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구(대구)의 법정동)]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산격동}}}'''[br]山格洞 | Sangyeok-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산격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2723011100 || || '''관할 행정동''' || 산격1~4동 || || '''하위 행정구역''' || 93통 554반 || || '''면적''' || 4.74㎢ || || '''인구''' || 35,969명[*A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7,588.40명/㎢ || [목차][clearfix] == 개요 == 산격1동행정복지센터는 연암네거리쪽을 가기 전에 예전 참빛교회 자리,[* 원래는 서당골 쪽이었지만 최근 이전하였다.] 산격2동행정복지센터는 산격대우아파트 옆, 산격3동행정복지센터는 [[경북대학교]] 북문 맞은편의 북문로데오 근처 공영 주차장 옆(신축 중), 산격4동행정복지센터는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산격청사]] 및 [[대구실내체육관]] 근처에 있다. 근처로 언덕들이 아주 많다. 관할 법정동은 산격동이며, 과거에는 [[달성군]] 성북면에 속했던 곳이다. 1965년에 1동·2동·3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92년에 1동의 일부가 4동[* 수도산 근처 쪽]으로 분리되었다. 1997년에는 [[복현동]]과 [[검단동(대구)|검단동]] 일부를 산격2동에 편입하여 동 경계를 일부 조정했다. 산격1동,3 ,4동은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암동]], [[효목동]]과 같은 국번인 930, 940, 950 국번을 이용하지만, 산격1동 일부와 산격2동만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 입구에 따로 설치된 [[KT]] 산격지사의 전화 국번(380)을 이용한다. === 산격1동 ===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산격1동}}}'''[br]山格一洞 | Sangyeok 1(il)-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산격1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450036 || || '''관할 법정동''' || 산격동 || || '''하위 행정구역''' || 27통 159반 || || '''면적''' || 0.91㎢ || || '''인구''' || 8,569명[*A] || || '''인구밀도''' || 9,416.4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북구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양금희]]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지만]] ,,(재선),, || ||<-2> '''북구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상훈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준(1994)|오영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성근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연암로36길 6 (산격동 748-2) || || [[http://www.buk.daegu.kr/dong/index.do?menu_id=00000398|산격1동 행정복지센터]] || 연암공원과 구암서원[* [[달성 서씨]] 가문의 문중 서원으로, 원래는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산동(대구)|동산동]]에 있었으나 1995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대구성북종합시장이 있다. 산격1동은 [[침산동(대구)|침산동]]과 인접하는 편이다. 생활권도 산격2동과 [[복현동]]보다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 생활권과 가깝다. 대구수도사업부 공산정수장, 연암공원 주변과 [[침산교]] 주변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단독주택지가 많이 있다. 산격주공아파트 쪽만 380 국번 지역이고, 나머지는 939, 940, 950 국번 지역이다. [clearfix] === 산격2동 ===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산격2동}}}'''[br]山格二洞 | Sangyeok 2(i)-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산격2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450037 || || '''관할 법정동''' || 산격동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42반 || || '''면적''' || 2.29㎢ || || '''인구''' || 10,326명[*A] || || '''인구밀도''' || 4,509.1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북구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양금희]]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지만 ,,(재선),, || ||<-2> '''북구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상훈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성근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동북로31길 30[* 산격동 500-1] || || [[http://www.buk.daegu.kr/dong/index.do?menu_id=00000399|산격2동 행정복지센터]] || 산격2동은 [[복현동]], [[검단동(대구)|검단동]]과 같은 생활권이며, [[대구종합유통단지]], [[EXCO]], [[코스트코 대구점]], 대구[[우편집중국]], 대불공원[* [[코스트코 대구점]] 옆 공원], 북구청소년회관이 있는 곳이며 최근 대불공원 근처에 새로운 대구시립공공도서관을 건립하려고 하고 있다. 