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도도부현)] ---- [include(틀:사이타마현의 시정촌)] ---- ||<-4>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일본|{{{#000,#ddd 일본}}}]]의 [[현(행정구역)#일본|{{{#000,#ddd 현(県)}}}]]'''[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사이타마현 문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1 사이타마현}}}'''[br]埼玉県[br]{{{-1 Saitama Prefecture}}}}}}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埼玉県, 너비=100%, 높이=100%)]}}} || ||<-2> '''현청 소재지'''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사이타마시]] [[우라와구]] 타카사고3초메 15-1}}} || ||<-2> '''하위 행정구역''' ||<-2> 40시 22정 1촌[* 정촌(町村) 위로 9개 군(郡)이 있으나 일상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 ||<-2> '''지방''' ||<-2> [[간토]] || ||<-2> '''면적''' ||<-2> 3,797.75km² || ||<-2> '''인구''' ||<-2> 7,331,296명[* 추계인구, 2023년 10월 1일.] || ||<-2> '''인구밀도''' ||<-2> 1,930명/km² || ||<-2> '''GDP(명목)''' ||<-2> 약 $2,168억^^(2018)^^[* 2022년 8월 내각부 확정치[[https://www.esri.cao.go.jp/jp/sna/data/data_list/kenmin/files/contents/main_2019.html|#]]] || ||<-2> '''1인당 GDP''' ||<-2> $28,780^^(2018)^^ || ||<-2> '''현지사''' || [include(틀:무소속 표시)] || [[오노 모토히로]][br]{{{-2 (大野元裕, 재선)}}} || ||<-2><|6> '''현의회[br](93석)'''[br][[사이타마현#현의회|{{{#fff {{{-4 '''[→ 회파별로 보기]'''}}}}}}]]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 53석 || || [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 10석 || || [include(틀:공명당 표시)] || 9석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표시)] || 3석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e7c01,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시민넷)] || 1석 || || [include(틀:무소속 표시)] || 16석 || ||<-2><|2> '''[[중의원|{{{#fff 중의원[br](15/465석)}}}]]'''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 12석 || || [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 3석 || ||<-2><|5> '''[[일본 참의원|{{{#fff 참의원[br](8/245석)}}}]]'''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 2석 || || [include(틀:공명당 표시)] || 2석 || || [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 2석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표시)] || 1석 || || [include(틀:무소속 표시)] || 1석 || ||<|3> '''상징''' || '''현화''' ||<-2> 앵초 || || '''현목''' ||<-2> [[느티나무]] || || '''현조''' ||<-2> [[비둘기|염주비둘기]] || ||<-2> [[지역번호/외국#일본|{{{#fff '''지역번호'''}}}]] ||<-2> '''048, 049''' || ||<-2> [[ISO 3166-2|{{{#fff '''ISO 3166-2'''}}}]] ||<-2> '''JP-11''' || ||<-4> [[http://www.pref.saitama.lg.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ref_saitama, 크기=23)] | [[https://www.facebook.com/pref.saitam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line.me/ti/p/%40bfo2713i|[[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3]]]] | [[http://www.youtube.com/user/prefsaita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saitama.japan.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외국인 전용]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이타마현'''([ruby(埼玉県, ruby=さいたまけん)], {{{-1 ''Saitama-ken''}}})은 [[도쿄도]]의 정북쪽에 위치하는 [[사다리꼴]] 모양의 현이다.