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사천시)] [include(틀:사천시의 읍면동)]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69px-Sacheon-map.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동 == === '''남양동''' === ||{{{#black '''남양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남양동)] || ||'''면적'''||23.3㎢|| ||'''하위 행정구역'''||6법정동[* 20통 85반]|| ||'''인구'''||4,994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복지센터'''||임내안길 65||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8.web|남양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노룡동·대포동·백천동·송포동·신벽동·죽림동이다. 시내의 서북쪽에 있으며 용현면과 인접해 있다. 동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송포동과 죽림동에 주택가도 좀 있고 공장도 좀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나머지는 그냥 농촌. 죽림동에는 예비군훈련장이 있다. 학교는 남양초, [[남양중학교(경남)|남양중]]이 있다. === '''동서동''' === ||{{{#black '''동서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동서동)] || ||'''면적'''||9.73㎢|| ||'''하위 행정구역'''||7법정동[* 35통 103반]|| ||'''인구'''||5,795명[* 동서동: 5,557명 / 신수출장소: 238명][*A]|| ||'''행정복지센터'''||수남길 102||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3.web|동서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늑도동·대방동·동동·마도동·서동·신수동·실안동이다. 동동, 서동에 삼천포 시가지의 서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舊 삼천포항과 삼천포여객터미널이 이 곳에 있다. 대방동에는 [[창선삼천포대교]]의 북쪽 진입로가 있으며 이 다리가 늑도동의 초양도, 늑도를 거쳐 [[남해군]] [[창선면]]으로 연결된다. [[사천바다케이블카]]도 이 곳에 있는데 각산, 대방동, 초양도를 연결한다. 이 케이블카가 생기면서 작은 섬이었던 초양도에 무려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아쿠아리움]]이 생겨버렸다. 초양도는 북쪽에 있는 유채꽃밭도 꽤 유명하다. 서쪽 끝에는 조그만 어촌마을이지만 낙조와 해안도로로 유명한 실안동이 있다. 인근의 유일한 영화관인 아르떼리조트 [[메가박스 삼천포]]점도 여기에 있다. 마도동은 실안동 앞바다의 마도와 저도를 포함하며 둘 다 조그만 섬의 어촌마을. 학교는 대방초, 삼천포초 신수도분교가 있다. 신수동은 삼천포신항 앞에 있는 제법 큰 섬인데 선착장 인근을 제외하면 민가가 거의 없다. 신수동은 행정동 동서동 관할이긴 하지만 [[사천시청]] 직할 신수출장소에서 행정업무를 직접 담당한다. 이 외에도 삼천포 앞바다의 섬들은 전부 이 동 소속이다. 청널공원 남쪽 바닷가에 신수도행 도선을 타는 곳이 있다. 마도동을 구성하는 마도와 저도로 가는 도선은 수협 활어회센타 근처에서 탈 수 있다. === '''동서금동''' === ||{{{#black '''동서금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동서금동)] || ||'''면적'''||0.94㎢|| ||'''하위 행정구역'''||2법정동[* 20통 110반]|| ||'''인구'''||6,168명[*A]|| ||'''행정복지센터'''||동금로 27||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5.web|동서금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동금동·서금동이다. 삼천포 시가지의 남쪽 끝을 형성한다. 사천시에서 면적이 가장 작다(0.95㎢). 삼천포신항, [[사천경찰서]], [[사천소방서]]가 이 곳에 있다. 