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당구의 로)] [목차] [[상당구]]의 읍면 지역 도로. 사실 표에는 네 구 모두 일괄적으로 '읍면 지역 도로'라고 되어있기는 하나 상당구에는 읍이 존재하지 않는다. 작성할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한 번에 묶어서 작성한다. 주로 [[리(행정구역)]] 명칭 두 개를 이어붙여 만든 길 이름이 많다. [[청주시]] 시내 구간에서는 비슷한 경우에 동 이름의 한 글자(주로 앞 글자)씩만 따서 '[[사운로]](사직+운천)'식으로 짓는 것과 대비된다. 도로명이 다섯 글자씩이나 돼서 약간 번잡하다는 느낌은 들지만, '''절대로 다른 곳과 이름이 중복되지 않는다'''라는 건 꽤 강력한 점. 대개의 경우 'OO/OO로'가 있고 그 인근에 'OO길', 'OO길'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ex: 금거내암로 인근에는 금거길과 내암길이 있다) 왠지 모르게 'OO/OO로' 꼴로 붙은 도로들은 골목길에 'OO/OO1길' 식으로 숫자가 붙는 일이 '''없다'''. '문의시내1길' 과 같이 '시내'가 지명이 아닌 경우에만 그렇게 숫자가 붙는다. 또한 길이 그렇게 많이 나있지 않은 면 지역 특성상 'OO/OO로 1번길'과 같은 지선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OO/OO로'의 경우 시작점이나 끝점에 'OO삼거리'로 이름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로급 도로가 지나갈 만한 교차로면 리 이름을 붙여도 될 만큼 꽤 큰 교차로일 것이기 때문. 같은 지명이 쓰인 도로의 경우 대체로 인근에 위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묶어두었다. ★는 지명-지명 식의 이름이 아니거나 ('금관로' 등) 지명 외의 것으로 이름이 지어진 도로이다. 면 경계를 지날 경우 편의상 앞에 오는 지명에 속한 면으로 취급하였다. (ex: 은행상야길 - 은행리가 [[남일면(청주)|남일면]]이므로 남일면에 포함) === [[가덕면]] === * [[단재로]] * [[보청대로]] [[2017년]] 시점에서 가덕면은 청주시 시가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남일면이나 낭성면을 거칠 수밖에 없다. [[목련로]]와 [[은행상야로]]를 잇는 길이 완공되면 그 길을 통해 바로 시가지로 진입할 수 있다. 핵심 도로인 단재로는 [[남일면(청주)|남일면]]과의 경계를 지나고 마을들 사이는 작은 길들로 이어져 있어서 'OO-OO로' 류의 길들이 많은 편이다. 보청대로가 가덕면을 동서로 가르고 지나간다. ==== 계산은행로 (남일면) ==== * '''구간''' ||<-100> '''남쪽 시점 (인차시동로 145)'''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FDF5E6><|1> '''[[상당구]] 가덕면[br]수곡리/계산리''' || 수곡삼거리 || 0번 || '''인차시동로''' || ||<-100> '''인차교 ([[무심천]])''' || ||<#FDF5E6><|1> '''[[상당구]] 남일면[br]은행리''' || 은행삼거리 || 90번 || '''[[단재로]]''' || ||<-100> '''북쪽 종점 ([[단재로(청주)|단재로]] 1212)''' || {{{+1 桂山銀杏路 / Gyesaneunhaeng-ro }}} 무심천을 지나 가덕면과 남일면을 잇는 도로. 길이가 1km 남짓으로 굉장히 짧다. 계산은행로가 잇는 두 도로는 좀 더 남서쪽에서 [[보청대로]] 역시 둘을 이어준다. 이름은 계산은행로이지만 시작하는 부분이 계산리와 수곡리의 경계 부분이라서 교차로 이름은 '수곡삼거리'로 되어있다. 좀 더 위로 올라가면 인차리하고도 삼중점이 생긴다. 가덕면 수곡리는 한자가 '首谷'으로, 서원구 수곡동의 秀谷과는 다르다. 