산격2동에는 산격대우아파트[* 예전에 산격시영아파트였다. 현재까지 산격동을 대표하는 주거단지이며, 산격2동행정복지센터도 아파트 단지 내에 있다.] 등 아파트나 주택지들이 있으며 인근 [[경북대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수, 교직원, 전문직, [[중산층]]이 많이 거주한다. 다만 복현고가차도 쪽 라인, 대불공원 근처, [[대구종합유통단지]] 주변, [[침산교]] 건너편에 있는 산업용재관 주변 지역에는 단독주택도 많다. 산격동 관할 행정구역 중 유일하게 [[검단동(대구)|검단동]], [[복현동|공항로 이북 복현2동]]과 같이 '''380번 국번'''을 사용한다. 원래 이 동네 중 일부는 [[복현동]]과 [[검단동(대구)|검단동]]이었지만, 1997년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지금도 산격1동 및 산격4동보다 [[복현동]]과 [[검단동(대구)|검단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침산교]], [[산격대교]], [[무태교]]와 가까운 쪽[* [[북대구초등학교]]와 뒤편 산격거평타운 부근과 [[대구종합유통단지]] 전자관]은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 생활권과 [[무태조야동]]과 같은 생활권이고 반대로 [[복현동|복현오거리]]와 [[코스트코 대구점]] 주변[* [[EXCO]], 복현오거리, 산격대우아파트]은 [[검단동(대구)|검단동]], [[복현동]],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암동]]과 같은 생활권이다. 교통편으로는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이 [[대구역]]보다 더 가깝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4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5호선]]이 지나갈 예정이다. [clearfix] === 산격3동 ===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산격3동}}}'''[br]山格三洞 | Sangyeok 3(sam)-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산격3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450038 || || '''관할 법정동''' || 산격동 || || '''하위 행정구역''' || 24통 127반 || || '''면적''' || 0.80㎢ || || '''인구''' || 9,061명[*A] || || '''인구밀도''' || 11,326.2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북구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양금희]]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지만 ,,(재선),, || ||<-2> '''북구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상훈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성근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학로 95 (산격동 1330-1) || || [[http://www.buk.daegu.kr/dong/index.do?menu_id=00000400|산격3동 행정복지센터]] || [[경북대학교/산격캠퍼스|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가 있는 곳으로 경북대학교 북문 상권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격3동에는 산격시장과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대구교육박물관[* 구 대구대동초등학교.], 신세계여성병원, 하나로마트가 있다. 산격3동은 산격2동이나 [[복현동|복현2동]]과 달리 아파트보다는 원룸과 단독주택의 비율이 높다. 산격3동에는 주로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산격캠퍼스|대구캠퍼스]]나 [[영진전문대학교]]를 다니며 자취하는 학생들이 많다. 상권으로는 북문 상권이 있으며, 주로 [[경북대학교]] 재학생들을 상대로 장사하는 곳이 많다. 복현오거리 쪽의 경우는 산격종합시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분포하며 이 쪽은 복현오거리 - 산격대우아파트와 같은 생활권이다. 교통 면에서는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과 [[대구역]] 간 거리가 비슷하며,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과 [[복현동]], [[검단동(대구)|검단동]] 간 거리가 비슷해서 양쪽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2029년 이후부터는 [[대구 도시철도 4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5호선]]이 지나갈 예정이다. [clearfix] === 산격4동 === ||<-2> '''[[북구(대구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산격4동}}}'''[br]山格四洞 | Sangyeok 4(sa)-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산격제4동&zoom=14,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450039 || || '''관할 법정동''' || 산격동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26반 || || '''면적''' || 0.74㎢ || || '''인구''' || 8,013명[*A] || || '''인구밀도''' || 10,828.3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국회의원 | 북구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양금희]] ,,(초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지만 ,,(재선),, || ||<-2> '''북구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상훈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준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성근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구체육관로 48[* 산격동 1490] || || [[http://www.buk.daegu.kr/dong/index.do?menu_id=00000401|산격4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대구시청 산격청사]], [[대구실내체육관]]과 신천둔치가 있는 동네이다. 