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Satono_Crown_Takarazuka_kinen_2017(IMG1).jpg|width=100%]]}}} || ||<-2> 이름 || サトノクラウン[br]Satono Crown[br]里見皇冠 || ||<-2> 출생 || [[2012년]] [[3월 10일]] ([age(2012-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2> 아비 || 마르주(Marju) || ||<-2> 어미 || 지오콘다 2(Jioconda II) || ||<-2> 외조부 || 로시니(Rossini)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주) 사토미 호스 컴퍼니 || ||<-2> 조교사 || [[호리 노리유키]] (미호) || ||<-2> 성적 || 20전 7승 (7-1-1-11) [br]17전 6승[*중앙][br]2전 1승[*HKG][br]1전 0승[*UAE] || ||<-2> 총상금 || 6억 3210만 3100엔[br]4억 8603만 6000엔[*중앙][br]940만 5000 홍콩 달러[*HKG] || ||<|3> 주요[br]우승 || G1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홍콩 바즈]](2016)[br][[타카라즈카 기념]](2017) || || G2 || [[야요이상]](2015)[br][[교토 기념]](2016, 2017) || || G3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14) || || 레이팅 || WBRR || L116 ([[틀:2015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5]]) / L123 ([[틀:2016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6]])[br]L122-I122 ([[틀:2017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7]]) || ||<-2> [[#s-3.2|주요 자마]] || '''[[타스티에라]]''' (2020)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2104668/|[[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1162905/|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세가 사미 홀딩스]]의 CEO 사토미 하지메 소유마 중 [[사토노 다이아몬드]]에 이어 두번째로 G1 승리를 차지한 말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마르주[br]{{{-2 Marju[br]1988}}}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라스트 타이쿤[br]{{{-2 Last Tycoon[br]1983}}}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트라이 마이 베스트[br]{{{-2 Try My Best}}}|| ||밀 프린세스[br]{{{-2 Mill Princess}}}|| ||<|2>플레임 오브 타라[br]{{{-2 Flame of Tara[br]1980}}}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아타이어스[br]{{{-2 Artaius}}}|| ||웰시 플레임[br]{{{-2 Welsh Flame}}}|| ||<|4>지오콘다 2[br]{{{-2 Jioconda II[br]2003}}}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로시니[br]{{{-2 Rossini[br]1997}}}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미스와키[br]{{{-2 Miswaki}}}|| ||터치 오브 그레이트니스[br]{{{-2 Touch of Greatness}}}|| ||<|2>라조콘데[br]{{{-2 La Joconde[br]199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베토리[br]{{{-2 Vettori}}}|| ||러스트[br]{{{-2 Lust}}}|| ||<-3>* [[노던 댄서]] 4×5 9.875%[br]* [[미스터 프로스펙터]] M4×M5 9.375%[br]* 벅패서 5×5 6.25%[br]* 서 아이버 M5×M5 6.25%|| || 주요 전형제[*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G1/Jpn1''' 우승마.]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라이트닝 펄'''[* 2011년에 영국의 G1인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2009)^^ || 아비 마르주는 3대조 이름을 따서 통칭 트라이 마이 베스트 계로 불리는 유럽의 [[노던 댄서]] 직계로, 마일~단거리를 중심으로 2022년 현재도 유럽 리딩 사이어 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혈통이지만 규모 자체는 마이너하고, 일본에서도 낮선 혈통이라고 할 수 있다. 사토노 크라운은 이 마르주의 마지막 세대 자마에 해당하는데, 사토노 크라운이 태어났을 당시 마르주는 무려 '''24세'''였다. 일본의 주류 혈통 중에서는 선데이 사일런스 계통과는 완전한 아웃브리드고, 킹 카메하메하 계통과는 크라운의 조부인 라스트 타이쿤이 카메하메하의 BMS이라 인브리드가 약하게 발생하는 정도. == 생애 == [include(틀:201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종마 생활 === [[파일:satono-crown1907310JFuku-_JNJ1265.jpg]]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연도 || 교배료[br](만 엔) || 교배[br]두수 || 자마[br]두수 || Sire[br]순위[* 중앙경마 기준] || 계양처 || || 2019 || 100 || 207 || - ||<|3> - ||<|5>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 || 2020 || 150 || 135 || 128 || || 2021 || 150 || 93 || 91 || || 2022 || 100 || 78 || 66 || 92 || || 2023 || 150 || 163 || (집계중) || - ||}}} 경주마 생활 은퇴 이후 지금은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하고 있으며, 2022년 6월 5일 도쿄 6R 신마전에서 자마 크랙 오브 던[* 모마 크랙 시드, BMS [[킹 카메하메하]].]이 우승하면서 첫 자마 승리를 기록했다. 이후 2023년 3월 5일 야요이상에서 자마 타스티에라가 우승하며 첫 중상 승리 자마를 배출했고, 이후 4월 16일 사츠키상에서 타스티에라가 2착을 기록했다. 2023년 4월 30일 오크스 트라이얼인 스위트피S에서 자마 우바로바이트가 우승하면서 클래식 트라이얼 1착마를 3마리나 배출하게 되었다.[* 다만 아쉽게도 우바로바이트는 진영에서 오크스에 출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타스티에라가 4번 인기로 출주하여 일본 더비를 우승함으로써 첫 클래식 우승마를 배출했다. 종마로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했는데 첫 자마부터 홈런을 치면서 종마로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크라운의 혈통은 현재 일본 경마계의 대세인 선데이 사일런스에서 딥 임팩트로 이어지는 SS계와 거리가 멀다. 그 때문에 선데이 사일런스 혈통을 가진 좋은 성적의 암말들(대표적으로 [[젠틸돈나]])과 인브리딩 걱정 없이 교배할 수 있다는게 큰 장점.] 