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730만 명으로, [[일본]]의 [[도도부현]] 중 5번째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곳이다.[* [[도쿄도]] > [[가나가와현]] > [[오사카부]] > [[아이치현]] > 사이타마현 순이다.] 바다가 없는 도도부현 8곳[*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기후현]], [[시가현]], [[나라현]]] 가운데는 인구가 가장 많다. 현청 소재지는 [[사이타마시]](구 우라와시). 단 도시의 이름은 현 이름처럼 [[한자]]로 쓰는 것이 아니라, [[히라가나]]로 그냥 "さいたま市"라고 한다. 또한 현 이름 자체를 한자 대신에 [[히라가나]]로 さいたま県이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사이타마현을 히라가나로 적는 이유는 2010년 [[상용한자]] 개정 전에 埼 자가 포함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상용한자만 사용할 경우 사이타마현을 부득이하게 히라가나로만 표기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는 埼가 상용한자에 포함돼서 현 이름을 굳이 히라가나로 적을 필요가 없다. 오히려 이제는 굳이 이 현의 이름만 히라가나로 적을 근거가 사라진 셈. 그러나 사이타마시의 경우는 정식 표기가 히라가나로 결정돼서 사이타마현과 달리 히라가나로 적는다.] [[수도권(일본)|수도권]]에서 비슷한 입지조건을 가진 가나가와는 경제특구 [[요코하마시]] 등 3개의 정령지정도시를 끼고 있는 데 비해, 사이타마는 빈 공터만 많아서 [[도쿄도|도쿄]]의 [[베드타운]] 이상으로 발전할 기미가 안 보인다. 때문에 지역 발전보다는 인접한 [[도쿄]]에 경제기반을 두고 사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한국 상황에 대입한다면, '''[[용인시]], [[남양주시]], [[양주시]], [[고양시]]와 같은 동네가 서울 시계 전역을 따라 [[경기도]] 전체에 펼쳐져 있다'''고 생각하면 크게 다르지 않다.[* 근데 사실 저 네 도시가 경기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랑 비교해도 만만치 않다...] 이런 이유로 [[가나가와현]]에 비해 부동산 시세가 전체적으로 싸다. 가나가와현청 소재지인 요코하마는 [[도쿄]] 23구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비싼 편에 속하며, 그 외 지역도 전체적으로 부동산이 그렇게 저렴하지는 않다. 그러나 사이타마는 [[도쿄]]에 인접해 있어도 행정구역 선 하나 넘으면 갑자기 싸지는 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학]]이나 워킹 홀리데이 등으로 주거지를 잡을 때 집값이 부담된다고 생각하면, 통학/통근 거리를 조금 더 늘리더라도 사이타마 쪽을 알아보면 [[도쿄]]보다 싸고 괜찮은 집을 찾을 수 있다. 집값 뿐만 아니라 물가도 도쿄보다 확연히 싸기 때문에 사이타마에 살면서 도쿄에서 교통비 지원을 받고 일을 한다면 통근시간은 좀 걸릴지언정 상당히 넉넉하고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오미야역|오미야]]의 경우, [[신주쿠역]]까지 [[사이쿄선]]이나 [[쇼난신주쿠라인]]을 타고 35분~40분 정도 걸리므로 충분히 통근 가능 범위에 들어가고 오미야 이남 우라와, 카와구치, 토다 지역의 경우 통근하기 훨씬 수월하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오미야 이남과 토코로자와 등 도쿄까지 40분 안에 접근 가능한 지역에 국한되며, 아래에서 서술하겠지만 오미야 이북은 도쿄 나가는 데 상당히 오래 걸리고 교통비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2012년 기준 총 생산량은 21.8조엔으로 40위권 국가의 경제 규모를 가지며. 사업장의 수도 도쿄, 오사카, 아이치, 가나가와에 이어 전국 5위이다. 도쿄가 워낙 경제 규모가 크고, 사이타마가 도쿄의 베드타운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사이타마도 상당히 탄탄한 경제력을 갖춘 지역이다. 이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스포츠 구단으로는 [[일본프로야구]]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J리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통칭, 우라와 레즈), [[오미야 아르디자]]가 있다.[* 그러나 현내 스포츠의 인기는 축구가 압도적. 일단 우라와만 해도 일본 최고의 인기 축구팀이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이 열렸던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는 '''일본 축구의 성지'''라고도 불린다. [[종합격투기]] 메이저 단체였던 [[Pride]]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사이타마시 주오구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인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さいたまスーパーアリーナ)'는 아레나 급 시설 중에서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시설과 [[도쿄]]와의 인접성 등으로 이름이 높다. 