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 Sahel}}} [[파일:external/blogs.worldbank.org/sahel.jpg]][* 지도에 오류가 있는데, [[세네갈]] 안쪽의 [[기니비사우]](Guinea-Bissau)라고 적힌 길쭉한 국가는 [[감비아]]이다. 세네갈 남쪽에 있는 나라가 기니비사우다.] [[사하라 사막]]과 [[사바나]]의 경계에 있는 점이지대로서, 서쪽으로는 [[세네갈]] 북부, 동쪽으로는 [[수단 공화국|수단]] 남부에 이르기까지 약 6,400km 폭의 [[사막화]]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지구 둘레가 40,000km인 것을 생각해보면 어마어마한 넓이. 이름의 유래는 해안을 뜻하는 [[아랍어]] ساحل에서 따왔다. == 기후 == 본디 1년의 대부분이 [[건기]]이고, 6~8월 반짝 지나가는 [[우기]]에 200mm 정도의 강우량을 보이는 [[스텝(지리)|스텝]] 또는 건조 사바나 지역이다. === 사막화 === 최근 [[아프리카]]의 인구 증가로 인해 [[지구]]에서 가장 급속하게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인구 증가가 사막화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더 많은 식량을 위해서 가축 수요를 늘려서 [[목축]]으로 인한 초원 파괴가 일어나며, 농림지를 개간하는 과정에서 [[화전(농업)|화전]] 등으로 인해서 땅이 황폐화되기 때문이다. 또 연료를 필요로 하는 과정에서 벌목 등의 삼림 파괴도 일어나기 때문에 사막화의 가속 페달을 밟는다. 게다가 이 지역 국가들은 세계적인 [[최빈국]]들이라 이 상황을 진정시킬 능력도 없다는 게 큰 문제. 그리고 위의 인공적 요인뿐만 아니라, 수십 년째 가뭄이 계속되는 등 기후와 관련된 자연적 요인도 존재한다. 현재 사헬 지대는 이러한 이유로 [[오아시스]] 주변을 빼곤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 황야가 되었다. 이 사헬 지대가 전부 사막이 될 경우[* 특히 [[니제르]]는 '''전 국토가 사막이 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지금도 국토의 80% 이상이 [[사하라 사막]] 안에 있다.] 사바나 지대까지 사막화의 위협을 받게 되고, 아프리카는 말 그대로 사막 대륙이 될 가능성이 농후할 것이다. 사바나 지역 동물들 또한 큰 피해를 입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사막화로 인해 경제적 빈곤과 정부의 무능함까지 겹치면서, 2019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의 패퇴 이후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새로운 본거지로 부상하고 말았다. 당장 일어난 [[부르키나파소 인질극]]과 각종 테러로 이름을 날린 [[말리]]와 [[나이지리아]] 북부도 사헬 지대에 있다. ==== 피해 ==== 1970년대 초와 80년대 초에 대규모 [[기근]], [[가뭄]]이 들어 수백만 단위로 인명이 아사하는 일이 벌어지던 곳으로, 언제든 이런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지역이다. 가뭄이 심해 많은 이주민들이 발생하고 있다. ==== 해결책 ==== 사헬 지대의 급속한 사막화와 이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는 [[유엔|UN]]에서 사막화 지역 주민들을 위한 지원과 사막화 방지를 위한 지식 및 기술 제공을 결의한 사막화방지협약을 체결한 계기가 되었다. 동시에 민간 기업 주도의 사헬 그린벨트 계획[* 사막화 저지 및 녹화 시도를 요지로 한 계획.]이나 '그린어스 계획'(Green Earth Project) 등의 녹화 계획이 수립 및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대기, 식생, 물, 지형 등의 다양한 요소가 해당 지역의 사막화에 관계되고 있다 보니, 보다 효율적인 사막화 저지 및 녹화 정책을 위해선 다방면에 걸친 심도 있는 연구와 조사를 토대로 보다 정확한 자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과학자들이 오랜 연구 끝에 개발한 방법들과 다른 국제기구들의 지원 방법들이 계속 실패하는 가운데 수세기 전부터 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던 '''"자이"'''라는 독특한 농법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걸로 보여 각광을 받고 있다. 