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2266><-5> {{{+1 '''{{{#fff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002266><-5> [[청룡영화상/최우수작품상|{{{#fff '''최우수작품상'''}}}]] || || 제9회[br]([[1972년]]) || {{{+1 →}}} || '''제10회[br]([[1973년]])''' || {{{+1 →}}} || 제11회[br]([[1990년]]) || || [[석화촌]] || {{{+1 →}}} || '''삼일천하''' || {{{+1 →}}} || [[그들도 우리처럼]] || ||<#002266><-5><:> || ||<-2> {{{+1 '''삼일천하'''}}} (1973)[br]三日天下 | ''Three Days of Their Reig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삼일천하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신상옥]] || || '''원작''' ||<|2> 곽일로 || || '''각본''' || || '''제작''' || [[신상옥]] || || '''주연''' || [[신영균(배우)|신영균]], [[신성일]], [[윤정희(1944)|윤정희]] || || '''촬영''' || 최승우 || || '''조명''' || 함완섭 || || '''편집''' || 김현 || || '''음악''' || 황문평 || || '''미술''' || 박석인 || || '''제작사''' || 안양영화 || || '''개봉일''' || [[1973년]] [[2월 15일]] || || '''개봉관''' || [[국도극장]] || || '''관람인원''' || 14,707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옥균]]의 [[갑신정변]]을 다루는 사극 영화. [[신상옥]] 감독의 연출로 1973년 개봉했다. == 등장인물 == * [[신영균(배우)|신영균]] - [[김옥균]] 역 * [[신성일]] - [[고종(대한제국)|고종]] 역 * [[윤정희(1944)|윤정희]] - 유씨(옥균 처) 역 * [[박노식(1930)|박노식]] - 변수(옥균의 심복) 역 * [[남궁원]] - [[박영효]] 역 * [[도금봉]] - [[명성황후|민비]] 역 * [[황해(배우)|황해]] - 일본공사 역 * [[윤일봉]] - [[민영익]] 역 * 방수일 - [[서재필]] 역 * [[최남현]] - 김병기(옥균의 부) 역 * [[한은진]] - 유씨 모 역 * [[김신재]] - 옥균 모 역 * 이예성 - [[홍영식]] 역 * 최삼 - [[원세개]] 역 * 오사량 - [[이등박문]] 역 == 줄거리 == 조선 말 1884년 11월, 왕궁에서는 중국에 등을 기대고 있던 보수세력과 민씨일가와 일본에 기울어 있던 개혁세력이 왕권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싸우고 있었다. 개혁세력의 일원인 김옥균은 중국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독립을 선포할 것을 왕에게 간언하고 왕도 이 제안을 기꺼이 수락한다. 그리하여 김옥균의 세력들은 우정국 창립기념일에 기회를 잡고 정치적 실권을 잡는다. 그러나 보수파의 첩자가 이 사실을 은밀히 중국에 알려 중국의 원세개는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침공하고 김옥균의 독립의 꿈은 3일만에 무산되고 만다. == 수상 == * 1973년 제10회 [[청룡영화상]] 작품상 · 남우주연상([[신영균(배우)|신영균]]) == 기타 == 1973년 6월 12일 서울에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제3차 회의에 참석한 북한 측 위원, 수행원, 기자 일행이 영빈관에서 이 영화를 관람했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73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조선/창작물]][[분류:전체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