워낙에 멀리 있어서 두 지명이 헷갈리는 일은 없다. 간혹 [[수곡로(청주)|수곡로]]와 [[구룡산로]]의 교차점을 '수곡사거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와 헷갈릴 수도 있다. ==== 미천고은로 (남일면) ==== ||<:><-5>{{{#white '''대한민국의 일반국도·지방도'''}}}|| ||<-3><:><#EEE8AA>'''[[32번 지방도]]'''|| ||<:> '''[[대전광역시|대전]] 방면''' [br] '''[[신문로]]''' ||<:>'''미천고은로''' [br] (문의사거리 ~ 고은사거리) ||<:> '''[[문경시|문경]] 방면''' [br] '''[[단재로]]''' || * '''미천고은로''' ||<-100> '''남쪽 기점 (문의로터리)''' || ||<-3>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F4D05><|11> '''[[상당구|상[br]당[br]구]]''' ||<|7><#FF7F50> '''문[br]의[br]면''' ||<#FDF5E6><|2> '''미천리''' || 문의사거리 || 0번 || '''[[신문로]]'''[* 2018년 4월 도로명이 고시되었다.][br]([[32번 지방도]])[br]'''문의시내로'''[br]'''대청호반로'''[br]'''회남문의로''' ||<#EEE8AA><|11> '''[[32번 지방도]]''' || || 문의IC삼거리 || 25번 ||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br]고속도로]]''' || ||<#FDF5E6><|5> '''남계리''' || || 110번 || 국전삼항길 || || 남계2사거리 || 120번 || 남계길 || || || 140번 || 국전길[br]남계1길 || || 남계1사거리 || 150번 || 남계2길 || || 남계3사거리 || 180번 || 남계3길 || ||<#FFA07A><|4> '''남[br]일[br]면''' ||<#FDF5E6><|2> '''화당리''' || 화당삼거리 || 310번 || '''[[서원구/읍면 지역 도로|척산화당로]]''' || || 화당2삼거리 || 330번 || 화당길[br]화당3길 || ||<#FDF5E6><|1> '''가산리''' || 가산삼거리 || 440번 || 가산길 || ||<#FDF5E6><|1> '''고은리''' || 고은사거리 || 480번 || '''[[단재로]]'''[br]([[32번 지방도]]) || ||<-100> '''북쪽 종점 ([[단재로]] 760)''' || {{{+1 米川高隱路 / Micheongoeun-ro}}} 경로 자체는 과거에도 비슷하게 존재했으나 지금의 도로가 생긴 건 [[2010년대]]의 일로, 그 이전의 경로는 화당3길 등의 마을 길을 통해 알 수 있다. ==== 고은두산로 (남일면) ==== * '''구간''' ||<-100> '''서쪽 기점 ([[단재로]] 78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3> '''[[상당구]][br]남일면''' ||<#FDF5E6><|3> '''고은리''' || 고은삼거리 || 0번 || '''[[단재로]]'''[br]([[25번 국도]])[br]고은2길 || || 고은사거리 || 20번 || '''[[단재로]]'''[br]([[25번 국도]])[br]([[32번 지방도]])[br]'''미천고은로'''[br]([[32번 지방도]]) || || || 30번 || 버들고지길 || ||<#FFA07A><|6> '''[[상당구]][br]가덕면''' ||<#FDF5E6><|4> '''상대리''' || || 160번 || 상대길[br]상대3길 || || || 250번 || '''삼항상대로''' || || || 300번 || 상대1길 || || || 375번 || 상대2길 || ||<#FDF5E6><|2> '''노동리''' || || 430번 || 노동두산길 || || || 450번 || 행정노동길 || ||<#F5DEB3><|1> '''[[상당구]][br]남일면''' ||<#FDF5E6><|1> '''두산리''' || || 580번 || '''[[보청대로]]'''[br]([[25번 국도]]) || ||<-100> '''동쪽 종점 ([[보청대로]] 4685)''' || {{{+1 高隱斗山路 / Goeundusan-ro}}} 고은리와 두산리 모두 남일면이므로 이름대로 최단거리로 간다면 남일면만 지나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 역할은 이미 [[단재로]]가 수행하고 있어서(...) 