구멍을 파서 드문드문 오는 비를 작물 뿌리에 집중시키는 방식의 농법인데, 이를 비료를 구멍 안에 넣고 지력을 보강하는 식으로 개량한 것이다. 처음에는 이 농법이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지만, 생각 외로 작물 수확량이 크게 늘고 지하수 양도 크게 늘어 녹화에도 효과를 내자 마을 전체에 퍼져나갔다. 급기야 이 농법이 [[토마스 상카라]]에 의해 인정받으면서 [[부르키나파소]] 전국에 퍼지기 시작했다. 사막화 방지는 물론이고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만든다는 소문이 확 퍼지자, 사막화로 고심하고 있는 [[말리]]나 [[니제르]], [[나이지리아]] 등 타 국가로까지 이 농법이 전파되어서 수만 km^^2^^에 달하는 지역을 녹화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이 농법을 사용 중인 지역은 위성 사진으로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성과를 증명해낸 지역 농민인 야쿠바 사와도고(Yacouba Sawadogo)는 문맹의 노인이지만 이미 국제적으로 상당한 유명인사로, 한국에도 다녀간 바 있다고 한다. [[http://blog.daum.net/stonehinge/8723855|링크 1]], [[http://cklist.egloos.com/5713878|링크 2]]. 그리고 부르키나파소 정부에서 그의 땅을 빼앗아갔다. 사실, 땅을 무단으로 가져가서 압수한 셈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땅을 되살린 공로도 있기 때문에 반발도 많다. 그나마, 국제적 반발을 받아서인지 10%나마 공로를 인정해 땅 소유권을 인정해줬다. 아무튼, 부르키나파소에서도 유명해져 많은 농부들이 사와도고에게 저 비법을 배우고자 몰려왔고 그들이 보답으로 주는 많은 생필품 덕으로 먹고 사는데 큰 문제는 없다고 한다. 게다가, 그에게 이런 배움을 받은 농부들이 그를 지도자처럼 받아들여 수천여명 지지자들이 몰려와 마을까지 이룰 지경인데 당연히 이 마을 자체도 무단으로 만들고 땅을 점거하고 있는 터라 부르키나파소 정부도 골치 아퍼하고 있다. == 이 지역의 국가 == [[나이지리아]], [[니제르]], [[세네갈]], [[수단 공화국]], [[에리트레아]], [[모리타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차드]], [[에티오피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아공]] 일부 지역이 이곳 사헬 지대에 속해 있다. 그리고 [[남수단]]은 사헬이 국토 대부분으로, 정확히는 사헬 동쪽인 수드 습지가 국토를 뒤덮고 있다. 이 지역의 국가들은 하나같이 화끈한 더위를 보이는데, 사헬 한복판에 위치한 [[하르툼]]은 여름에 섭씨 50도까지 치솟고, 남수단 수도 [[주바]]도 화끈한 더위로 유명하다. [[말리]] 북부의 [[팀북투]] 역시 화끈하게 덥다. 그나마 습도가 낮은 건조한 더위라 그늘에 들어가면 시원해서 동아시아 여름 날씨보단 쾌적한 편이다. == 여담 == 사막이 나오는 창작물에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네이버 웹툰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의 사헬여고와,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니할 사막]] 지역의 사냥터 사헬 지대가 있다. 2020년대 최근에 들어서는 [[쿠데타 벨트]]로도 불리고 있다. === [[메이플스토리]]의 사헬 지대 === 사헬 지대는 [[니할 사막]] 지역에 있는 메이플스토리의 대표적인 폭업 사냥터로 3개의 맵으로 나뉘어져 있다. 출현 몬스터는 모래 두더지, 스콜피온, 붉은 모래난쟁이. [[마가티아]]로 통하는 길이고 중간에 [[네트의 피라미드]]로 가는 포탈도 있다. 폭업 사냥터라는 명성에 맞게 몹의 수도 많고 리젠도 빠른 편이다. 최근에는 줄었지만 이곳으로 사냥을 하는 유저가 몰려 경험치 이벤트 때는 자리싸움이 나기도 한다. 특히 사헬지대 2 같은 경우는 더욱 심하다. 사헬이 폭업 사냥터인 이유는 몹 리젠도 잘 되지만, 사헬 지대 2 같은 맵은 완전히 x축으로 이루어진 지형이기 때문에 모든 직업군, 특히 x축 특화직업군은 80렙에 필수 사냥터다. [[분류:자연지리]][[분류:아프리카의 지명]][[분류:모리타니의 지리]][[분류:세네갈의 지리]][[분류:감비아의 지리]][[분류:니제르-나이지리아 관계]][[분류:차드-수단 공화국 관계]][[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사하라 이남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