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査察 == (주로 국가 권력이 주체가 되어)[* 국가 권력이 부패했을 지경에 주로 쓰이는 말이지만, [[신천지]]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사이비 종교]]의 사찰도 가능하다. 세계구급 사례로는 [[국제원자력기구|핵사찰]]이 있다. ] 다른 사람의 행동, 동태를 조사하여 살피는 일, 또는 그러한 일을 하던 경찰의 한 직분을 뜻하는 말. * 예: [[민간인]] 사찰 국가가 공적 목적에서 수행하는 법적 기준은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과 전기통신사업법상 [[통신자료제공]] 등이 있다. 여기에 위반되지 않게 처리된 경우에도, 정치화 되거나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사찰이다!'라고 주장되는 경우가 많다. [[감찰]]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인데, 이 둘 사이의 차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120402/45215742/1|#1]] [[https://www.google.com/amp/s/news.sbs.co.kr/amp/news.amp%3fnews_id=N1001143471|#2]] === 관련 사건 === * [[국정원 불법 도청 사건]] *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 *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 * [[롯데 자이언츠 선수단 CCTV 사찰 사건]] * [[카카오톡 사찰 논란]] * [[프리즘 폭로 사건]]: 무려 '''전세계 사람들을''' 사찰한 사건이다. * [[청와대 특별감찰반 비위 논란]] * [[국정원 불법 사찰 사건]]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국회의원 및 민간인 불법사찰사건 :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지시로 국정원이 민간인, 정치인에 대한 불법사찰을 진행한 사안으로, 상대당, 환경단체, 종교계만이 아니라 [[친이|자신을 지지하는 것으로 분류되던 정치인들]]까지 싸그리 불법사찰을 시도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618480004850|#]] * [[여성가족부 불법촬영물 오픈채팅방 단속 논란]] : 여성가족부는 2019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카카오톡, 라인 등을 통해 퍼지는 불법촬영물들에 대한 단속에 나서기로 하였다. 하지만 논란이 불거진 이후로 메신저 업체가 자율적으로 경고문을 게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그러나 경찰과 협업하는 방식의 단속은 이어갈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만큼 최소한 성매매 관련 오픈채팅방은 여전히 단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신천지]]가 코로나-19 방역을 고의적으로 무너뜨리는 과정에서 사회 각 분야의 인사를 조직적으로 사이비 종교에 포섭하려고 사회 각 분야에 신천지 교도들을 퍼뜨린 것이 밝혀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3329311|#]]) * [[윤석열 검찰총장 직무정지 사건]] : 직무정지 사유로 판사 사찰이 인정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2&oid=009&aid=0004864674|#]] * [[탈원전 반대 단체 및 한수원 노조 사찰 의혹]] : [[문재인 정부의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과 관련하여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이 출범하지도 않은 [[시민단체]]의 정보를 수집, '동향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윤지선 남성혐오 논문 게재 사건]]: 여울(여성연대 울타리)이 남성혐오 논문 게재로 한국 철학계의 신뢰성과 도덕성을 훼손한 윤지선에 비판하는 네티즌을 사찰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언론 사찰 사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6월 보도된 언론 사찰에 대한 보도 이후 [[TV CHOSUN]] 기자들의 통신자료를 15차례 이상 열람한 사건. === 관련 항목 === * [[사찰요람]] == 1.에서 파생된 인터넷 용어 == 자신의 행동이나 성향과 비슷한 게시물의 댓글 등에 쓰인다. 생각이 자신과 너무 비슷하다보니, 사찰해서 알아냈냐는 식의 드립이며, [[트위터]] 등에서 쓰인다. == [[절(불교)|寺刹]] == [[불교]]의 [[절(불교)|절]]을 뜻하는 한자어. == 伺察 == ||<-5> [[큰 수]]의 단위 || ||[[해바라]](奚婆羅)|| 10^^15032385536^^ 배[br]→ ||[[사찰]](伺察)|| 10^^30064771072^^ 배[br]→ ||[[주광]](周廣)|| 화엄경에 등장하는 수로 10^^30064771072^^이다. [[분류:큰 수]][[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