| || [[안산 버스 71|{{{#3c9 71}}}]] ||안산대·일동·중앙병원 방면|| || [[안산 버스 71-1|{{{#3c9 71-1}}}]] ||안산대 방면|| || [[안산 버스 76|{{{#3c9 76}}}]] ||일동·[[한대앞역]]·이동·[[중앙역(안산)|중앙역]]·호수동·초지동·원곡동·[[안산역]]·신길동·군자동·거모동 방면|| || [[안산 버스 80|{{{#3a32c3 80B}}}]] ||일동·[[한대앞역]]·[[중앙역(안산)|중앙역]]·안산문화광장·호수공원·그랑시티자이·안산갈대습지 방면|| || [[안산 버스 99-1|{{{#3c9 99-1}}}]] ||일동·부곡동·월피동·성포동·고잔동·[[중앙역(안산)|중앙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고잔역]]·호수동·초지동·푸르지오6차·그랑시티자이·송산그린시티 방면|| || [[안산 버스 125|{{{#3c9 125}}}]] ||일동·[[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고잔동·선부동·원곡동·[[안산역]]·시화A(정왕동) 방면|| || [[안산, 화성 버스 310|{{{#3c9 310}}}]] ||안산대 방면|| || [[안산 버스 301|{{{#f00 301}}}]] ||안산대·일동·부곡동·수암동·목감동·논곡동·[[광명사거리역]]·[[개봉역]]·[[구로역]]·[[신도림역]]·영등포역·[[여의도]]환승센터 방면|| === 3번 출구 방면 정류장 === ==== 상록수역 회차 노선 (상록수로, 용신로 둘 다 경유) ==== 하단의 버스들은 시간표상의 시간 전에 도착 시 상록수역(3번 출구 건너편, 상록수로) 정류장에서 대기하다 출발한다.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4> 상록수역[br]3번출구'''건너편'''[br](17224)[br]상록수역앞[br](17222)[br]{{{#c0c0c0 용신로}}} || [[안산 버스 10-1|{{{#3c9 10-1}}}]] ||한양대입구·한양대·푸르지오6차 방면|| || [[안산 버스 16|{{{#3c9 16}}}]] ||태영A·[[사리역]]·동산고·그랑시티자이·송산그린시티 방면|| || [[안산 버스 80C|{{{#3c9 80C}}}]] ||[[한대앞역]]·[[중앙역(안산)|중앙역]]·호수공원·그랑시티자이·본오A 방면|| || [[안산 버스 90|{{{#3c9 90}}}]] ||태영A·[[사리역]]·본오동·도금단지·[[반월역]] 방면|| ==== 상록수역3번출구/건너편 [상록수로 정류장(역 앞)]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2> 상록수역[br]3번출구[br](17226) || [[안산 버스 52|{{{#3c9 52}}}]] ||[[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경원여객종점 방면|| || [[안산 버스 101|{{{#3c9 101}}}]] ||[[한대앞역]]·시외버스터미널·시청·고잔동·와동·선부동·[[초지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원시역]])·경원여객종점 방면|| ||<|2> 상록수역[br]3번출구'''건너편'''[br](17224) || [[안산 버스 52|{{{#3c9 52}}}]] ||사동·본오A 방면|| || [[안산 버스 101|{{{#3c9 101}}}]] ||본오동·이호중학교 방면|| ==== 상록수역앞 [용신로(큰길가) 정류장 (1, 3번 출구 이용 후 도보)]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17> 상록수역앞[br](17225)[br]{{{#c0c0c0 용신로}}} || [[시흥 버스 21|{{{#3c9 21}}}]] ||태영A 방면|| || [[안산 버스 22|{{{#3c9 22}}}]] ||한양대입구·고잔고·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정왕동·시화공단 방면|| || [[안산 버스 55|{{{#3c9 55}}}]] ||한양대입구·고잔고·호수동·[[초지역]]·원곡동·[[안산역]]·정왕동·오이도 방면|| || [[안산 버스 99|{{{#3c9 99}}}]] ||한양대입구·시외버스터미널·시청·라성호텔·[[안산역]]·정왕동·오이도 방면|| || [[안산 버스 110|{{{#f00 110}}}]] ||한양대입구·스타프라자·시청·고잔동·와동·선부동 방면|| || [[안산 버스 707|{{{#f00 707}}}]] ||한양대입구·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반월공단 방면|| || [[안산 버스 707-1|{{{#f00 707-1}}}]] ||한양대입구·고잔동·초지동·신안산대학교 방면|| || [[안산 버스 3100|{{{#f00 3100}}}]] ||<|2>한양대입구·한양대·호수동·초지동·신안산대·[[원시역]] 방면|| || [[안산 버스 3101|{{{#f00 3101}}}]] || || [[화성 버스 3102|{{{#f00 3102}}}]] ||한양대입구·한양대·푸르지오6차·송산그린시티 방면|| || [[수원 버스 9090|{{{#f00 9090}}}]] ||한양대입구·시외버스터미널·시청·원곡동·[[안산역]] 방면|| || [[시외버스 700|{{{#70f 700}}}]] ||한양대입구·스타프라자·안산시청·라성호텔·[[안산역]]·시화이마트·시화A 방면|| || [[시외버스 700|{{{#70f 700-1}}}]] ||한양대입구·스타프라자·안산시청·라성호텔·[[안산역]] 방면|| || [[시외버스 8147|{{{#70f 8147}}}]] ||<|3>[[안산종합버스터미널]] 방면|| || [[시외버스 8415|{{{#70f 8415}}}]] || || [[시외버스 