그 외에도 농구팀 코시가야 알파스, 여자배구팀 아게오 메딕스 , [[재팬 럭비 리그 원]]의 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나이츠 등의 구단이 존재한다. 요즘은 뜸해졌지만, 사이타마를 다사이타마, 쿠사이타마라고 놀려먹는 [[지역드립]]이 있다.[* 서울부심을 가진 일부 서울--촌놈--시민들이 경기도를 낮춰보는 분위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듯.] 촌스러운(다사이 ださい) 사이타마, 냄새나는(쿠사이 臭い) 사이타마의 합성어. 사이타마 현청에서는 여기에 대응하여, 완전 내륙지에 강이나 숲이 많아서 도심치고는 자연이 풍부하다고 해서 사이노쿠니(彩の国)[* 직역하자면 '색채의 나라'. 埼玉(さいたま)의 埼(さい)와 彩의 음독 さい가 같다는 것을 이용한 언어 유희.]라고 어필하고 있는데 도시와 자연의 묘한 언밸런스에 이도저도 아닌 애매함 때문에 이 또한 오히려 놀려먹는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단어가 되었다. [[지못미]]. 사실 [[일본]] 전체에서 보면 [[나름]]대로 번화한 곳이긴 한데 바로 아래에 넘사벽 [[도쿄]]가 들어앉아 있어 도쿄도민(東京都民) 입장에서 보면 많이 황량해 보이기 때문에[* 물론 이건 [[도쿄]] 23구민 관점에서의 이야기. 타마 지역(도쿄도에서 23구 외의 지역. [[도쿄]] 서부)은 구민 입장에선 [[이케부쿠로]]와 함께 사이타마 취급이라 카더라.] 사이타마 하면 촌스럽다는 이미지가 많이 강하다. 특히 [[파타리로]]의 작가 마야 미네오는 자기 작품 내에서 이 사이타마 네타를 마르고 닳도록 써먹는다. 이를테면 사이타마에서 [[지역드립/전라도|도쿄로 들어가려면 여권이 필요하다든지]], [[도쿄]]에서는 정기적으로 사이타마인을 사이타마로 강제 송환하는 것이 있다든지. --근데 왜 비슷한 포지션인 가나가와는 안까일까 거기는 산업도시라서 좀 덜한가-- 요즘엔 촌스럽다기보단 사이타마는 도쿄에 비하면 아무것도 없다는 식으로 놀리는 경우가 많다. 워낙 [[도쿄]]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다보니, 한때 사이타마현에서는 [[도쿄]]에서 근무하는 사이타마현민들의 [[여권]] 신청[* 일본에서는 원칙적으로 자신의 주민등록지에서만 [[여권]] 신청을 할 수 있다. 전국 어디에서나 편리한 대로 신청할 수 있는 대한민국과는 다르다. 따라서 도쿄 소재 직장에 다니는 사이타마 현민이 근무시간 중 짬을 내서 [[도쿄도청]]에서 [[여권]] 신청을 한다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등 편의를 위하여 [[신주쿠]]에 '사이타마현 영사관'을 둔 적이 있었다. ~~신주쿠출장소라는 멀쩡한 표현은 냅두고 왜 영사관이라는 표현을 썼을까??~~ 1996년에 설치했다가 2005년에 폐지. 물론 타 지역에 비해 [[도쿄]]랑 가까운 편이긴 하다. 유학박람회가 열리면 [[도쿄]]랑 가깝다는 것을 메리트로 광고하는 지역 중 하나. [[짱구는 못말려]]에서는 [[노하라 세마시|짱구의 큰아버지]]가 [[노하라 히로시|짱구아빠]]에게 "도회지에 나가 살고 있으니 농촌을 모른다"라고 타박하자, 옆에서 듣던 [[노하라 신노스케|짱구]]가 "사이타마는 도회지가 아니예요!"라면서 반박하는 장면이 나온다. 관동 7현 어딜가나 마찬가지겠다만 여름에는 엄청 덥다. [[도쿄]]의 지옥같은 습기에 내륙성 기후의 온도를 살짝 더한 형태. 여름의 날씨는 [[도쿄]]의 날씨에서 기온만+ 2~3도 더하면 얼추 맞는다. 2011년 6월 24일 벌써 사이타마현 [[쿠마가야시]](熊谷市)는 최고기온 39.8도를 기록했다. --신체 자연발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あついぞ!熊谷'를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있는 쿠마가야는 2007년 8월 16일 40.9℃를 기록한 전례가 있는데 2018년 7월 41.1℃로 역대 최고 기온을 갱신했다.[[http://news.donga.com/list/3/02/20180723/91179658/1|##]] 이 때문에 [[간토]] 지역 방송국에서는 날씨 예보를 할때 아예 여기를 여름 더위 시작의 기준점으로 본다. 예를 들면 뉴스에서 "오늘 쿠마가야가 39도를 기록했습니다!" 라는 식으로... 한국 방송국에서 "오늘 [[대구광역시|대구]]는 XX도까지 오르는 등..." 이라고 하면 "아 더운 날이구나"라는걸 연상하는 거랑 비슷하다. 현 내에 시(市)가 40개가 있는데, 이는 일본의 [[도도부현|전체 행정구역]] 중 가장 많은 수다. [[경기도]](27개)보다 많다. 이것은 원래 사이타마가 인구가 많기도 하거니와, 시로 승격될 때 면적이 자잘자잘한 시가지를 그대로 다 시로 승격시켜놓고 나중에 합병을 안 해서 면적 작은 시들이 난립하기 때문이다.[* 사실 한국도 [[도농복합시]] 제도가 도입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용인시]]나 [[화성시]], [[남양주시]]처럼 1995년 이후 도농복합시로 승격된 시들 지역도 면적 작은 시들이 난립했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으로 치면 경기도의 [[부천시]], [[시흥시]], [[광명시]], [[하남시]], [[구리시]] 같은 도시가 좋은 예다. 