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cafefiles.naver.net%2F20100123_64%2Fhwhjkang_1264229382887dpEDR_jpg%2F18-1_hwhjkang.jpg]][br][[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cafefiles.naver.net%2F20100123_142%2Fhwhjkang_1264229385017fqqro_jpg%2F20_hwhjkang.jpg]] '''당시 삼학선에서 운영하던 화물열차 모습''' 삼학선은 [[호남선]] [[목포역]]에서 분기했던 화물 전용 노선으로, 삼학도선이라고도 불렸다. 1965년에 [[삼학도]]를 간척하면서 들어선 [[한국제분]]과 석탄부두의 석탄, 밀가루 등을 수송하기 위해 지어졌다. '''도로와 주택가 사이를 지나가는''' 위험천만하고 협소한 상태였기에 대형기관차는 입선이 불가능했다. 다만 삼학도의 복원 움직임과 함께 한국제분공장의 철거, 석탄의 도로 수송 등으로 제 기능을 상실하였고, 결국 2013년 12월 15일에 공식적으로 폐선되었다. [[http://prologue.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verroad89&logNo=220011458873&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삼학도와 삼학선에 대한 글]] [[만델라 효과|삼학선의 종점으로 삼학역이 있었다는 잘못된 정보가 퍼져 있는데 존재하지도 않았던 역이다.]][* 위키백과 목포역 문서 전용선 문단 참조.[[https://ko.m.wikipedia.org/wiki/목포역|#]]] [[http://naver.me/Ff0kpUNx|링크]]에서 시간을 2010년 10월로 바꾸면 삼학선 철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철길건널목도 자주 보이지만 차단기는 없다.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1965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2013년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