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폐교된 중학교]][[분류:부산광역시의 남자중학교]][[분류:1990년 개교]][[분류:2019년 폐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2> '''{{{#white {{{+1 삼락중학교}}}[br]三樂中學校[br]SAMRAK MIDDLE SCHOOL}}}''' || ||<-2> [include(틀:지도, 장소=삼락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90년 3월 6일 || || '''폐교''' || 2019년 3월 1일 ||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성별''' || [[남자중학교]] || || '''운영형태''' || [[공립]]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덕로(부산)|삼덕로]]5번길 151 ([[삼락동(부산)|삼락동]])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부산)|삼락동]]에 소재했었던 [[공립]] [[남자중학교]]로 [[1990년]] [[3월 6일]]에 개교하였다. 이후 약 30여년 간의 세월이 흘러 [[2019년]] [[3월 1일]]에 폐교되었다. 이유는 학생 수 감소에다가 주변 사상공단(삼락공단)지역의 [[소음공해]]와 [[매연]], [[분진]] 등으로 인하여 인근 초등학교에서 삼락중 진학을 기피하였으며[* 가까운 삼락중을 놔두고 [[주감중학교]]나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학교]], [[주례중학교]], [[모동중학교]], [[모라중학교]]로 진학을 희망한 학생들이 많았다.] 학습권 보장이 곤란해서이다.[* [[삼락동(부산)|삼락동]] 문서에도 알 수 있듯이 전형적인 공단 지역으로 주거지역은 인근 [[괘법동]]과 [[덕포동(부산)|덕포동]]에 밀집되어 있다.] 폐교이후 이 일대의 2019년 이후 중학교 입학 예정 정원은 [[모라중학교]],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학교]], [[주례중학교]] 등지로 분산시켰다고 한다. 운동장은 [[2021년]]까지 주차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건물까지 모두 철거되어 황량한 공사장이 되어 있다. == 역사 == === 학교 연혁 === * 1990년 1월 24일에 설립인가 * 1990년 3월 6일에 개교 * 2019년 3월 1일 폐교 === 학교 상징 === ==== [[교훈]] ==== >'''큰 뜻을 품고, 부지런히 배워, 슬기롭게 실천하자.''' ==== [[교가]] ==== ||태백산 힘찬맥은 우리의 기상 낙동강 뻗은줄기 우리의 기상 진리와 슬기로 갈고 닦아서 온누리 밝히는 횃불이 되자 아 자랑스런 마음의 고향 영원히 빛내어라 삼락중학교|| ==== [[교목#s-2]]과 [[교화]] ==== * 교목: [[은행나무]] * 교화: [[철쭉]] == 학교 특징 == 학교 정문 바로 옆에 버스 정류장이 있고[* 다만 마을버스만 경유하므로 시내버스를 이용하려면 청소년지원센터(모덕역) 정류장까지 걸어가거나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로 나가야만 한다.], 조금 걸어가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모덕역]]도 있는 등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 학교 시설 == [[운동장]]과 [[달리기]] [[트랙]]이 있고, [[쉼터]]도 있다. 그리고 [[농구장]]도 있다. 학교의 강당이 학교 건물 맨 꼭대기 층에 설치되어 있는게 특이점이다 . == 학교 생활 == 두발규정이 존재하였으며 머리카락이 귀와 눈썹을 덮지 않아야 하며 뒷머리가 옷깃에 닿으면 안된다는 규정이 있었으나 폐교 직전인 2018년도에는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었다. == 출신 인물 == * '''[[김길태]]''': 덕포 여중생 살인사건의 용의자인 그 [[김길태]] 맞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마을버스 === || 조광페인트 입구 || [[부산 버스 사상7]] ||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모덕역]] 모덕역에서 걸어가기에는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다. == 기타 == 2019년도에 영도구 동삼동 소재 [[동삼중학교]]의 통합과 동시에 폐교되었다. 이 학교의 폐교와 동삼동의 동삼중학교가 통합되어 [[학교 총량제]]의 영향으로 [[신도시]] 지역에 새로운 중학교를 신설할 수 있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일광신도시]]에 들어서게 될 가칭 일광중학교가 그 예시다. 또한 [[정관신도시]]나 [[명지국제신도시]]에도 새로운 중학교를 신설할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시국에 거리두기 없는 클럽이란 카더라가 있다--[[https://gall.dcinside.com/lostark/5545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