고은삼거리/두산삼거리 모두 단재로에 위치해있다. 이 길은 대신 남쪽 가덕면 쪽을 꺾어서 진행된다. 고은리와 두산리를 남쪽으로 잇는 탓에 [[무심천]]의 해당 지역 유역과 꽤나 겹치게 되었다. 이 즈음에서 약간 남쪽으로 내려간 무심천은 이후 북상하여 다시 동쪽으로 가늘어지면서 저 동쪽 가덕면 시동리에서야 [[단재로]]와 교차하게 된다. '고은-두산'이라곤 해도 두산리는 마지막의 교차점에서밖에 지나지 않는다. 대부분은 고은리/상대리/노동리를 지난다. 약 10m 정도만 더 짧았어도 '고은노동로'라고 이름이 붙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고은리에는 고은삼거리/고은사거리가 100m 정도 사이로 붙어있는데 고은두산로는 이 교차로를 모두 지난다. 고은사거리에서는 약간 애매하게 연결되어있다. '고은'이 들어가지만 고은길/고은1길/고은2길 등은 [[단재로]] 이북에 있기 때문에 거의 교차하지 않는다. 시점 부분에서 고은2길과 교차한다. 고은두산로가 지나는 일대의 고은리는 버스정류장 이름을 참고하면 고은4리에 속한다는 모양이다. 단, 고은4길은 없다. 버들고지길은 순우리말로 된 마을 이름이 용케 살아남아 길 이름으로까지 정착한 몇 안 되는 사례이다. 한자로는 柳串里라고 적었던 것이 확인된다. ===== 노동두산길 (남일면) ===== * '''구간''' ||<-100> '''남쪽 기점 (고은두산로 43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4> '''[[상당구]][br]가덕면''' ||<#FDF5E6><|4> '''노동리''' || || 0번 || '''고은두산로''' || || || 30번 || 노동1길 || || || 31-45 || || || || 70번 || 노동2길 || ||<#FFA07A><|3> '''남일면''' ||<#FDF5E6><|3> '''두산리''' || || 90번 || 행정노동길 || || || 125-137 || || || || 175번 || '''[[단재로]]'''[br]([[25번 국도]]) || ||<-100> '''북쪽 종점 ([[단재로]] 970)''' || {{{+1 斗山蘆洞길 / Dusannodong-gil}}} 고은두산로에서 북쪽으로 뻗어나와 단재로로 향하는 길. 두산리는 중간에 언덕 너머에만 두산길/두산1길이 있어서 두산리의 길은 없고 노동1길/노동2길만이 이 길에서 분기한다. 특이하게도 노동리는 '노동길'이 없고 '노동1길'부터 시작한다. 노동3길은 [[무심천]] 너머 남쪽이라서 노동행정길에서 분기한다. '노동'이라는 단어가 꽤나 강한데다 앞이 '두산'이다 보니 [[두산]] 기업과 연관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한자로는 '蘆洞里'로, 갈대 노(蘆)를 쓴다. 갈대라는 게 꽤 흔한 물건이다 보니 '노동리'라는 지명도 전국에 상당히 많은 편. 