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에이]][[분류:진삼국무쌍 시리즈]][[분류:대전 격투 게임]][[분류:1997년 게임]][[분류:PlayStation(콘솔) 게임]] 三國無双 [[파일:external/game.china.com/15078140_2008090914591395554000.jpg]] [목차] == 소개 == [youtube(_NX1sfKqzf8)] 코에이에서 만든 [[삼국지]]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3D [[대전액션게임]]. 1997년 2월 28일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발매되었다. 어원은 일본의 숙어인 삼국무쌍[* 三国無双(さんごくぶそう) : 일본, 중국, 인도(천축)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물건 또는 사람이라는 뜻. 세계제일과 비슷한 의미]이다. 제작팀도 같고 일단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전편격인 의의가 있지만, 동시대에 나온 '''[[철권 3]]'''나 '''[[소울 엣지]]'''가 넘사벽인 상대인 데다가, 게임 자체만 보더라도 완전히 [[버추얼 파이터|버추얼 파이터 시리즈]]의 아류 수준였던지라 [[명예로운 죽음|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쿠소게로 알려진 것과 다르게 평가 자체는 일본 내외적으로 괜찮거나 호평을 받기도 했다. 반응이 안 좋았으면 굳이 유사한 제목의 후속편을 내거나 해외명에서 굳이 넘버링을 추가하면서까지 같은 시리즈임을 어필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아무튼 이 때까지만 해도 희대의 사골게임이 나올 줄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 [[진삼국무쌍 시리즈]]로 계승 == 이 게임의 컨셉 중 일부를 이어받아 제작팀인 오메가포스가 게임방식을 완전히 뜯어고친 것이 [[진삼국무쌍]]. 만약 이 게임이 대박을 기록했다면 진삼국무쌍 시리즈는 3D 대전액션으로 삼국지판 [[소울 칼리버 시리즈]]가 되고 [[무쌍 시리즈]] 역시 만들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 게임의 캐릭터 디자인은 이후 [[진삼국무쌍 시리즈]]로 그대로 이어진다. 손상향만 도검에서 건곤권으로 무기가 변경된 정도로, 나머지 캐릭터는 사용 무기와 무기 명칭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 전위의 우두와 마두, 조운의 호룡담, 그리고 본편에서는 손견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주유]]가 사용하고 있는 [[고정도]] 등이 그 예이다. 고정도는 손견이 진삼국무쌍에서 참전이 확정된 뒤에도 4까지 주유가 쓰다가 5에서야 봉으로 무기를 바꾸면서 손견에게 돌려주게 된다. 특히 [[레이저]]를 날리는 [[제갈량]]은 삼국무쌍에서부터 만들어진 아이덴티티. 또한 삼국무쌍 출신 무장들은 유독 중복모션[* 1편에서 새로 추가된 무장들이 가장 심했다. 하후연, 황충, 감녕은 4편까지 도 모션 중복이었고, 여몽과 장료는 같은 극 모션을 썼으며, 마초와 강유는 창 모션을 공유했고, 나머지 '''7명'''은 죄다 검 중복이었다(...). 그나마 2편 이후로는 사정이 나아져서 방통(지팡이로 바꾼 장각과 중복), 이교 자매(쌍선)를 빼면 중복 무기를 든 신무장은 없었다. 그래도 여전히 검 모션 무장이 5명이나 되는 상황이었지만.]이 많았던 1~4편에서도 본인의 고유 무기를 계속 유지했었다. 예외라면 [[사마의(진삼국무쌍)|본인의 라이벌]]이 2편부터 흑우선을 들게 되면서 중복 무장이 된 [[제갈량(진삼국무쌍)|제갈량]] 정도. 다만 5, 6, 8편에서 유난히 중복화가 심해진 탓에 시리즈 내내 고유 모션을 유지한 무장은 이젠 여포 하나뿐이다. 이와는 별개로 삼국무쌍 출신 무장들은 거의 항상 같은 무기만 든 경우가 많다.