학교는 노산초, [[삼천포공고]], 삼천포여고가 있다. === '''[[벌용동]]''' === ||{{{#black '''벌용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벌용동)] || ||'''면적'''||9.71㎢|| ||'''하위 행정구역'''||3법정동[* 40통 206반]|| ||'''인구'''||15,100명[*A]|| ||'''행정복지센터'''||벌용길 60||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6.web|벌용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벌리동·[[와룡동(사천)|와룡동]]·[[용강동(사천)|용강동]]이다. 사천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벌리동은 사천시의 중심시가지의 절반을 형성하며 선구동과 함께 지역 내에선 그나마 가장 번화한 곳이다. 그 영향으로 과거 삼천포시청 역시 이 곳에 있었으며, 현재도 인접한 [[용강동(사천)|용강동]]까지 주거지가 약간 조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삼천포종합운동장과 [[홈플러스]] 삼천포점,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도 이 곳에 있다. [[와룡동(사천)|와룡동]]은 [[와룡산(사천)|와룡산]] 밑 쪽에 길쭉한 분지에 형성된 동네로 보통 와룡골이라고 부른다. 와룡저수지와 [[와룡산(사천)|와룡산]] 사이를 찾는다면 그 동네 맞다. 삼천포 시가지를 흐르는 하천인 삼천포천이 이 곳에서 발원한다. 학교는 문선초, [[삼천포중학교|삼천포중]], 삼천포여중, [[삼천포제일중]], 삼천포중앙여중, [[삼천포고]], 삼천포중앙고가 있다. 원래는 벌용동이 맞지만, 행정동 설치 당시 행정상 오류로 인해 그 동안 '벌룡동'으로 불렸다.[* 유사한 예로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법정동)-팔룡동(행정동)이 있다.]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52&nttId=77091|결국 2020년에 이 사실이 인지되어 원래 명칭인 벌용동으로 정정하였다.]] === '''선구동''' === ||{{{#black '''선구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선구동)] || ||'''면적'''||3.38㎢|| ||'''하위 행정구역'''||3법정동[* 23통 109반]|| ||'''인구'''||4,787명[*A]|| ||'''행정복지센터'''||각산로 22||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4.web|선구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동림동·선구동·좌룡동이다. 인구는 '''4,944명'''.[*A] 동서동과 동서금동·벌룡동 사이에 끼어 길쭉하게 있으며, 맨 아래쪽에 노산공원이 있는 선구동에는 동서동에, 그 위의 동림동은 벌룡동에 묻어가는 분위기가 강하다. 좌룡동은 [[용강동(사천)|용강동]] 위쪽에 있는 농촌인지 주거지역인지 무지하게 아리송한 동네로, [[와룡동(사천)|와룡동]]으로 들어가는 입구이며 [[이마트]] 사천점이 있다. 선구동에 구 중심가 격인 삼천포중앙시장이 있다. 학교는 대성초, 삼천포초가 있다. === '''향촌동'''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rd1=향촌동(대구))] ||{{{#black '''향촌동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향촌동)] || ||'''면적'''||12.4㎢|| ||'''하위 행정구역'''||3법정동[* 23통 113반]|| ||'''인구'''||6,825명[*A]|| ||'''행정복지센터'''||향촌5길 28||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7.web|향촌동행정복지센터]]|| 관할 법정동은 궁지동·봉남동·사등동·이금동·이홀동·향촌동이다. 면적은 남양동 다음으로 넓은데 주거지역보다 농촌지역이 더 넓은 곳. 남양동 다음으로 인구밀도가 낮다. 동 행정복지센터가 향촌동에 있으며, 그 밑에 남일대해수욕장이 있다. 그 옆에 있는 사등동은 옆에 붙어있는 삼천포화력발전소[* 정확히는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에 있다.] 때문인지 민가가 거의 없다. 이금동은 와룡산의 남쪽 산줄기 기슭에 있으며, [[한국폴리텍대학]] 항공캠퍼스가 있다. 