대체로 이 蘆洞里를 쓰거나 路洞里를 쓰거나 둘 중 하나이다. ===== 행정노동길 (남일면) ===== * '''구간''' ||<-100> '''남쪽 기점 (상장인차로 28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4> '''[[상당구]][br]가덕면''' ||<#FDF5E6><|1> '''행정리''' || || 0번 || '''상장인차로''' || ||<#FDF5E6><|3> '''노동리''' || || || 노동3길 || || || || 노동3길 || || || 178, 190 || || ||<-100> '''노동교 ([[무심천]])''' || ||<#FFA07A><|1> '''남일면''' ||<#FDF5E6><|1> '''두산리''' || || || '''고은두산로''' || ||<-100> '''북쪽 종점 (고은두산로 450)''' || {{{+1 杏亭蘆洞길 / Hangjeongnodong-gil}}} ==== 금거내암로 ==== * '''구간''' ||<-100> '''서쪽 기점 ([[단재로]] 162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F5DEB3><|3> '''[[상당구]][br]가덕면''' ||<#FDF5E6><|2> '''금거리''' || || 0번 || '''[[단재로]]''' || || || 60번 || 금거1길 || ||<#FDF5E6><|1> '''내암리''' || || 175번 || 내암길 || ||<-100> '''남쪽 종점''' || {{{+1 金居內岩路 / Geumgeonaeam-ro}}} 종점에 거의 다다르면 [[하이트진로]]의 생수 공장이 나온다. ==== 삼항상대로 ==== * '''구간''' ==== 상장인차로 & 인차시동로 (문의면) ==== * '''구간''' * '''구간''' ==== [[월오가덕로]] (월오동) ==== === [[남일면(청주)|남일면]] === * [[단재로]] * [[2순환로(청주)|2순환로]] 상당구의 면 가운데 [[서원구]]와 이어지는 길이 제일 많다. [[문의면]]도 [[서원구]]와 이어져있긴 하나 [[크고 아름다운]] 대청호와 산 때문에 길이 많이 나있지는 않다. ==== 가장로 (서원구) ==== * '''구간''' ||<-100> '''남쪽 기점 ([[가산길]] 2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6><#F5DEB3> '''[[상당구]][br]남일면''' ||<#FDF5E6><|3> '''가산리''' || || 0번 || 가산길 || || || 100번 || 가산1길 || || || 120번 || 가산1길 || ||<#FDF5E6><|3> '''신송리''' || || 200번 || 신송2길 || || || 220번 || '''가좌신송로''' || || || 250번 || 신송효촌길 || ||<|1><#FFA07A> '''[[서원구]]''' ||<#FDF5E6> '''[[장암동(청주)|장암동]]''' || || 400번 || '''[[2순환로(청주)|2순환로]][br][[궁뜰로]]''' || ||<-100> '''북쪽 종점 ([[2순환로(청주)|2순환로]] 1892, [[궁뜰로]]와 직결)''' || {{{+1 駕壯路 / Gajang-ro}}} 같은 이름의 길이 [[오산시]], [[대전광역시]]에도 존재한다. 상당구의 면 지역 도로 중에서는 유일하게 앞글자만 따와서 만든 길이다. 가산리와 [[장암동(청주)|장암동]]을 잇는다. 이 문서의 다른 길들처럼 이름을 짓는다면 '가산장암로'가 되었을 것이다. 아무래도 장암동이 동이다 보니까 그 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듯하다. 사실 똑같이 남일면에 속한 이웃 리였던 장암리가 청주시에 편입돼서 장암동이 된 건 1990년으로 불과 30년도 안 된 일이지만. 상당구와 서원구가 [[무심천]]이 아닌 땅으로 만나는 몇 안 되는 길이다. [[죽암도원로]], [[척산화당로]], [[가좌신송로]], [[대청호반로]], 가장로, 그리고 [[1순환로]] 등. 길 남쪽에서 서쪽 부분은 군사 시설이 있어서 지도가 가려져있다. 인근이 [[공군사관학교]]이니 관련 시설일 것이다. 옛 청주시 지역으로 들어가면 [[궁뜰로]]로 이름이 바뀐다. 2018년 8월 경에는 왕복 4차선으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 [[교육원로(청주)|교육원로]]★ (가덕면) ==== ==== [[은행상야로]] (가덕면, 낭성면) ==== === 낭성면 === * [[단재로]] * [[산성로(청주)|산성로]] 낭성면에는 로급 도로가 별로 없다. [[보은군]], [[청원구]] 내수읍과 땅은 이어져있으나 도로는 없다. 