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사헬 내전'''}}}[br]'''Islamic insurgency in the Sahel'''}}} || ||<-2> [[테러와의 전쟁]] 중 일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2> '''{{{#fff 기간}}}''' || ||<-2> [[2011년]] [[2월 15일]] ~ 현재 || ||<-2> '''{{{#fff 장소}}}''' || ||<-2> [[사하라 사막]] 및 [[사헬]] 지역 || ||<-2> '''{{{#fff 원인}}}''' || ||<-2> [[알카에다]]를 위시한 [[지하드]]의 [[마그레브]] 지역에서 세력 확장 || ||<-2>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가나)][br][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br][include(틀:국기, 국명=니제르)][br][include(틀:국기, 국명=말리)][br][include(틀:국기, 국명=베냉)][br][include(틀:국기, 국명=부르키나파소)][br][include(틀:국기, 국명=차드)][br][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br][include(틀:국기, 국명=코트디부아르)][br][include(틀:국기, 국명=토고)][br][[파일:UN기.svg|width=25]] [[UN|MINUSMA]],,(2013~),,[br][[파일: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로고.svg|width=25]] [[CFA 프랑/서아프리카|AFISMA]],,(2013~),,[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바그너 그룹]])[br][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2>[[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알카에다|AQIM]],,(2017~),,[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누스라트 알이슬람,,(2017~),,[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안사르 알샤리아,,(2012~),,[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안사르 울 이슬람,,(2016~),,[br][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출력=대사하라 이슬람 국가)][br] -----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width=25]][[보코하람]],,(2006~),,[br][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출력=서아프리카 이슬람 국가)][br][[파일:안사루 깃발.svg|width=25]]안사루 || ||<-2> '''{{{#fff 지원국}}}'''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br][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br][include(틀:국기, 국명=독일)][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모리타니)][br][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br][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br][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1> || ||<-2> '''{{{#fff 지휘관}}}''' || ||<^|1> ||<^|1> || ||<-2> '''{{{#fff 병력}}}''' || ||<^|1>[include(틀:국기, 국명=니제르)]: 12,000명[br][include(틀:국기, 국명=말리)]: 7,350명[br][[파일:UN기.svg|width=25]] [[UN|MINUSMA]]: 9,754명[br][[파일: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로고.svg|width=25]] [[CFA 프랑/서아프리카|AFISMA]]: 2,900명[br][include(틀:국기, 국명=차드)]: 30,350명[br][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5,100명[br]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1,325명+의 고문관 ||<^|1>[[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알카에다|AQIM]]: 1,000명~4,000명[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MUJAO 500명 이하[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5]] 알 무라비툰: 100명 이하[br][[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width=25]] 안사르 디네: 300명~10,000명[br][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출력=서아프리카 이슬람 국가)]: 6,000~20,000명 || ||<-2> '''{{{#fff 피해 규모}}}''' || ||<^|1>[include(틀:국기, 국명=말리)]: 3,300명+ 사망,,(2012~2017),, ||<^|1>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1년]] [[아랍의 봄]] 이후 [[사헬]] 지역 전역에 걸쳐서 [[지하드|지하디스트]]들이 일으킨 전쟁. 사헬 지역 중에서도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에서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 == 배경 == [[2007년]], [[알카에다|알카에다 마그레브 지부]]에서 [[알제리]] 정부를 겨냥한 반란 활동을 이어갔다. 알카에다는 [[마그레브 아랍인|알제리인]]과 [[투아레그족]]들을 끌어모으면서 세력을 확장시켰다. [[제1차 리비아 내전]] 이후, 남서[[리비아]] 지역에서 알카에다 군부 세력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알카에다는 더 조직적으로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 상세 == === [[말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2년 투아레그 반란)] [[제1차 리비아 내전]]에 [[무아마르 카다피]] 편에서 싸웠던 [[투아레그족]]이 전쟁 이후 무기를 습득한 채 본인들의 거주지역인 [[말리]]로 돌아와 [[아자와드]]의 독립을 위해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을 결성해 [[2012년 투아레그 반란|반란]]을 일으킨다. [[2012년]], 반란으로 인해 [[키달]], [[가오(도시)|가오]], [[팀북투]] 등 북말리 지역의 주요 도시들을 반란군이 지배하게 된다. 이 사태를 해결하지 못한 아마두 투마니 투레 대통령은 [[2012년 말리 쿠데타]]로 인해 축출당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말리 내전)] 반란은 [[말리 내전|내전]]으로 이어졌고,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을 지원하던 이슬람 지하디스트 단체 [[알카에다|AQIM]]의 분파인 MUJAO가 정복한 지역에 엄격한 [[샤리아]] 법체계를 도입하게 된다. 이는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과의 마찰로 이어졌고, 북말리 지역을 MUJAO에게 넘겨주게 된다. 지하드는 이후에도 빠르게 수도로 진격하면서 다른 대도시인 [[몹티]]를 에워싸우고 정부군과의 평화협정을 위한 교섭을 시도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이 [[2013년]] [[1월 11일]] 세르발 작전을 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참전을 했고 빠르게 북부 지역을 탈환하면서 지하디스트와 투아레그 반란군은 동북부 사막 지역으로 밀려나게 된다. === [[니제르]] === 옆나라 [[말리]]에서 일어난 [[말리 내전|내전]]의 영향으로 이슬람 지하디스트가 말리 북동부로 밀리면서 국경을 넘어 [[니제르]]로 서부 지역으로 들어와 여러 활동을 이어가면서 니제르 내에서도 공격을 했다.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지하드 공격이 발생했고, [[2017년]]부터는 강도가 심해지다가 [[2020년]] [[보코 하람]]이 [[투무르]] 지역 주민들을 상대로 공격을 했고 [[2021년]]부터는 니제르 내 주민들이 매달 공격을 받게 된다. === [[부르키나파소]] === [[2015년]], [[보코 하람]] 등 지하드 반란군이 [[부르키나파소]]로 들어와 시민들을 상대로 공격을 진행한다. 이후 [[2022년]]부터는 인근 국가인 [[베냉]]과 [[토고]]로 반란군이 유입되면서 활동 지역을 넓히게 된다. === [[차드]] === [[2014년]], [[나이지리아]]에서 활동하던 [[보코 하람]]이 반란의 성공 이후 [[차드]]와 [[니제르]]로 넘어가 활동을 시작한다. [[2015년]], [[알카에다]]와의 연대를 끊고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와의 연대를 한다. 그러나, 서아프리가 국가 연합군이 대대적으로 반격을 하면서 보코 하람 반란군은 니제르 지역에서의 활동을 제외한 타 국가에서의 활동을 중단하고 나이지리아의 삼비사 숲으로 후퇴하게 된다. == 경과 == == 둘러보기 == [include(틀:네덜란드의 대외전쟁)] [include(틀:덴마크의 대외전쟁)] [include(틀:독일의 대외전쟁)] [include(틀:미국의 대외전쟁)] [include(틀:스웨덴의 대외전쟁)] [include(틀:영국의 대외전쟁)] [include(틀:프랑스의 대외전쟁)] [[분류: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분류:알카에다]][[분류:내전]][[분류:말리의 역사]][[분류:니제르의 역사]][[분류:리비아의 역사]][[분류:알제리의 역사]][[분류:카메룬의 역사]][[분류:부르키나파소의 역사]][[분류:베냉의 역사]][[분류:가나의 역사]][[분류:토고의 역사]][[분류:차드의 역사]][[분류:2010년대 사건사고]][[분류:2020년대 사건사고]][[분류:아프리카의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