그 동쪽으로 이홀동이 있으며, 이홀동과 사등동 사이에 궁지동이 궁지에 몰려 있다(…) 바로 옆의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하이면]]은 [[삼천포시|삼천포]] 생활권이다. == 읍 == === 사천읍 === ||{{{#black '''사천읍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사천읍)] || ||'''면적'''||29.65㎢|| ||'''하위 행정구역'''||11리(34행정리 190반)[* 구암리·금곡리·두량리·사주리·선인리·수석리·용당리·장천리·정의리·중선리·평화리]|| ||'''인구'''||17,848명[*A]|| ||'''행정복지센터'''||사천읍 무산로 21||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1681.web|사천읍행정복지센터]]|| 북동쪽 끝에 있는 읍. 본래 평화리에 읍사무소가 있었으나 2016년 12월에 수석리의 사천군청 자리로 이전했다. 사천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평화리, 선인리, 정의리, 구암리 등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사천읍성, 사천[[향교]], [[사천공항]], [[사천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읍의 동북쪽은 축동면을 사이에 두지 않고 [[진주시]] 정촌면, 금곡면과 직접 접하며, 동북쪽 맨 끄트머리인 두량리 봉전마을(소곡교)에는 '''딱 한 정거장'''이지만 '''[[진주시 시내버스]]'''([[진주 버스 121|121]])가 다닌다. [[파주읍]], [[광양읍]]과 [[문경읍]]처럼 군이 아니지만 시와 이름이 똑같다. 물론 이들 모두 해당 자치단체의 시 승격 이전 군 시절의 중심지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단 [[광양읍]]은 시가지 규모가 꽤 크고 인구도 약 4만 8천명으로 네개의 읍 중 압도적으로 많다.] 학교는 사천초, 수양초, [[사천중학교(경남)|사천중]], [[사천고]]가 있다. 읍 서부로는 [[사천공항]]이 있으며 [[제3훈련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 면 == === 곤명면 === ||{{{#black '''곤명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곤명면)] || ||'''면적'''||69.7㎢|| ||'''하위 행정구역'''||16리(25행정리 67반)[* 금성리·마곡리·본촌리·봉계리·삼정리·성방리·송림리·신흥리·연평리·용산리·은사리·작팔리·정곡리·조장리·초량리·추천리]|| ||'''인구'''||2,719명[*A]|| ||'''행정복지센터'''||곤명면 원전새길 64||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1.web|곤명면행정복지센터]]|| [[사천시]] 북서쪽 끝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봉계리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곤명면의 중심지는 '완사'로 통칭되는 정곡리이다.[* 사천 사람들도, 심지어 옆에 진주 사람들도 아예 곤명면 전체를 완사라고 칭할 정도다.] [[경전선]]과 2번 국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완사역]]이 있다. 원래 [[다솔사역]]이 있었으나 여객취급이 중단되었다가 경전선 이설과 함께 폐역되었다. 완사역은 하루 12편의 여객열차 중 10편이 정차해서 그나마 교통이 편리하다. 용산리에 다솔사가 있다. 참고로 중국 윈난성 [[쿤밍시]]와 한자가 같다(昆明). 은사리에는 세종대왕 태실지, 단종 태실지가 있으며 서쪽은 [[하동군]], 동쪽은 [[진주시]]와 접한다. 사천에서 유일하게 진양호를 낀 곳이며, 금성리 호숫가에서 날씨가 좋으면 저 멀리 진주 시가지(판문동 평거지구)가 살짝 보일 정도. 그만큼 진주 시내가 금방인데, 곤명면소재지에서 사천읍내/사천시청보다 진주 시내가 더 가까우며, 위의 사천읍 두량리 봉전마을을 제외하면 사천에서 '''진주시 시내버스'''([[진주 버스 241|241]], [[진주 버스 340|340]], [[진주 버스 341|341]], [[진주 버스 342|342]], [[진주 버스 343|343]])가 다니는 유일한 곳이다. 그래서 진주 생활권이다. 학교는 곤명초, 곤명중이 있다. === 곤양면 === ||{{{#black '''곤양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곤양면)] || ||'''면적'''||61.12㎢|| ||'''하위 행정구역'''||13리(17행정리 28반)[* 가화리·검정리·남문외리·대진리·무고리·묵곡리·백사리·서정리·성내리·송전리·중항리·환덕리·흥사리]|| ||'''인구'''||3,210명[*A]|| ||'''행정복지센터'''||곤양면 성내공원길 11||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0.web|곤양면행정복지센터]]|| 서쪽에 있는 면. 