상당구 시가지 / 가덕면 / 미원면으로만 이어진다. ==== 현암삼산로 ==== * '''구간''' ||<-100> '''남쪽 기점 ([[산성로(청주)|산성로]] 75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F5DEB3> ||<#FFEFD5><|1> '''현암리''' || || 0번 || 산성로 || ||<-100> '''갈산교 ([[남한강|감천]])''' || ||<#F5DEB3><|2> '''[[상당구]][br]낭성면''' ||<#FDF5E6><|2> '''갈산리''' || || 170번 || 갈산무성길 || || || 185번 || 갈산3길 || ||<#F5DEB3> ||<#FFEFD5><|1> '''삼산리''' || || 235번 || 삼산길 || ||<-100> '''북쪽 종점''' || 산성로에서 삼산리로 들어가는 길이다. 삼산리에서는 길이 끊겨서 더 이상 이어지지 않는다. 길 대부분의 영역에서 감천을 따라간다. 청주시에서는 보기 드물게 [[남한강]]의 지류이다. ==== 호정대신로 (미원면) ==== * '''구간''' === [[문의면]] === 문의면에는 청주 시가지에서 지나는 길이 전혀 지나가지 않는다. 다른 네 면을 모두 지나는 [[단재로]] 역시 문의면은 지나지 않는다. ==== 문의시내로★ ==== * '''구간''' ||<-100> '''서쪽 기점 (문의로터리)'''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7> '''[[상당구]][br]문의면''' ||<#FDF5E6><|7> '''미천리''' || (문의로터리) || 0번 || '''미천고은로'''[br]([[32번 지방도]])[br]'''대청호반로'''[br]([[32번 지방도]]) || || || 45번 || 문의시내1길[br]문의시내2길 || || || 80번 || 미천길 || || || 85번 || 미천1길[* 미천2길은 미천1길에서 분기한다.] || || || 90번 || 미천3길 || || || 120번 || 미천3길 || || 문의사거리 || 140번 || '''미천고은로'''[br]([[32번 지방도]])[br]'''대청호반로'''[br]'''회남문의로'''[br]([[509번 지방도]]) || 언뜻 보면 '문의-시내'를 이어주는 길인 것처럼 보이지만, '시내면'이라든지 '시내리'라는 지역은 없다. 아무래도 번화하다는 의미에서 '[[시내]]'라는 말을 쓴 듯. '문의로'라는 이름의 길이 전국에 1개도 없으니 그냥 '문의로'라고 써도 됐겠지만...? 아무튼 문의면에서 가장 번화한 미천리의 한가운데를 관통하는 길이다. 지선 비슷하게 '문의시내O길'을 형성한다. 비슷한 체계가 미원면에도 '미원시내O길'이 있다. 단, 미원에는 '미원시내로'는 없다. 미원면에서의 중심길의 역할은 [[단재로]]가 수행하고 있다. 문의시내1길, 문의시내2길이 있고, 읍내 리인 미천리를 딴 미천길, 미천1길, 미천2길, 미천3길이 있다. 이중 미천1길에서 분기하는 미천2길만 제외하면 모두 문의시내로와 교차한다. ==== 노현마구로 & 노현청용로 (가덕면) ==== * '''구간''' * '''구간''' ==== 대청호반로★ (서원구) ==== * '''구간''' ||<-100> '''서쪽 기점 ([[대청로(대전)]] 25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FA07A><|2> '''[[서원구]][br][[현도면]]''' ||<#FDF5E6><|2> '''하석리''' || 오가삼거리 || 0번 || '''[[노산하석로]]''' || || || 40번 || 하석2길 || ||<#F5DEB3><|2> '''[[상당구]][br]문의면''' ||<#FDF5E6><|2> '''덕유리''' || 팔각정휴게소 || 200번 || || || 문의대교삼거리 || 520번 || '''덕유남계로''' || ||<-100> '''문의대교 ([[대청호]])''' || ||<#F5DEB3><|2> ||<#FDF5E6><|2> '''미천리''' || (문의로터리) || 800번 || '''미천고은로'''[br]([[32번 지방도]])[br]'''문의시내로''' || || || 845번 || 문의시내2길 || ||<-100> '''미천교 (?