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천시/정치, top2=남해군/정치, top3=하동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남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사천시·남해군·하동군}}}}}}'''[br]{{{-1 {{{#fff [[사천시|{{{#fff 사천시}}}]], [[남해군|{{{#fff 남해군}}}]], [[하동군|{{{#fff 하동군}}}]][br]泗川市·南海郡·河東郡[br]Sacheon–Namhae–Hado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사천시·남해군·하동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00,990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사천시|{{{#000,#fff 사천시}}}]] 전역''' 동서금동, 동서동, 선구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 '''[[남해군|{{{#000,#fff 남해군}}}]] 전역''' 남해읍, 남면, 서면,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 ---- '''[[하동군|{{{#000,#fff 하동군}}}]] 전역'''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 ||<-2> '''신설년도''' ||<-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 ||<-2> '''이전 선거구''' ||<-2> [[사천시(선거구)|사천시]], [[남해군·하동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무소속)] || [[하영제]]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에 치른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시행된 [[선거구]]로,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이전까지 [[사천시]]는 단일 선거구였고, [[하동군]]·[[남해군]] 두 지역을 합친 공동 선거구가 따로 있었으나, 하동군과 남해군의 인구가 나날이 감소하여 옆의 사천시와 합쳐서 3개의 지역이 하나의 선거구를 형성하도록 조정되었다. 정치 성향은 농촌 지대인 서부경남답게 기본적으론 [[보수주의]] 정당이 강세를 보이는 곳이지만, 의외로 서경남 내 또다른 [[국회의원]] 선거구들인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밀양시]]와 [[함안군]]은 보수세가 약하고, 반대로 [[의령군]]과 [[창녕군]]은 보수세가 강하다.],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이 [[지역구]]는 죄다 농어촌 지역이기 때문에 [[경북]]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중 [[고령군]], [[성주군]], [[김천시(선거구)|김천시]]와 같은 [[경북]] 서남부 지역 못지않게 보수세가 강하다. 특히 [[합천군]]과 [[거창군]]은 행정구역만 경남이지 대구의 영향권 아래 있다보니 더 그런 편이다.]과 비교하면 [[함안군]], [[진주시 갑]], [[진주시 을]]과 함께 [[보수주의|보수]] 성향이 비교적 약한 편이다.[* 앞의 두 선거구에 속한 지자체들은 경남쪽 대도시들보다 대구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 꽤 있다보니 상대적으로 더 보수성향이 강할 수밖에 없다. 반면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은 전국 광역단체 중 가장 민주당세가 강한 전라남도와 맞닿아 있어 앞의 두 선거구보다는 보수세가 약하다.] 일단 [[사천시]]는 [[한국항공우주산업]] 본사, [[연구소]], 생산공장이 위치해 있어 [[연구원]], [[생산직|생산직 근로자]] 등 외지인들이 많은 편이고, 또한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단위의 지역이다. 게다가 [[하동군]]과 [[남해군]]은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여수시 갑]], [[여수시 을]][* 그런데 해당 [[지역구]]들도 [[전라도]] 치고는 친민주당 성향이 약한 곳들이다. 전남에서 손꼽히는 공업지역이라 외지 노동자가 많이 와서 일하기 때문에, 친민주당 성향이 약한 대신 진보정당 지지율이 높은 편이다.]과 같은 동전남과의 교류가 많은데다 해당 지역 출신 주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편이라 서경남 치고는 보수정당 지지세가 약하다. 그래서인지 선거 때마다 서경남의 일반적인 모습과는 종종 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3개 지역 중에서 사천시는 심지어 단일 선거구 시절에는 '''[[민주노동당]]의 [[강기갑]]'''이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전례가 있기도 하다. 당시 당선자 강기갑은 2위 [[한나라당]] [[이방호]]를 득표율 '''0.36%''', 표차 '''178표''' 차로 꺾었다. 