옛 곤양군 지역은 대체로 [[사천시|사천]]보다 [[진주시|진주]] 생활권이었다. 면소재지는 성내리이다. 사천 서부권의 소중심지이다. 곤양[[향교]], [[남해고속도로]] [[곤양IC]]가 있다. 이웃한 [[하동군]] 진교면과 마찬가지로 진주·사천과 [[남해군]]을 잇는 길목으로 교통의 요지로 발달하였으며, 그 영향으로 곤양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덕분에 진주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학교는 곤양초, 곤양중, 곤양고가 있다. 가화리의 이름을 딴 [[가화천]](가화강)이 축동면과의 경계를 이루며 [[남해]]로 흘러나가는데, 발원지가 진양호다. 원래 [[남강]] 수계와 산줄기로 분리돼 있었으나, [[남강댐]](진양호) 건설 시 산줄기를 절개해 두 수계를 연결시켰다. 즉 남강과 남해를 잇는 하천인데, 남강이 [[낙동강]]의 지류이므로 생각해 보면 여기서부터 [[부산광역시|부산]]의 [[낙동강하구둑]]까지 '''[[김포섬|경남 중부 전역이 하나의 거대한 섬]]'''이 되는 셈이다(!). === 사남면 === ||{{{#black '''사남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사남면 화전리)] || ||'''면적'''||42.47㎢|| ||'''하위 행정구역'''||11리(17행정리 28반)[* 가천리·계양리·방지리·사촌리·우천리·월성리·유천리·종천리·죽천리·초전리·화전리]|| ||'''인구'''||15,511명[*A]|| ||'''행정복지센터'''||사남면 길평1길 20||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67.web|사남면행정복지센터]]|| 동부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화전리이다. 면의 영역이 죽천천과 [[1001번 지방도]]를 따라 좁고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다. 사천읍내와 접한 유천리, 월성리에 한주빌라아파트, 사천LIG리가아파트, 푸르지오아파트, 엘크루아파트 등등 아파트단지들이 조성되어 있어 인구가 면 치고는 많으며, 바닷가와 접한 곳에 진사일반산업단지가 있다. 사천항공우주박물관, 사천용소유원지가 있다. 유천리에 [[담배]] 생산업체인 BAT의 공장이 있어서 국내에 유통 중인 [[던힐(담배)|던힐]] 담배는 여기서 생산, 출하된다. 방지리에는 스카니아 출하센터가 있다.[* 마산항에서 입항 후 출하센터로 이동] 학교는 사남초, 삼성초와 [[외국인학교]]인 경남국제외국인학교가 있다. === 서포면 === ||{{{#black '''서포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서포면)] || ||'''면적'''||51.05㎢|| ||'''하위 행정구역'''||10리(22행정리 66반)[* 구량리·구평리·금진리·내구리·다평리·비토리·선전리·외구리·자혜리·조도리]|| ||'''인구'''||3,412명[*A]|| ||'''행정복지센터'''||서포면 자구로 465-17||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72.web|서포면행정복지센터]]|| 서부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구평리이다. 사천시에서 가장 전형적인 시골로 소규모 어업과 농업이 행해지고 있다.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다. 예전에는 삼천포로 가려면 [[축동면]] 쪽으로 돌아가야 했으나 지금은 [[사천대교]]가 생겨서 바로 갈 수 있다. 1003번 지방도를 통해 [[하동군]] [[진교면]]과 접한다. 서쪽 끝인 금진리에는 옛 2차선 [[남해고속도로]]([[구고속도로]])가 지난다. 학교는 서포초, [[서포중학교(경남)|서포중]]이 있다. [[토끼전]]의 무대가 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인지 비토리에 별주부전 테마공원이 이 곳에 있고 [[토끼로]]도 존재한다. === 용현면 === ||{{{#black '''용현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용현면)] || ||'''면적'''||27.88㎢|| ||'''하위 행정구역'''||12리(31행정리 91반)[* 구월리·금문리·덕곡리·석계리·선진리·송지리·신북리·신촌리·온정리·용치리·주문리·통양리]|| ||'''인구'''||7,215명[*A]|| ||'''행정복지센터'''||용현면 진삼로 637||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68.web|용현면행정복지센터]]|| 중부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송지리, 시청은 덕곡리에 있다. 