천)''' || ||<#F5DEB3><|1> ||<#FDF5E6><|1> '''''' || 문의사거리 || 800번 || '''미천고은로'''[br]([[32번 지방도]])[br]'''[[신문로]]'''[br]([[32번 지방도]])[br]'''문의시내로'''[br]'''회남문의로'''[br]([[509번 지방도]]) || || [[대청호]]를 지나는 길이라고 하여 붙은 이름. 1980년 건설된 문의대교는 과거 5년간 12건의 [[투신자살]] 사건이 발생하여 자살다리라는 오명이 있었다고 한다. 2018년 5월에는 자살방지벽이 생겼다는 기사가 올라왔다.[[http://www.goesan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84|#]] 문의-신탄진간 도로인 [[신문로]]가 개통하면서 [[노산하석로]]와 함께 2017년 12월 [[32번 지방도]]에서 해제되었다. ==== 덕유남계로 ==== * '''구간''' ||<-100> '''남쪽 기점 (대청호반로 520)'''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16> '''[[상당구]][br]문의면''' ||<#FDF5E6><|1> '''덕유리''' || 문의대교삼거리 || 0번 || '''대청호반로''' || ||<#FDF5E6><|3> '''품곡리''' || || 195번 || 품곡2길 || || || 235번 || 품곡길[br]'''[[신문로]]'''[br]([[32번 지방도]]) || || || 265번 || 품곡1길 || ||<#FDF5E6><|4> '''두모리''' || || 385번 || 두모길 || || || 390번 || 두모1길 || || || 420번 || 두모2길 || || 두모삼거리 || 485번 || '''죽암도원로''' || ||<#FDF5E6><|6> '''도원리''' || || 500번 || 문의도원길 || || || 515번 || 문의도원길 || || || 525번 || 문의도원1길 || || || 575번 || 문의도원1길 || || || 590번 || 문의도원2길 || || || 605번 || 문의도원2길 || ||<#FDF5E6><|2> '''등동리''' || || 660번 || 등동길 || || || 680번 || 등동길 || ||<#FFA07A><|4> '''[[서원구]][br][[남이면(청주)|남이면]]''' ||<#FDF5E6><|4> '''문동리'''[br][* 이 구간은 문의면 등동리/남계리와 경계가 복잡하다.] || || 725번 || 문동길 || || || 815번 || 문동1길[br]등동2길[* 등동1길은 문동길에서 분기한다.] || || || 850번 || 남계5길 || || 동화사삼거리 || 900번 || '''[[척산화당로]]''' || ||<-100> '''북동쪽 종점 ([[척산화당로]] 430)''' || {{{+1 德留楠溪路 / Deogyunamgye-ro}}} 문의면 덕유리와 남계리를 잇는 길. 그런데 종점 부분에서 문의면 남계리/등동리, 남이면 문동리의 경계가 꽤 복잡하게 섞인 편이라서 종점 동화사삼거리는 남이면 문동리에 속한다. 문의면에서 양성산 동쪽 미천리를 제외한 서쪽 리, 일명 "홈너머"의 핵심을 지나는 길로, 대청호 서쪽의 문의면 산하 리들은 모두 이 길을 가운데에 끼고 있다. 그래서 구간표에도 'OO길'이 대부분 이 덕유남계로에서 분기한다. 핵심 길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 길 인근 버스 정류장에는 정류장 위치가 덕유남계로 OOO번이라고 적혀져있다. 서쪽 [[현도면]]으로는 [[죽암도원로]]와 통한다. 