이 때문에 강기갑은 현재까지 유일한 서부경남 지역구의 [[진보정당]] 출신 국회의원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이 당시에 이방호가 한나라당 사무총장으로 공천 과정에서 친박계를 학살하다시피 하면서 '''[[친박]] 성향 유권자들이 강기갑에 몰표'''를 줬던 게 선거에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이지[* 비슷한 예로 [[이재오]]가 [[문국현]]에 밀려 [[낙선]]했던 [[은평구 을]]이 있다.], 사천이 [[울산광역시]]와 [[창원시]] 같이 [[진보주의]] 성향이 강한 동네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후 선거에서 사천 한정으로 [[민주당계 정당]] 혹은 진보정당이 1위를 차지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더불어민주당]]이 [[경남도지사]] 선거에서 승리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도지사]], [[시장(공무원)|시장]] 모두 [[자유한국당]]이 1위를 차지했다. 남해군과 하동군도 각각 1승씩 가져갔는데도 말이다.] 그리고 다른 도농 복합시와는 달리 동 지역(구 [[삼천포시]])이 읍면 지역(구 사천군)보다 더 보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데, [[20대 대선]] 당시 두 지역 모두 [[윤석열]] 후보가 승리했지만,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는 각각 67.59% : 28.70%, 60.88% : 34.87%로 10%p 넘는 차이를 보였다.[* 의외라고 볼 수 있겠지만, 조금만 더 살펴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데, [[동(행정구역)|동]] 지역은 삼천포항을 중심으로 한 어업기지라 토박이 비율이 높은 데 반해, [[진주시]] 생활권이자 공단지대 및 군부대가 있는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특히 사남면, 사천읍)은 외지인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하동군도 서경남 치고는 보수 성향이 비교적 약한 동네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하동군이 행정구역 상으로 전라도와 직접적으로 마주하고 있는 접경지역이라, 전라도 지역과 교류도 많고 전라도 출신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남도 구례군과 마주보고 있는 [[화개장터]]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 하동군 내에서도 가장 전라도와 가까운 화개면의 경우, [[부울경]] 전역이 크게 보수화된 [[20대 대선]]에서도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3.78%나 득표할 정도였다. 남해군 또한 경남에서는 보수 성향이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이다. [[친노]] 성향의 정치인 [[김두관]]이 1995년과 1998년에 무소속으로 남해군수에 [[당선]]되었던 바 있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경남도지사에 당선될 때에는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올리기도 했다.[* 종전 문서에는 남해군이 3개 시, 군 중에서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나, 가장 최근에 치러진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은 곳은 남해군이 아니라 사천시였다.] 2012년에 치른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선 3곳 모두 [[새누리당]]의 [[박근혜]]가 승리하긴 했지만, 득표율 70%를 넘긴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사천시에선 68.9%, 하동군에선 65.3%, 남해군에선 68.1%에 그쳤다. 서부 경남에서 박근혜가 득표율 70%를 못 넘긴 곳은 이 3곳과 [[함안군]], [[진주시]], [[밀양시]] 뿐이다. 반면, [[민주통합당]]의 [[문재인]]은 사천시에서 30.5%, 하동군에서 33.4%, 남해군에서 30.8%를 득표해 3곳 모두 30% 이상의 득표를 올렸다. 문재인이 서경남에서 득표율 30%를 넘긴 곳은 이 3곳과 함안군, 진주시 뿐이다. 2017년에 치른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자유한국당]]의 [[홍준표]]가 3곳 모두 승리하긴 했지만, 3곳 모두 과반 이하의 득표를 했다. 사천시에선 45.7%, 남해군에선 47.3%를 득표했고 하동군에선 43.8% 득표에 그쳤났다.[* 심지어 보수세가 강한 지역들인 [[거창군]]과 [[산청군]],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에서도 과반이 넘지 않았다.] 유일하게 읍, 면, 동 단위에서 [[문재인]]에게 패배한 지역까지 있었다. 반면, 문재인은 남해군에서 29%, 사천시에서 31.5%, 하동군에서 33%를 득표해 지난 대선 때와 비슷한 득표율을 올려 자신의 지지층을 고스란히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범여권 후보들이였던 홍준표와 [[유승민]]의 득표율 합과 범야권 후보들이였던 문재인과 [[안철수]]과 [[심상정]]의 득표율 합을 비교해 보면 사천시에선 51.5% : 47.8%, 남해군에선 52.8% : 46.2%로 근소하게 범여권 후보의 경합 우세였고 하동군에선 49% : 49.6%로 오히려 범야권 후보가 근소하게 더 앞섰다. 