삼천포와 사천을 오가는 길목 정도로만 인식되던, 나쁘게 말하면 별 볼 일 없는 시골이었지만, [[사천시청]]이 덕곡리로 이전하면서 시청소재지가 되었다.[* 전국에서 면 지역에 시청이 있는 곳은 [[사천시]]가 유일하다. 물론 자치시들 중에 동 지역이 아닌 곳에 시청이 있는 사례가 사천만 있는 건 아닌데, [[경기도]] [[화성시]]의 [[화성시청|시청]]도 동 지역이 아닌 [[남양읍|남양'''읍''']]에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전국에서 기초자치단체(시, 군, (특별시/광역시 산하) 구) 청사가 있는 유일한 면이기도 하다. 군의 경우 군청이 소재한 행정구역은 읍으로 승격시킬 수 있는 조항이 있으며, 특별시/광역시 산하 구는 하위 행정구역으로 동만 둘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 그 근처에 사천해양경찰서, 사천시보건소, 진주세무서 사천지서,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사천시법원 등이 있어 작은 행정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이 외에도 선진리성, 덕곡리지석묘군이 이 곳에 있다. 학교는 용현초, [[용남중학교(경남)|용남중]], [[용남고등학교(경남)|용남고]]가 있다. === 정동면 === ||{{{#black '''정동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정동면)] || ||'''면적'''||36.65㎢|| ||'''하위 행정구역'''||10리(33행정리 151반)[* 감곡리·고읍리·대곡리·소곡리·수청리·예수리·장산리·풍정리·학촌리·화암리]|| ||'''인구'''||13,886명[*A]|| ||'''행정복지센터'''||정동면 상정대로 2540-39||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66.web|정동면행정복지센터]]|| 동부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대곡리이다. 사천읍 시가지의 연장선상인 고읍리, [[사천 KCC스위첸]](1,738세대)이 들어선 예수리의 인구가 면소재지보다 많다. 화암리에는 사천읍내와 붙어서 학교들이 있다. [[33번 국도]]가 사천과 고성 방면으로 나 있다. 학교는 동성초, 정동초, 사천여중, 경남자영고, 사천여고가 있다. === 축동면 === ||{{{#black '''축동면 (사천)'''}}} || [include(틀:지도, 장소=사천 축동면)] || ||'''면적'''||23.3㎢|| ||'''하위 행정구역'''||7리(17행정리 28반)[* 가산리·구호리·길평리·반용리·배춘리·사다리·탑리]|| ||'''인구'''||1,503명[*A]|| ||'''행정복지센터'''||축동면 길평1길 20|| ||'''웹사이트'''||[[ https://www.sacheon.go.kr/intro/01131/02069.web|축동면행정복지센터]]|| 북부에 있는 면. 면소재지는 배춘리이다. 면소재지가 [[진주시]](정촌면)와의 경계지역에 있다. 면소재지 마을과 축동초등학교 바로 옆을 흐르는 개천 하나만 건너면 바로 정촌면 예하리다. [[남해고속도로]] [[사천IC]][* 나들목 자체는 [[진주시]] 정촌면이지만 진출입로는 축동면이다.]와 [[축동IC]]가 이곳에 있다. 서경자동차유통단지가 이곳에 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예로부터 진주-곤양-삼천포를 잇는 길목 역할을 했다. 학교는 축동초 하나 있다. 곤명면보다도 진주시내가 좀 더 가깝긴 하지만, 곤명면과 달리 진주시 시내버스가 들어오지는 않는다. 다만 면소재지에서 좀만 걸어나오면 정촌면 예상리, 예하리에서 [[진주시 시내버스]]([[진주 버스 110|110]], [[진주 버스 111|111]], [[진주 버스 133|133]], [[진주 버스 140|140]], [[진주 버스 160|160]])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한자로 쓸 때는 '杻東面'으로 쓰는데, 이때 첫 글자 杻은 한국어 입력기에서 '축'이라고 쓰고 한자 키를 눌러서 변환할 수 없으며, '뉴'라고 써서 변환해야 한다.[* 비슷한 예시로 [[지축역]], [[추전역]]이 있다.] [[분류:사천시]][[분류:사천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