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카스티야 국왕)] ||<-3><:>{{{+1 '''Sancho III de Castilla''' }}}|| ||<-2><:> '''가문''' ||<(> 이브레야 왕조 || ||<-2> '''생몰년도''' ||<(> [[1134년]] ~ [[1158년]] [[8월 31일]] || ||<-2> '''출생지''' ||<(> [[카스티야 왕국]] [[톨레도]] || ||<-2> '''사망지''' ||<(> [[카스티야 왕국]] [[톨레도]] || || '''재위'''[br]'''기간''' || '''카스티야의 국왕''' ||1157년 - 1158년 || ||<-2> '''아버지''' ||<(> [[알폰소 7세]] || ||<-2> '''어머니''' ||<(> 베렝겔라 || ||<-2> '''친형제''' ||<(> [[페르난두 2세]], 콘스탄사, 산차, 알폰소 || ||<-2> '''이복 형제''' ||<(> 페르난도, 산차, 우라카, 에스테파니아 알폰소 라 데스디차다 || ||<-2> '''배우자''' ||<(> 수리아 가르세이츠 || ||<-2> '''자녀''' ||<(> [[알폰소 8세]] || [목차] == 개요 ==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 생애 == 1134년경 카스티야 왕국 톨레도에서 카스티야 국왕 [[알폰소 7세]]와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3세의 딸 베렝겔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친형제로 [[페르난두 2세]], 콘스탄사, 산차, 알폰소가 있었고, 이복 형제로 페르난도, 산차, 우라카, 에스테파니아 알폰소 라 데스디차다가 있었다. 그는 어린 시절 알폰소 7세로부터 팔렌시아의 산티아고 델 발 지역을 영지로 수여받은 로드리고 페레즈와 로드리고의 아내인 마리아 데 레자마에게 교육받았고, 아버지가 [[레콩키스타]]에 몰두하는 동안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1151년 아버지에게서 '카스티야의 왕' 칭호를 받았고, 형제 페르난두 2세 역시 '갈리시아의 왕' 칭호를 받았다.[* 알폰소 7세는 살아 있는 동안에도 [[전히스파니아의 황제]]로서 가족들에게 왕과 여왕의 칭호를 줬다. 두 아들 외에도 사생아 딸인 카스티야의 우라카는 '아스투리아스의 여왕' 칭호를 받았고, 자매인 산차 라이문데스는 '인판타-여왕' 칭호를 받았다.] 1155년 바야돌리드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알폰소 7세는 큰 아들 산초 3세에게 카스티야 왕국을 물려주고, 작은 아들 페르난두 2세에게 레온과 갈리시아 왕국을 물려주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레온과 갈리시아 왕국에 속해 있던 티에라 데 캄포스, 사하군, 아스투리아스 데 산티아나는 산초 3세에게 물려주기로 했다. 1157년 알폰소 7세가 사망한 뒤, 두 아들은 아버지의 생전 지시에 따라 영토를 분할했다. 1158년 5월 23일, 페르난두 2세와 산초 3세는 사하군 시에서 상호 원조 협약을 맺었다. 두 사람은 서로 힘을 합쳐 무슬림과의 전쟁을 이어가며, [[알 안달루스]]를 정복한 후에는 니에블라에서 리스본까지 레온-갈리시아 연합 왕국이 차지하고 나머지 영토는 카스티야 왕국이 차지하기로 했다. 또한 둘 중 한 명이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면 다른 한 명이 형제의 영토를 관할하기로 했다. 1158년 8월 31일, 산초 3세는 톨레도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아버지가 묻힌 톨레도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카스티야 왕위는 당시 3살이었던 아들 [[알폰소 8세]]에게 돌아갔고, 라라 가문과 카스트로 가문 인사들이 [[섭정]]을 맡았다. 그 후 두 가문이 최고 권력을 놓고 내전을 벌이면서 카스티야 왕국은 혼란에 빠졌다. == 가족 관계 == * 수리아 가르세이츠(1133년 이후 ~ 1156년): [[나바라 왕국]]의 [[가르체아 라미리츠]]의 딸. 임신의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됨. * [[알폰소 8세]](1155년 ~ 1214년): 카스티야 국왕. [[분류:카스티야 국왕]][[분류:1134년 출생]][[분류:1158년 사망]][[분류:보르고냐 이브레아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