8459|{{{#70f 8459}}}]] || || [[시외버스 8467|--{{{#70f 8467}}}--]] ||한양대입구·스타프라자·안산시청·라성호텔·[[안산역]]·시화이마트·시화터미널 방면|| ||<|17> 상록수역앞[br](17222)[br]{{{#c0c0c0 용신로 건너편}}} || [[시흥 버스 21|{{{#3c9 21}}}]] ||일동·부곡동·월피동·서울예술대·와동·선부동·원곡동·[[안산역]]·정왕동·오이도 방면|| || [[안산 버스 22|{{{#3c9 22}}}]] ||본오동·팔곡동·반월동·[[반월역]]·삼천리마을 방면|| || [[안산 버스 55|{{{#3c9 55}}}]] ||본오동차고지 방면|| || [[안산 버스 99|{{{#3c9 99}}}]] ||본오동·팔곡동·반월동·[[반월역]]·삼천리마을 방면|| || [[안산 버스 110|{{{#f00 110}}}]] ||서수원터미널·웃거리·[[수원역]] 방면|| || [[안산 버스 707|{{{#f00 707}}}]] ||[[수원역]] 방면|| || [[안산 버스 707-1|{{{#f00 707-1}}}]] ||서수원터미널·[[수원역]] 방면|| || [[안산 버스 3100|{{{#f00 3100}}}]] ||반월동·대야미·한세대·고천·[[서초역]]·[[교대역(서울)|교대역]]·[[강남역]]·[[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안산 버스 3101|{{{#f00 3101}}}]] ||반월동·대야미·[[군포역]]·군포시청([[산본역]])·[[서초역]]·[[교대역(서울)|교대역]]·[[강남역]]·[[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화성 버스 3102|{{{#f00 3102}}}]] ||대명고·[[의왕TG]]·[[서초역]]·[[교대역(서울)|교대역]]·[[강남역]]·[[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수원 버스 9090|{{{#f00 9090}}}]] ||대명고·서수원터미널·웃거리·[[수원역]] 방면|| || [[시외버스 700|{{{#70f 700}}}]] ||<|2>대명고·[[의왕TG]]·[[서초역]]·[[교대역(서울)|교대역]]·[[강남역]]·[[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시외버스 700|{{{#70f 700-1}}}]] || || [[시외버스 8147|{{{#70f 8147}}}]] ||대명고·[[의왕TG]]·[[장지역]]·[[가락시장]]·[[잠실역]]·[[동서울터미널]] 방면|| || [[시외버스 8415|{{{#70f 8415}}}]] ||원정초·평택해군기지·[[안중버스터미널]] 방면|| || [[시외버스 8459|{{{#70f 8459}}}]] ||[[안성종합버스터미널]]·동아방송대 방면|| || [[시외버스 8467|--{{{#70f 8467}}}--]] ||[[반월역]]·대야미·[[군포역]]·군포시청([[산본역]])·[[모란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터미널]] 방면|| ||<-3> '''{{{#ffffff 충청권(시외버스)}}}'''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 '''{{{#ffffff 천안}}}''' || 일 16회 || [[충남고속]][br][[한양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 '''[[안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안산발}}}]] {{{#ffffff 천안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 '''[[천안종합버스터미널|{{{#ffffff 천안}}}]]''' || 1:05 || ₩ 7,000(일반)[br]₩ 9,200({{{#00f 우등}}}) || || '''{{{#ffffff 운행시각표}}}''' ||<-2><(>06:35, {{{#00f 07:35, 08:35, 09:05}}}, 10:15, {{{#00f 11:25, 12:30, 13:05}}}, 14:15, {{{#00f 15:25, 16:30, 17:05}}}, 18:15, {{{#00f 19:25, 20:30, 21:05}}}|| ||<-3><(>[[시외버스 안산-천안]] 참조. 안산발 상록수 경유 출발 시간표. ※ 매표소 실시하지 않을 경우, 현금 및 선/후불교통카드로 승차해야 한다.[* 회사마다 결제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 승차위치: 상록수역앞 (17222) {{{#c0c0c0 용신로 건너편}}} / 하차위치: 상록수역앞 (17225) {{{#c0c0c0 용신로}}} || }}} || == 사건 사고 == * 2019년 7월 6일, 일부 [[일베충|일베 회원]]들이 이 역 근처 광장 소녀상에 침을 뱉는 사건이 일어났다. 자세한 내용은 [[안산 소녀상 침뱉기 사건]] 참조. * [[2023년 7월 11일 상록수역 단전사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열차는 산본에서 타절되었으며, 산본-상록수는 셔틀운행, 상록수-오이도간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목록)][include(틀:안산선의 역 목록)][[분류:198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분류:안산선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상록구의 도시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