산격4동도 산격1동과 비슷하게 원룸과 단독주택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산격청구아파트 외에는 주로 단독주택과 원룸 지역이다. 산격4동은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 [[대현동(대구)|대현동]]과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암동]]과 같은 생활권이다. 여기는 산격2동과 먼 지역이며, 오히려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이 훨씬 더 가깝다. 즉 산격4동 주민들은 대부분 볼 일을 복현오거리 쪽의 [[복현동]]과 산격2동이 아닌 [[침산동(대구)|침산동]], [[칠성동]]에서 해결한다. 경북대학교 서문 쪽에 상권이 있지만, 북문과 정문과 달리 침체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경북도청 후적지]]에 [[대구도심융합특구]]가 건설되고 경북대학교 서문과 쪽문 지역을 재개발하고 [[대구삼성창조캠퍼스]], [[판교테크노밸리]]와 비슷하게 [[아파트형 공장|지식산업센터]] 건설, IT 연구소, [[스타트업]] 위주 지구로 전환할 계획을 하고 있다. 교통 면에서는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보다 [[대구역]]이 더 가까우며,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지나갈 예정이다. [clearfix] == 교통 == === 철도 ===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 [[복현오거리역]], [[경대북문역]]-- 2027년 개통 예정. 현재는 [[도시철도]] 음영 지역이기에 지하철이없다. 4호선은 2027년 개통 예정이고, [[대구 도시철도 5호선|5호선]]은 장기 계획으로만 구상되고 있다. 따라서 버스만 이용해야 한다. 생활권 차이로 인하여 딱히 상대적으로 가까운 역이 어디라고 말하기가 어렵다. 목적지가 [[달서구]]나 [[시지지구]], [[경산시|경산]] [[하양읍]], [[영천시|영천]]처럼 멀리 떨어진 곳이 아닌 경우 버스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것도 그리 효율적인 이동 방식이 아니다. 그러므로 산격동에서 [[동성로(대구)|동성로]]로 가야 한다면 버스만 타고 이동하는 것이 좋다. === 시내버스 노선 === * [[대구 버스 급행2]] * [[대구 버스 급행6]] *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대구 버스 순환2/순환2-1]] *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대구 버스 순환3/순환3-1]] * [[대구 버스 101, 101-1|대구 버스 101/101-1]] * [[대구 버스 300]] * [[대구 버스 304]] * [[대구 버스 306]] * [[대구 버스 323, 323-1|대구 버스 323/323-1]] * [[대구 버스 349]] * [[대구 버스 403]] * [[대구 버스 410, 410-1|대구 버스 410/410-1]] * [[대구 버스 413]] * [[대구 버스 503]] * [[대구 버스 523]] * [[대구 버스 623]] * [[대구 버스 653]] * [[대구 버스 706]] * [[대구 버스 719]] * [[대구 버스 836]] * [[대구 버스 937]] * [[대구, 경산 버스 939]] * [[대구 버스 북구1]] * [[대구 버스 북구2]] * [[구미공항리무진]]에서 운영하는 공항버스 == 주요 시설 == * [[대구종합유통단지]] * [[EXCO]] * [[코스트코 대구점]] * [[KT]] 동대구지사 산격사옥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산격캠퍼스|대구캠퍼스]] : 예술대학, 대강당, 조소동·3합·2합 일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중도 구관]], 글로벌플라자, 대학본부, 사범대, 인문대, 대학원동, 농대, 자연대 본관·생명과학관·1·2과학관, 체육센터, 체육관, 백호관 * [[대구광역시/상권#s-5.2|경대북문]] * 산격종합시장 * [[대구실내체육관]]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산격청사]] === 주거 === * (주)보성 산격 보성아파트 - 1981년 4월 입주. * [[대우건설]] 산격 대우아파트 - 1999년 9월 입주. * 양우건설 산격 양우내안애 - 2010년 1월 입주. * 에덴주택 산격에덴 1차, 2차, 3차, 4차 - 1985,1986,1987년 입주. * 거평건설 산격수정 - 1983년 10월 입주. * [[GS건설]] 산격럭키 - 1984년 12월 입주. * 거평건설 산격거평 - 1998년 7월 입주. * (주)동화주택 산격동화타운 - 1997년 5월 입주. * 대영건설(주) 동성 - 1989년 3월 입주. * 금오건설 금오 - 1982년 4월 입주. * (주)청구산업개발 산격청구맨션1차 - 1996년 9월 입주. * (주)청구 산격청구맨션2차 - 1999년 10월 입주. * [[한신공영]] 럭키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 : 입주미정. * [[화성산업]] 산격2동 가로주택정비사업 : 입주미정.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북구(대구), version=247)] [[분류:북구(대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