같은 서경남인 [[합천군]]은 범야권 후보의 득표율을 모두 합쳐도 60.2%를 득표한 홍준표 1명의 득표율에도 못 미치고 그 밖의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의령군]]도 마찬가지였다는 점을 보면 확실히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세 곳 모두 서경남에선 비교적 보수세가 약한 곳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2022년에 치른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모두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사천시]]에서는 62.88% : 32.98%, [[남해군]]에서는 61.86% : 33.91%, [[하동군]]에서는 59.95% : 35.44%를 기록해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세 지역 모두 20~30%p 격차의 압승을 거둔 것이다. [[21대 국회]]인 현재 국회의원은 무소속 [[하영제]] 의원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9대 ||<|2> [[여상규]] ||<|2>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하영제]]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선거구 통합 이전 === [[사천시(선거구)]], [[남해군·하동군]] 항목 참조. === 선거구 통합 이후 (19대~)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사천시·남해군·하동군|{{{#ffffff {{{+1 '''사천시·남해군·하동군'''}}}}}}]][br]{{{#ffffff 사천시 일원[*사천 동서금동, 동서동, 선구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남해군 일원[*남해 남해읍, 남면, 서면,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 하동군 일원[*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여상규]](余尙奎)''' || '''57,840'''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0.30%''' || '''당선''' || ||<|2> {{{#ffffff {{{+5 '''3'''}}}}}} || 김일수(金一守) || 1,227 || 4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1.06% || 낙선 || ||<|2> {{{#ffffff {{{+5 '''4'''}}}}}} || [[강기갑]](姜基甲) || 27,653 || 3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4.05% || 낙선 || ||<|2> {{{#ffffff {{{+5 '''6'''}}}}}} || [[이방호]](李方鎬) || 28,25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4.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7,850 ||<|3> '''투표율'''[br]65.91% || || '''투표 수''' || 114,971 || || '''무효표 수''' || 2,245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10> {{{#ffffff '''19대 총선 사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통합진보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여상규|{{{#ffffff 여상규}}}]] || [[강기갑|{{{#ffffff 강기갑}}}]] || [[이방호|{{{#ffffff '''이방호'''}}}]] || || '''득표수[br](득표율)''' || '''14,480 [br] (25.62%)''' || '''15,062 [br] (28.42%)''' || {{{#ffffff '''25,334 [br] (44.82%)'''}}} || '''- 10,272 [br] (▼16.40)''' || || ||<-8> '''{{{#fff 구 삼천포시}}}''' || || '''득표율''' || {{{#c9252b '''18.98%'''}}} || {{{#782B90 '''20.02%'''}}} || {{{#808080 '''60.47%'''}}} || '''▼40.45''' || || || '''동서동''' || 21.26% || {{{#696969 15.12%}}} || {{{#808080 62.99%}}} || ▼41.73 || || || '''선구동''' || 18.50% || 20.18% || {{{#808080 60.95%}}} || ▼40.77 || || || '''동서금동''' || 19.31% || 16.44% || {{{#808080 '''63.70%'''}}} || '''▼44.39''' || || || '''벌용동''' || {{{#696969 17.06%}}} || 21.20% || {{{#808080 61.32%}}} || ▼40.12 || || || '''향촌동''' || 19.04% || 21.43% || {{{#808080 58.95%}}} || ▼37.52 || || || '''남양동''' || 20.80% || 25.60% || {{{#808080 52.86%}}} || ▼27.26 || || ||<-8> '''{{{#fff 구 