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사하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당리역|당 리]][br]← 0.9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04)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괴정역|괴 정]][br]0.9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사하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ha || || [[한자]] ||<-2><|2> 沙下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沙下, ruby=サハ)]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지하309 ([[괴정동(부산)|괴정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괴정역|괴정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4년 6월 23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2.4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사하역1.jpg|width=100%]]}}}|| || '''{{{#FFF [[스크린도어|{{{#FFF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4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지하309 ([[괴정동(부산)|괴정동]]) 소재. == 역 정보 == === 명칭 === [[사하구]]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 일대가 [[낙동강]] [[모래]]가 있는 곳 남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런데 사하역 인근은 사하구청 소재지도 아니며 [[사하구]]의 중심이자 대표하는 지역도 아니고 괴정동이지만 괴정역도 따로 있다. 1970~80년대 당시 지하철 계획안에 따르면 '희망촌역'이라는 가칭 역명이 붙어 있었다. 실제로 괴정4동엔 희망촌(希望村)이라는 마을이 있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역명으로 선정되지 않았다. 이렇다보니 딱히 선정할만한 역명이 없어 사하역으로 확정됐다. === 안내방송 === 1호선 역사중 유일하게 출입문 닫힘 안내방송을 정정하지 않고 개통당시 녹음된 방송을 사용했다. 안내방송 멘트는 "내리시는(또는 열차 문) 문이 닫히겠습니다. 물러서주시기 바랍니다."로 목소리가 매우 저음이라 음산한 느낌이 들었다. 여기서 안내방송 끝나고 나오는 뱃고동 소리 또한 투박해서 경우에 따라 듣기 거북할 정도였다. 이런 유형의 방송은 2호선이 개통한 1999년까지 있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이 있는 평범한 주거지역으로 조성되어 있어서 [[역세권]] 발달이 미약하며, 버스 환승도 불편해서 승객수가 그다지 많지 않다. 근처에 사하우체국, 사하전화국 등이 있다. 사하역 3번 출구로 나가서 낙동대로302번길을 따라 조금만 걸어가면 [[사하중학교]]가 있으며 반대로 1번 출구 쪽으로 나가서 [[마하로]]를 따라 멀지 않은 거리에 [[당리중학교]]가 있어서 이들 중학교 통학 수요가 존재한다. 또한 [[동아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해동고등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철도역이라 이들 통학 수요가 조금이나마 있지만 학교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버스를 탄다. 사하구청은 바로 옆 역인 [[당리역]]에 있다. 때문에 사하구청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내리면 안된다. == 일평균 이용객 == 사하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11,487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11,087명 || || || 2004년 || 10,599명 || || || 2005년 || 10,013명 || || || 2006년 || 8,788명 || || || 2007년 || 8,134명 || || || 2008년 || 8,231명 || || || 2009년 || 8,195명 || ||}}}}}}}}} || || 2010년 || 8,564명 || || || 2011년 || 8,919명 || || || 2012년 || 8,708명 || || || 2013년 || 8,786명 || || || 2014년 || 8,865명 || || || 2015년 || 8,600명 || || || 2016년 || 8,686명 || || || 2017년 || 8,919명 || || || 2018년 || 9,020명 || || || 2019년 || 8,940명 || || || 2020년 || 6,735명 || || || 2021년 || 7,041명 || || || 2022년 || 7,40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사하구]]의 이름을 딴 역이라 얼핏 보면 사하의 중심지로 보일 수 있는 곳이지만 하루 평균 이용객은 6,735명(2020년 기준)으로 저조하다. 이 역의 역세권은 괴정4동과 정확히 일치한다. 동매산 너머 동네(=1호선 다대포 연장 구간)에서 넘어오는 도로가 각각 [[당리역]], [[괴정역]]으로 연결되어 이 역에서 갈아탔던 승객이 거의 없다시피 했기에, 오로지 [[괴정동(부산)|괴정4동]] 주민만이 이용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만큼 역세권의 범위가 좁다. 앞서 말했듯이 [[사하중학교]]와 [[당리중학교]] 통학수요가 조금 존재할 뿐이다. 근처로 괴정[[삼익아파트]], 괴정자유1차아파트 등 아파트단지들이 여럿 위치해 있는데 사하역이랑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바로 앞으로 버스 정류장이 있어서 편하게 버스타고 가는 승객들이 더욱 많은 것도 사하역의 이용률을 떨어뜨리는데 일조한다. 다만 2021년 현재 사하역 바로 앞에 513세대인 사하역 [[동원로얄듀크]] 비스타동원 아파트가 준공되었고, 1314세대의 대규모 아파트인 [[힐스테이트]] 사하역은 2022년 12월 준공 예정인 등 도합 2000세대에 가까운 아파트단지가 준공되면 승객수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5 사하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5 사하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104.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당리역|당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괴정역|괴정]]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당리역|당리]]·[[하단역|하단]]·[[신평역|신평]]·[[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서면역|서면]]·[[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역 구내에 8퍼밀의 구배가 있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다대포항역|다대포항]] || ◁ || {{{#c0c0c0 사 하}}} || ▷ ||[[부산진역|부산진]] || == 연계 교통 == * 사하역(정류장 번호: 10-063) * [[부산 버스 2]]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6]] - 엄궁행 * [[부산 버스 113]] - 장림행 * [[부산 버스 126]]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3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심야포함] - 하단행 * [[부산 버스 1000|부산 버스 심야1000]] - 다대포행 * 사하역(정류장 번호: 10-064) * [[부산 버스 2]] - [[부산역]]행 * [[부산 버스 11]] - 영선동행 * [[부산 버스 16]] - 구덕운동장행 * [[부산 버스 113]] - 동삼중리행 * [[부산 버스 126]]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138]] - 장림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0|부산 버스 심야1000]] - 서면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사하2]]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사하구]][[분류:낙동대로(부산)]][[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