동쪽의 문의면의 다른 리와는 양성산으로 막혀있어 통하는 길이 없다. 2017년 12월에 문의-신탄진간 도로인 [[신문로]]가 완공 예정이고 [[32번 지방도]]로 지정될 예정이지만 덕유남계로와 교차할지는 아직 알 수 없었다. 2018년 개통 후 품곡교차로를 통해 교차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방도로 지정될 정도로 꽤 큰 길이니 이 지역의 교통이 상당히 편리해졌다고 볼 수 있을 듯하다. 문동길을 통해서 [[남이면(청주)|남이면]] 척산리 척산화당로로 통한다. 길급 도로인데도 [[서산영덕고속도로]] 위의 고가도로로 지나가는 위엄을 보인다. ==== 염티소전로 ==== * '''구간''' ==== 죽암도원로 (서원구) ==== * '''구간''' ==== 회남문의로 (보은군) ==== * '''구간''' ==== [[신문로]] (서원구) ==== === 미원면 === * [[남부로(충청북도)|남부로]] * [[단재로]] * [[괴산로]] 청주시의 동쪽 끝자락으로, 북쪽은 괴산에 남쪽은 보은에 닿는다. 직행터미널이 있기도 하는 등 상당구의 면 가운데에는 제일 번화한 편. 가덕면과 함께 [[고등학교]]가 소재하는 면이기도 하다. ==== [[미원초정로]] (청원구) ==== ==== 운암계원로 & 산외금관로 & 금관로★ (보은군 & 괴산군) ==== 미원면 금관리를 중심으로 십자로 펼쳐진 길. 운암계원리가 동서 방향, 산외금관로가 남쪽, 금관로가 북쪽이다. * '''운암계원로''' ||<-100> '''서쪽 기점 ([[남부로(충청북도)|남부로]] 6604)''' || || '''소재지''' ||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11><#F5DEB3> '''[[청주시]][br][[상당구]][br]미원면''' ||<#FDF5E6><|2> '''운암리''' || 운암교차로 || 0번 || [[남부로(충청북도)|남부로]][br][[보은미원로]] || || || 25번 || 운암1길 || ||<#FDF5E6><|3> '''옥화리''' || || 240번 || 운암옥화길 || || || 255번 || 옥화길 || || || 325번 || 옥화1길[br]옥화2길 || ||<#FDF5E6><|2> '''월용리''' || || 400번 || 월용길 || || || 480번 || 월용1길 || ||<#FDF5E6><|2> '''금관리''' || || 600번 || '''산외금관로''' || || 금관숲삼거리 || 625번 || '''금관로''' || ||<#FDF5E6><|2> '''어암리''' || || 690번 || 어암1길 || || || 915번 || 어암2길 || ||<-100> '''계원교 ([[달천(하천)|달천]])''' || ||<|2><#F5DEB3> ||<#FDF5E6><|2> '''계원리''' || || 930번 || 계원길 || || || 970번 || 계원1길 || ||<-100> '''원평교 ([[달천(하천)|달천]])''' || ||<|1><#FFA07A> '''[[보은군]][br]산외면''' ||<#FDF5E6><|1> '''원평리''' || || 1265번 || '''산외금관로''' || ||<-100> '''동쪽 종점 (산외금관로 146)''' || 이름은 운암-계원로이지만 실제로는 남쪽 보은군 산외면까지 간다. 산외면 구간이 좀 더 길었다면 아래 산외금관로와 같이 운암산외로로 이름이 붙었을 수도 있다. * '''산외금관로''' ||<-100> '''남쪽 기점 (산외로 515)''' || || '''소재지''' ||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6><#F5DEB3> '''[[보은군]][br]산외면''' ||<#FDF5E6><|2> '''탁주리''' || 원평삼거리 || 0번 || '''산외로''' || || || || 탁주길 || ||<#FDF5E6><|4> '''원평리''' || || || 상부평길 || || || 145번 || '''운암계원로''' || || || || 원평1길 || || || || 원평2길 || ||<-100> '''신원오교 ([[달천(하천)|달천]])''' || ||<|2><#F5DEB3> ||<#FDF5E6><|1> '''오대리''' || || 295번 || '''오대산대로''' || ||<#FDF5E6><|1> '''가고리''' || 가고삼거리 || 475번 || '''성암가고로'''[br]가고길 || ||<|1><#FFA07A> '''[[청주시]][br][[상당구]]''' ||<#FDF5E6><|1> '''금관리''' || || || 금관갯골길 || ||<-100> '''금관교 ([[달천(하천)|달천]])''' || ||<|1><#FFA07A> '''미원면''' ||<#FDF5E6><|1> '''금관리''' || || 725번 || '''운암계원로''' || ||<-100> '''북쪽 종점 (운암계원로 600)''' || 금관은 금관리에서 따온 데에 비해, 산외는 산외면에서 따온 것으로 행정구역 등급이 약간 다르다. 아무래도 산외면이 이웃 보은군에 소속되어있어서 그렇게 붙은 듯하다. * '''금관로''' ||<-100> '''남쪽 기점 (운암계원로 625)''' || || '''소재지''' ||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2><#F5DEB3> '''[[청주시]][br][[상당구]][br]미원면''' ||<#FDF5E6><|2> '''금관리''' || 금관숲삼거리 || 0번 || '''운암계원로''' || || || 40번 || 금관숲길 || ||<|2><#FFA07A> '''[[괴산군]][br]청천면''' ||<#FDF5E6><|2> '''선평리''' || || || 금관로북계길 || || || || 선평길 || ||<-100> '''선평교 ([[구룡천]])''' || ||<|3><#FFA07A> ||<#FDF5E6><|3> '''청천리''' || || 455번 || 청천9길 || || || 465번 || 청천2길 || || 청천삼거리 || 480번 || '''[[괴산로]]''' || ||<-100> '''북쪽 종점 ([[괴산로]] 1319)''' || 위의 산외금관로와 같은 식으로 이름을 붙인다면 '청천금관로'로 붙었을 것이다. 종점은 청천면 청천리로 면/리의 이름이 서로 같다. ==== 쌍이운교로 ==== * '''구간''' ||<-100> '''남쪽 기점 ([[단재로]] 2685)''' || || '''소재면''' || '''소재리'''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2><#F5DEB3> ||<#FDF5E6><|1> '''쌍이리''' || || 0번 || '''[[단재로]]''' || ||<#FFEFD5><|1> || || 110번 || 원중리길 || ||<-100> '''원중리교 ([[남한강|중리천]])''' || ||<|3><#F5DEB3> '''[[청주시]][br][[상당구]][br]미원면''' ||<#FFEFD5><|3> '''중리''' || || 170번 || 원중리길 || || || 270번 || 원중리1길 || || || 285번 || 원중리2길 || ||<-100> '''터널 (감리봉)''' || ||<|3><#F5DEB3> ||<#FDF5E6><|2> '''운용리''' || || 410번 || 운용길 || || || 480번 || 운용1길 || ||<#FFEFD5><|1> || || 570번 || 운교1길 || ||<-100> '''운교교 ([[남한강|구룡천]])''' || ||<|1><#F5DEB3> ||<#FFEFD5><|1> '''운교리''' || || 600번 || '''용곡구방로''' || ||<-100> '''북쪽 종점 (용곡구방로 557)''' || 근래에 확장된 길로, 2008년까지는 외길이었다. 또한 지금은 원중리길이 고리 모양의 지선이지만 과거에는 본선이었다. ==== 용곡구방로 ==== * '''구간''' ==== 인경수산로 (낭성면) ==== * '''구간''' [[분류:상당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