사천군}}}''' || || '''득표율''' || {{{#c9252b '''31.43%'''}}} || {{{#782B90 '''35.50%'''}}} || {{{#808080 '''31.50%'''}}} || '''△4.00''' || || || '''사천읍''' || 33.79% || {{{#782B90 38.64%}}} || 25.60% || ▼4.85 || || || '''정동면''' || 29.27% || {{{#782B90 '''40.37%'''}}} || 28.72% || ▼11.10 || || || '''사남면''' || 28.30% || {{{#782B90 37.22%}}} || 33.31% || △3.91 || || || '''용현면''' || 28.97% || 30.87% || {{{#808080 39.18%}}} || ▼8.31|| || || '''축동면''' || 32.43% || 23.03% || {{{#808080 42.59%}}} || ▼10.16 || || || '''곤양면''' || 30.24% || 29.88% || {{{#808080 37.97%}}} || ▼7.73 || || || '''곤명면''' || {{{#c9252b '''42.36%'''}}} || 34.24% || {{{#696969 21.91%}}} || △8.12 || || || '''서포면''' || 31.80% || 30.98% || {{{#808080 35.75%}}} || ▼3.95 || || || '''후보''' || [[여상규|{{{#c9252b 여상규}}}]] || [[강기갑|{{{#782B90 강기갑}}}]] || [[이방호|{{{#808080 이방호}}}]] ||<-2>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28.57% || {{{#782B90 55.10%}}} || 12.24% ||<-2> ▼26.53 || || '''국내부재자투표''' || 27.27% || 33.84% || {{{#808080 36.05%}}} ||<-2> ▼2.21 || [[사천시]] 선거구와 [[하동군]]·[[남해군]] 선거구가 합쳐진 뒤 처음으로 치르는 선거이다. 사천시 현역 국회의원인 [[통합진보당]]의 [[강기갑]] 의원이 출마해 3선에 도전했고 하동군·남해군 현역 국회의원인 [[새누리당]]의 [[여상규]] 의원도 재선에 도전했다. 또 지난 [[18대 총선]] 당시 [[친박]]계 공천 학살의 주범이자 사천시에서 강기갑에게 178표 차로 패배한 이변의 희생양 [[친이]]계 [[이방호]]가 이번엔 역으로 공천권을 쥔 친박계에게 찍혀 낙천되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거기에 [[자유선진당]]도 김일수 후보를 내보냈다. [[민주통합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 즉, 보수 후보 셋에 진보 후보 하나인 상황이다. 그러나 보수 표심이 셋으로 갈라졌어도 크게 달라진 건 없었다. 여상규가 과반을 살짝 넘는 득표를 하며 가볍게 재선에 성공했다. 지난 총선 때 사천시에서 당시 현역 의원 이방호를 단 178표 차로 꺾고 당선된 이변의 주역 강기갑은 이번엔 이방호에게 598표 차로 패하며 3위로 밀려났다. 시, 군 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사천시에서는 이방호가 44.82%의 득표율로 1위, 강기갑이 28.42%로 2위, 당선자 여상규는 오히려 25.62%에 그쳐 강기갑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그러나 고향 하동군이 여상규를 살렸다. 하동군에서 여상규에게 무려 '''80.4%'''의 몰표를 주었다. 강기갑은 15.63%로 2위, 이방호는 겨우 2.93% 득표에 그쳤다. 남해군에서도 여상규가 무려 67.23%의 몰표를 받았고 강기갑은 24.49%로 2위, 이방호는 여기서도 7.27% 득표에 그쳐 3위를 차지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사천시·남해군·하동군|{{{#ffffff {{{+1 '''사천시·남해군·하동군'''}}}}}}]][br]{{{#ffffff 사천시 일원[*사천 동서금동, 동서동, 선구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남해군 일원[*남해 남해읍, 남면, 서면,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 하동군 일원[*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여상규]](余尙奎)''' || '''59,71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4.83%''' || '''당선''' || ||<|2> {{{#ffffff {{{+5 '''2'''}}}}}} || 남명우(南明祐) || 13,779 || 3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2.65% || 낙선 || ||<|2> {{{#ffffff {{{+5 '''5'''}}}}}} || [[차상돈]](車尙暾) || 35,41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2.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7,799 ||<|3> '''투표율'''[br]62.68% || || '''투표 수''' || 108,911 || || '''무효표 수''' || 2,529 || 이번 선거에서도 [[새누리당]]은 현역 의원 여상규가 나와서 3선 도전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지역위원장 남명우가 출마했고 그 밖에 사천경찰서장 출신 [[차상돈]][* 본래는 [[새누리당]] 출신으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새누리당 사천시장 예비후보로 출마했으나 공천받지 못하고 탈당, 더민주로 입당해서 사천시장 후보로 출마했지만 40%대 초반 득표율로 낙선한 전력이 있다.]