[* 무기가 자주 바뀐 장비, 고정도를 버리고 곤봉으로 바뀐 주유, 쌍추를 버리고 다절편으로 바뀐 초선은 제외. 반대로 제갈량과 허저는 시리즈 내내 똑같은 무기만 사용했다.] 참고로 성우도 진삼국무쌍 시리즈와 동일하다. 그리고 예산 때문이었는지 중복 성우도 많은 편.[* 조운-제갈량, 장비-태사자, 하후돈-전위, 허저-주유.] 그리고 긴 시간이 흘러 2016년에 퍼펙트 월드라는 한 업체에서 [[진삼국무쌍 6]]과 [[진삼국무쌍 7]] 기반으로 섞어 대전 액션 장르로 개발한 진삼국무쌍 Mobile을 TGS에서 출품했었으나 이후 소식이 끊겨 사실상 프로젝트 무산 절차를 밟은 듯 하다. == 기타 == 현재 일본에서는 [[신자체]] 한자를 쓰므로 거기에 따르자면 三国無双이 돼야 하겠으나,[* 참고로 [[간화자]]가 표준인 [[중국]]과 [[싱가포르]](중국어로 쓸 경우)에서는 三国无双으로 쓴다.] 실제로는 [[삼국지 시리즈]]에서 나라 국 자를 [[정체자|구자체]]로 쓰던 것을 따라 三國無双으로 쓰고 있다.[* 물론 전체를 모두 구자체로 쓴다면 双도 雙으로 써야 하지만 그건 신자체대로 썼다. 참고로 [[중국어]]권 중 [[정체자]](번체자)가 표준으로 쓰이는 나라·지역에서는 실제로 三國無雙으로 쓴다.] 진삼국무쌍 시리즈도 마찬가지로 國만 구자체로 쓴다. 노부나카, 토키치는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태합입지전 시리즈]] 쪽에서 출전한 것이다. 그래서 외견도 성우도 전국무쌍과는 전혀 다르고 토키치는 [[태합입지전 2]] PS판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가져와서 아예 2등신 캐릭터다. [[파일:external/dynastywarriors.neoseeker.com/Dynasty_Warriors_1_coverart.jpg]] [[북아메리카|북미]]에서는 Dynasty Warriors란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진삼국무쌍부터는 단순히 저 이름에 넘버링을 붙이기 시작했기 때문에, 일본판과 비교했을때 넘버링이 하나씩 많다. [[도쿄 엔카운트]] 64화의 도입부에서 [[히카사 요코]]의 리퀘스트로 플레이했......는데, 사실 히카사가 리퀘스트하려고 했던 건 그 [[진삼국무쌍|후속]]이었다. --이런 게임이 있는지도 몰랐는 듯-- 히카사는 이 게임이 아니라며 항의했지만, 나카무라는 네가 요청한 게임이 삼국무쌍이니 삼국무쌍 플레이할 거라면서 무시해버렸다(...). == 캐릭터 목록 == [[파일:external/fc03.deviantart.net/dynasty_warriors_1_roster_by_the4thsnake-d6ud53a.png]] ◆는 히든 캐릭터 === 촉 === * [[조운(진삼국무쌍)|조운]] * [[관우(진삼국무쌍)|관우]] * [[장비(진삼국무쌍)|장비]] * [[제갈량(진삼국무쌍)|제갈량]]◆ === 위 === * [[하후돈(진삼국무쌍)|하후돈]] * [[전위(진삼국무쌍)|전위]] * [[허저(진삼국무쌍)|허저]] * [[조조(진삼국무쌍)|조조]]◆ === 오 === * [[주유(진삼국무쌍)|주유]] * [[육손(진삼국무쌍)|육손]] * [[태사자(진삼국무쌍)|태사자]] * [[손상향(진삼국무쌍)|손상향]]◆ === 기타 === * [[초선(진삼국무쌍)|초선]] * [[여포(진삼국무쌍)|여포]]◆ * [[오다 노부나가(전국무쌍)|노부나가]]◆ * [[도요토미 히데요시(전국무쌍)|토키치]]◆ === 숨겨진 캐릭터 선택법 === * 조조 : 하후돈,전위, 허저 3명으로 1P모드 클리어 * 제갈량 :관우, 장비, 조운 3명으로 1P모드 클리어 * 여포 : 조조, 제갈량을 포함한 전캐릭터 클리어 아래 무장은 여포로 1P모드 클리어후에 타이틀 화면에서 커맨드를 입력하면 된다. * 손상향 : 여포로 1P모드 클리어후 ←、←、↑、↓、△、□、L1、R1 * 노부나가: 여포로 1P모드 클리어후 ↑、△、↓、X * 토키치 : 노부나가로 클리어후 ↓、↓、→、↑、X、△、R1、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