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가구(혹은 개인)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그러니까 절반이 '''안 되는''') 가구(혹은 개인)의 비율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2인 가구의 중위소득이 326만 85원이라면[* [[https://129.go.kr/faq/faq02_view.jsp?n=6271|가구당 중위소득]]을 보면 22년 기준 1인 가구는 194만원, 3인 가구는 419만원, 4인 가구 512만원, 5인 가구 602만원, 6인 가구 690만원이다.] 이 절반인 163만 4원보다 적게 버는 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빈곤]]한 것이다. == 설명 == [[사회문화]]에서 고난도 저난도 가리지 않고 절대적 빈곤률과 함께 '''반드시 1문제 나온다.''' 참고로 상대적 빈곤 개인/가구 비율이 20%라면 그 [[사회]]의 상대적 빈곤층은 개인/가구소득이 하위 20%인 개인/가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주 드물게 '상대적 빈곤률'과 관련하여 __상대적 빈곤층의 소득 점유률이 상대적 [[빈곤]] 비율 미만인지__ 물을 때가 있는데, 이건 '''무조건 맞는 말이다.''' 어느 한 계층의 소득 점유율이 그 계층의 비율보다 크다면 그 계층의 평균 소득이 전 계층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이므로 그 계층은 당연히 (상대적) 빈곤층이 될 수가 없다. [각주] [[분류: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