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해 3파전이 열렸다. 무소속 차상돈 후보는 무려 32.51%나 득표할 정도로 만만찮은 경쟁력을 보였으나, 여상규가 54.83%의 득표율을 기록해 여유롭게 3선에 성공했다. 여전히 서부 경남은 보수 강세 지역임을 보여주었다. 시, 군 별로 살펴보면 사천시에선 차상돈 후보가 49.33%로 1위를 했고 여상규는 40.21% 득표에 그쳐 지난 총선에 이어 사천시에서만큼은 재미를 보지 못했다. 반면, 여상규의 고향인 하동군에선 여상규가 70.65%의 몰표를 받았고 차상돈은 12.56%에 그쳐 16.77%를 득표한 남명우 후보에게도 밀렸다. 남해군에서도 여상규가 67.37%의 몰표를 받았고 차상돈은 20.21%로 2위, 남명우는 12.41%로 3위에 그쳤다. 즉, 여상규는 지난 총선과 같이 사천시에서 지고 하동군과 남해군의 몰표 덕에 승리했고 차상돈은 사천시에서 이기고 하동군과 남해군에서 패배하며 낙선했음을 알 수 있다. 남명우는 3개 시, 군에서 10.46~16.77%의 득표에 그치며 아예 [[쩌리]]로 전락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사천시·남해군·하동군|{{{#ffffff {{{+1 '''사천시·남해군·하동군'''}}}}}}]][br]{{{#ffffff 사천시 일원[*사천 동서금동, 동서동, 선구동, 벌용동, 향촌동, 남양동,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남해군 일원[*남해 남해읍, 남면, 서면, 이동면, 상주면, 삼동면, 미조면, 고현면, 설천면, 창선면], 하동군 일원[*하동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황인성(1953)|황인성]](黃寅成) || 45,21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7.61% || 낙선 || ||<|2> {{{#ffffff {{{+5 '''2'''}}}}}} || '''[[하영제]](河榮帝)''' || '''71,620'''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9.59%''' || '''당선''' || ||<|2> {{{#ffffff {{{+5 '''7'''}}}}}} || 고외순(高外順) || 1,175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97% || 낙선 || ||<|2> {{{#ffffff {{{+5 '''8'''}}}}}} || 정승재(鄭承宰) || 2,17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8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5,918 ||<|3> '''투표율'''[br]69.6% || || '''투표 수''' || 122,516 || || '''무효표 수''' || 2,333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황인성(1953)|{{{#ffffff 황인성}}}]] || [[하영제|{{{#ffffff '''하영제'''}}}]] || || '''득표수[br](득표율)''' || '''45,212 [br] (37.61%)''' || {{{#ffffff '''71,620 [br] (59.59%)'''}}} || '''- 26,408 [br] (▼21.98)''' || '''175,918 [br] (69.6%)''' || ||<-10> {{{#ffffff '''21대 총선 사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황인성(1953)|{{{#ffffff 황인성}}}]] || [[하영제|{{{#ffffff '''하영제'''}}}]] || || '''득표수[br](득표율)''' || '''25,530 [br] (40.86%)''' || {{{#ffffff '''34,981 [br] (55.99%)'''}}} || '''- 9,451 [br] (▼15.13)''' || '''63,497 [br] (66.96%)''' || ||<-8> '''{{{#fff 구 삼천포시}}}''' || || '''득표율''' || {{{#004ea2 '''36.28%'''}}} || {{{#ef426f '''61.33%'''}}} || '''▼25.05''' || '''66.10%''' || || '''동·서동'''[*A 법정동 '''동''''동 + '''서동'''' · 대방동 · 실안동 · 늑도동 · 마도동, 삼천포수산시장이 있는 동네] || 25.38% || {{{#ef426f '''72.91%'''}}} || {{{#696969 ▼47.53}}} || 64.59 || || '''선구동'''[*B 법정동 선구동 · 동림동 · 좌룡동, 삼천포중앙시장이 있는 동네] || 32.33% || {{{#ef426f 65.56%}}} || ▼33.23 || 64.80 || || '''동·서금동'''[*C 법정동 '''동'''금동 + '''서금''''동, 삼천포항이 있는 동네] || 33.75% || {{{#ef426f 64.21%}}} || ▼30.46 || 65.46 || || '''벌·용동'''[*D 법정동 '''벌'''리동 + '''용'''강동 · 와룡동] || 40.85% || {{{#ef426f 56.54%}}} || ▼15.69 || 66.02 || || '''향촌동'''[*E 법정동 향촌동 · 봉남동 · 이금동 · 