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삼사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삼사역, 너비=100%, 높이=250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amsa || || [[한자]] ||<-2> 三社 || ||<-3> '''주소''' || ||<-3> [[량강도]] [[백암군]] 상단리 || ||<-3> '''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백무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백무선]] ||<-2> 1936년 10월 15일 || ||<-3> '''열차거리표''' || || [[백암청년역|{{{#585858 {{{#!html
백암청년 방면
}}}}}}]][[상단역|상 단]][br]← 5.1 ㎞ || '''[[백무선]]'''[br]삼 사 || [[무산역|{{{#585858 {{{#!html
무산 방면
}}}}}}]][[천수역|천 수]][br] 8.8 ㎞ → || {{{+1 三社驛 / Samsa Station}}} [clearfix] == 개요 == [[백무선]]의 [[철도역]]. [[량강도]] [[백암군]] 상단리(上壇里) 북쪽 소재. 삼사는 삼산사(三山社)에서 온 말로 조선시대 무산군을 쪼갠 행정 관청이자 단위인 16개의 사의 하나였다. 절대 절 이름이 아니다. 삼산사의 소재지가 이곳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이것을 삼사면이라 칭했다가 북한에서 백암군을 만든 것. 이 역과 [[천수역]]사이 구간이 북한에서 서두수에 건설한 댐으로 수몰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동쪽으로 이설 되었다. 역은 1면 2선으로 마을은 역 서쪽에 있다. [[분류:백무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