자마들이 좋지 않은 평가를 받으며 입지가 좁아지다 결국 2024년부터 브리더즈 스탈리온 스테이션으로 옮기며 강등된 [[사토노 다이아몬드]]와는 정반대 양상. 최저 교배료로 일본 더비를 우승한 기록도 세웠다. 다만 타스티에라 이외의 자마들의 평균점은 높지 않은 편이며, 이 영향인지 2024년 종부료는 200만 엔으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 주요 산구 === 2020년산 * [[타스티에라]] -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2023), '''[[일본 더비|도쿄 우준]]'''(2023) == 기타 ==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1주년 기념 라이브 방송에서 공개된 두 명의 정체불명의 우마무스메중 왕관 모양의 머리 장식을 쓴 우마무스메의 정체로 추정되고 있다.(나머지 한 명은 [[슈발 그랑]]으로 추정중) 앞서 말한 왕관 모양의 머리 장식과 특유의 유성 무늬, 또한 1주년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토노 다이아몬드]]와 같은 '사토노 그룹' 소속이라는 언급에 '크라쨩'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해외 유학을 했다가 귀국했다'''라며 홍콩 바즈 출장 경력을 암시하는 등 아직 추측의 영역인 슈발 그랑과 달리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그렇게 최초 공개 후 무려 8~9개월여가 지난 22년 11월 5일이 되어서야 이 우마무스메의 정체가 사토노 크라운인 것이 확정되었다.[* [[슈발 그랑]]도 같은 날 함께 정체가 밝혀졌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br](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4년 {{{-1 (2세)}}} || || 10.25 || [[도쿄 경마장|도쿄]] || 2세 신마 || || 잔디 1800m || 2.7 || 2 || '''{{{#red 1착}}}''' || [[후쿠나가 유이치]] || (언탈러지) || || 11.24 || 도쿄 ||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8.1 || 4 || '''{{{#red 1착}}}''' || [[라이언 무어]] || (아브니르 마르셰) || ||<-10> 2015년 {{{-1 (3세)}}} || || 3.8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야요이상]] || GII || 잔디 2000m || 6.3 || 2 || '''{{{#red 1착}}}''' || [[후쿠나가 유이치]] || (브라이트 엠블럼) || || 4.19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3.1 || 1 || 6착 ||<|3> [[크리스토프 르메르]] || [[두라멘테]] || || 5.31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6.3 || 3 || 3착 || [[두라멘테]] || || 11.1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12.5 || 7 || 17착 || [[러블리 데이]] || ||<-10> 2016년 {{{-1 (4세)}}} || || 2.14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 기념]] || GII || 잔디 2200m || 9.2 || 6 || '''{{{#red 1착}}}''' || [[미르코 데무로]] || (터칭 스피치) || || 4.24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샤틴 || 퀸 엘리자베스 2세 컵 || '''G1''' || 잔디 2000m || (7/1) || 5 || 12착 || 잭 퍼튼 || 워더[* 뉴질랜드에서 생산된 홍콩의 경주마. 이 우승으로 2015-16 시즌 홍콩 올해의 말을 수상했다. 이후 2017년 홍콩 골드 컵을 우승하고, 2018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미키 로켓]]에 이어 2착을 하기도 했다.] || || 6.26 || [[한신 경마장|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28.7 || 9 || 6착 || [[이와타 야스나리]] || [[마리알라이트]] || || 10.30 || 도쿄 || 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1.5 || 8 || 14착 || [[후쿠나가 유이치]] || [[모리스(말)|모리스]] || || 12.11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샤틴 || '''[[홍콩 바즈]]''' || '''G1''' || 잔디 2000m || (195/10) || 7 || '''{{{#red 1착}}}''' || 주앙 모레이라 || ([[하이랜드 릴]])[* 2015, 2017년 홍콩 바즈를 우승했다. 2016년 홍콩 바즈에서는 2착이니 사토노 크라운이 없었다면 홍콩 바즈 3연패를 이룰 수 있었던 셈.] || ||<-10> 2017년 {{{-1 (5세)}}} || || 2.12 || 교토 || 교토 기념 || GII || 잔디 2200m || 4.4 || 3 || '''{{{#red 1착}}}''' ||<|5> [[미르코 데무로]] || ([[스마트 레이어]]) || || 4.2 || 한신 || [[오사카배]] || '''GI''' || 잔디 2000m || 4.4 || 3 || 6착 || [[키타산 블랙]] || || 6.25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9.0 || 3 || '''{{{#red 1착}}}''' || ([[골드 액터]]) || || 10.30 || 도쿄 || 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4.0 || 2 || 2착 || [[키타산 블랙]] || || 11.26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5.7 || 3 || 10착 || [[슈발 그랑]] || || 12.24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9.8 || 4 || 13착 || 라이언 무어 || [[키타산 블랙]] || ||<-10> 2018년 {{{-1 (6세)}}} || || 3.31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두바이 시마 클래식]] || '''G1''' || 잔디 2410m |||| 미발매 || 7착 || 주앙 모레이라 || 호크빌[* 미국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2016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우승마다.] || || 6.24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11.9 || 6 || 12착 || 이시바시 슈 || [[미키 로켓]] || || 11.25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87.4 || 9 || 9착 || 윌리엄 뷰익 || [[아몬드 아이]] ||}}} [include(틀:홍콩 바즈,grade=G1)] [include(틀:타카라즈카 기념,grade=GI)] ---- [include(틀:야요이상,grade=GII)] ---- [include(틀: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2012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노던 댄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