이흘동 · 궁지동 · 사등동] || 40.60% || {{{#ef426f 56.44%}}} || ▼15.84 || 66.38 || || '''남양동'''[*F 법정동 죽림동 · 송포동 · 노룡동 · 대포동 · 신벽동 · 백천동 (옛 남양면)] || 38.14% || {{{#ef426f 59.31%}}} || ▼21.17 || 69.91 || ||<-8> '''{{{#fff 구 사천군}}}''' || || '''득표율''' || {{{#004ea2 '''43.19%'''}}} || {{{#ef426f '''53.39%'''}}} || '''▼10.20''' || '''64.49%''' || || '''사천읍'''[*G [[사천공항]] 및 [[제3훈련비행단]]이 있는 동네] || 46.25% || {{{#ef426f 49.95%}}} || ▼3.70 || {{{#696969 62.48}}} || || '''정동면'''[*H 사천읍내와 시가지가 연결된 동네] || 45.05% || {{{#ef426f 51.24%}}} || ▼6.19 || 63.62 || || '''사남면'''[*I 사천항공산업단지가 있는 동네] || {{{#004ea2 '''50.80%'''}}} || {{{#696969 45.63%}}} || '''△5.17''' || 66.05 || || '''용현면'''[*J 사천시청이 있는 동네] || 39.91% || {{{#ef426f 56.87%}}} || ▼16.95 || 63.54 || || '''축동면''' || 33.62% || {{{#ef426f 63.43%}}} || ▼29.81 || '''73.18''' || || '''곤양면''' || 32.72% || {{{#ef426f 64.18%}}} || ▼31.47 || 68.14 || || '''곤명면''' || {{{#696969 25.25%}}} || {{{#ef426f 72.48%}}} || ▼47.22 || 65.79 || || '''서포면''' || 34.14% || {{{#ef426f 63.41%}}} || ▼29.27 || 62.70 || || '''후보''' || [[황인성(1953)|{{{#004ea2 '''황인성'''}}}]] || [[하영제|{{{#ef426f 하영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4.92% || {{{#ef426f 58.45%}}} ||<-2> ▼23.53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9.81%}}} || 44.97% ||<-2> △4.84 || || '''재외투표''' || {{{#004ea2 69.44%}}} || 30.55% ||<-2> △38.89 || ||<-10> {{{#ffffff '''21대 총선 남해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황인성(1953)|{{{#ffffff 황인성}}}]] || [[하영제|{{{#ffffff '''하영제'''}}}]] || || '''득표수[br](득표율)''' || '''8,222 [br] (29.73%)''' || {{{#ffffff '''18,921 [br] (68.43%)'''}}} || '''- 10,699 [br] (▼38.70)''' || '''28,232 [br] (71.60%)''' || || '''남해읍''' || '''35.12%''' || {{{#ff7e9d 63.41%}}} || '''▼28.29''' || 70.11 || || '''이동면''' || 23.87% || {{{#ef426f 74.63%}}} || ▼50.77 || '''73.59''' || || '''상주면''' || 30.72% || {{{#ef426f 67.29%}}} || ▼36.56 || 71.06 || || '''삼동면''' || 29.77% || {{{#ef426f 69.00%}}} || ▼39.23 || 68.72 || || '''미조면''' || 26.41% || {{{#ef426f 72.03%}}} || ▼45.62 || {{{#696969 66.32}}} || || '''남면''' || 27.55% || {{{#ef426f 70.60%}}} || ▼43.05 || 68.61 || || '''서면''' || 23.57% || {{{#ef426f 75.38%}}} || ▼51.81 || 71.76 || || '''고현면''' || 33.82% || {{{#ef426f 63.68%}}} || ▼29.86 || 69.47 || || '''설천면''' || 27.96% || {{{#ef426f 70.56%}}} || ▼42.60 || 71.27 || || '''창선면''' || {{{#696969 18.61%}}} || {{{#ef426f '''79.35%'''}}} || ▼60.75 || 68.66 || || '''후보''' || [[황인성(1953)|{{{#004ea2 황인성}}}]] || [[하영제|{{{#ef426f '''하영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9.72% || {{{#ef426f 65.94%}}} ||<-2> ▼36.22 || || '''관외사전투표''' || 40.72% || {{{#ef426f 55.21%}}} ||<-2> △14.49 || || '''재외투표''' || {{{#004ea2 55.55%}}} || 44.44% ||<-2> △11.11 || ||<-10> {{{#ffffff '''21대 총선 하동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황인성(1953)|{{{#ffffff 황인성}}}]] || [[하영제|{{{#ffffff '''하영제'''}}}]] || || '''득표수[br](득표율)''' || '''11,460 [br] (38.12%)''' || {{{#ffffff '''17,718 [br] (58.93%)'''}}} || '''- 6,258 [br] (▼20.82)''' || '''30,787 [br] (73.88%)''' || || '''하동읍''' || 41.50% || {{{#ef426f 55.61%}}} || ▼14.11 || 70.34 || || '''화개면''' || '''44.03%''' || {{{#ff7e9d 52.79%}}} || '''▼8.75''' || 72.26 || || '''악양면''' || 38.36% || {{{#ef426f 59.31%}}} || ▼20.95 || 70.10 || || '''적량면''' || 38.81% || {{{#ef426f 58.27%}}} || ▼19.45 || 71.78 || || '''횡천면''' || 32.29% || {{{#ef426f 64.58%}}} || ▼32.29 || 73.51 || || '''고전면''' || 35.67% || {{{#ef426f 62.39%}}} || ▼26.72 || {{{#696969 69.01}}} || || '''금남면''' || 34.50% || {{{#ef426f 62.58%}}} || ▼28.07 || 69.98 || || '''금성면''' || 39.81% || {{{#ef426f 57.80%}}} || ▼18.00 || 73.64 || || '''진교면''' || 34.87% || {{{#ef426f 61.98%}}} || ▼27.11 || 71.02 || || '''양보면''' || 31.13% || {{{#ef426f 66.57%}}} || ▼35.44 || 74.66 || || '''북천면''' || {{{#696969 24.43%}}} || {{{#ef426f '''72.70%'''}}} || {{{#696969 ▼48.27}}} || 70.79 || || '''청암면''' || 37.74% || {{{#ef426f 59.14%}}} || ▼21.40 || '''77.47''' || || '''옥종면''' || 32.08% || {{{#ef426f 65.91%}}} || ▼33.82 || 72.73 || || '''후보''' || [[황인성(1953)|{{{#004ea2 황인성}}}]] || [[하영제|{{{#ef426f '''하영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3.78% || {{{#ef426f 59.17%}}} ||<-2> ▼25.39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8.28%}}} || 47.63% ||<-2> △0.65 || || '''재외투표''' || {{{#004ea2 53.84%}}} || 42.30% ||<-2> △11.54 || 이 지역 현역의 3선 의원이었던 미래통합당 [[여상규]] 의원은 고령으로 접어드는 나이 때문이었는지 이미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역위원장을 맡았던 [[제윤경]] 의원(비례대표)또한 최종적으로 출마를 하지 않으면서 [[황인성(1953)|황인성]] 전 [[민주평통]] 사무처장이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재철(언론인)|김재철]] 전 MBC 사장, 김태은 전 국회 입법조사관, 이태용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주용환 전 사천경찰서장, 정승재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장, 최상화 전 청와대 춘추관장, 황인경 전 한국원자력연구원 감사, [[하영제]] 전 [[남해군]]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공천관리위원회 심사 결과 이태용, 최상화, 하영제 3인이 경선 후보로 확정되어 경선을 치렀으며, 하영제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선거 결과 역시 [[여상규]] 의원이 3선을 했던 지역구 답게 처음으로 국회의원 선거 출마이기도 했던 [[미래통합당]] [[하영제]] 후보가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그러나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도 지난 선거에 비해 3배나 올라갔다. 민주당은 사천시>하동군>남해군 순서로 높은 득표율을 냈고, 미래통합당 후보는 남해군>하동군>사천시 순서로 높은 득표율을 냈으며 특히 하영제 후보의 고향이자 군수를 했던 남해군에선 무려 70% 가까이 몰표가 하영제 후보에게 갔다. 반면 황인성 후보의 고향인 사천시에선 황인성 후보가 1개의 읍면동(사남면)에서 이기고 40%를 얻어서 선전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사천시·남해군·하동군|{{{#ffffff {{{+1 '''사천시·남해군·하동군'''}}}}}}]][br]{{{#ffffff 사천시 일원[*사천], 남해군 일원[*남해], 하동군 일원[*하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현역인 [[하영제]] 의원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어 탈당한 상황으로 출마 여부가 불투명하다. 보통 복합 선거구는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 지역 사람을 주로 공천한다는 걸 보면 양당 모두 [[사천시]] 출신 인물을 후보로 내세울 가능성이 있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남도의 정치]][[분류:사천시]][[분류:남해군]][[분류:하동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