여담으로 사이타마현의 [[와라비시]](蕨市)는 2018년 기준 일본 전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시(14,409.00명/km2)이다. 단, 이건 와라비시가 극도로 면적이 좁아서 그런 것이기는 하다. 참고로 2006년에 폐쇄된 일본 [[소니]] [[워크맨]] 공장이 있던 곳이기도 하고, 공장이 해외와 외곽으로 점차 이전하면서 사이타마 남부에 있던 많은 공장이 폐쇄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카와구치시의 사이타마 방적 공장이다. 현재 이 부지를 포함한 많은 공장 부지가 이온 쇼핑몰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사이타마현은 땅속의 다이아몬드라 불리는 [[트러플]]의 일본 내 최대 생산지이다.[* 이 외에 [[군마현]] 쪽으로도 살짝 걸쳐있다.]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입문하여 조금만 파본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이 이름을 듣게 된다. 밑의 항목에서 [[사이타마2000]] 참조. [[성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의외로 성우 배출량이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유명한 성우중에 사이타마현에서 출생한 사람들이 꽤 있다. 아래에 나와있는 성우 항목 참조. 그래서 성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적어도 한번쯤은 듣게 되는 지역. 도쿄권 [[중파방송]] 송신소들이 사이타마현에 몰려있다. 도쿄권을 커버하는 NHK 중파 송신소도 여기에 있다. 눈썰미 좋은 특촬덕들은 알겠지만 슈퍼전대, 가면라이더 등 특촬 촬영지로도 자주 쓰이는곳이다. [[수도권 외곽 방수로]](首都圏外郭放水路)가 생겨난 이래 각종 SF물의 로케이션지로 각광받고 있다.[[http://www.ktr.mlit.go.jp/edogawa/gaikaku/index.html|링크]] == 상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이타마현 문장.svg|width=50%]]}}} || || '''{{{#fff 현기(県旗)}}}''' || '''{{{#fff 문장(紋章)}}}''' || == 지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xn--9ckk5a9c6253azep.net/saitama.gif|width=100%]]}}} || [[간토 평야]]의 일부로서 대체로 평탄한 지형을 이루며, 크고 작은 하천이 매우 많다.[* 하천에 붉은귀거북 등의 거북이 많이 살고 있는 걸로 유명하다.] 오미야역 이남은 도시화되어 있는 데 반해 오미야역 이북은 도농복합도시의 성격을 띠며 전체적으로 논밭 가운데 [[타카사키선]]의 철길을 따라 시가지가 분포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치치부를 비롯한 현의 서쪽 지역은 높고 험준한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중부와 동부 대부분의 지역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지리적 환경을 띤다. 바다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일교차와 연교차가 [[도쿄]]보다는 큰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기후는 온난하다. 위에서도 서술했지만 여름 기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악명높은데, 쿠마가야는 일본에서 가장 더운 지역으로 유명할 정도. 이는 뜨거운 남풍이 도쿄 도심의 열기를 머금은 채 사이타마로 유입되고 이 공기가 북쪽의 산맥에 가로막혀 정체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사실 사이타마 뿐만 아니라 [[군마현|군마]]도 40도를 넘나드는 악명높은 무더위를 자랑한다. == 교통 == 도쿄로 오가는 데에는 상당히 편리하지만, 정작 현을 횡단하는 주요 교통수단은 빈약한 편. 대부분의 지역이 도쿄의 베드타운 성격을 띤 만큼 도쿄로 나가는 교통편은 매우 충실하다. 오미야에서 이케부쿠로까지는 30분, 신주쿠까진 35분 걸린다. 특히 사이타마에서 도쿄로 나가는 관문인 [[이케부쿠로역]]은 [[사이쿄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도부 토죠 본선]] 등 사이타마 현민들의 통근을 책임지는 굵직한 노선들의 집결지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는 '이케부쿠로는 사이타마현의 식민지', '사이타마현 이케부쿠로시' 등의 드립이 보이곤 한다. 물론 사이타마 사람들이 도쿄 나가서 놀 일이 있으면 주로 이케부쿠로로 나가는 것은 사실이다. [[신주쿠역]]도 범위 안에 들어가긴 하지만 이케부쿠로와 신주쿠는 사이쿄선으로 가도 편도 교통비만 90엔 정도 차이가 나고 해서 그렇게 선호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라이벌로 여겨지는 [[치바현]]보다 도쿄와의 접근성은 훨씬 우위에 있다. 치바현에서 [[신주쿠]], [[이케부쿠로]], [[시부야]]로 접근하려면 사이타마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 치바현에서 도쿄로 놀러오는 사람들이 야마노테선 동부 쪽에서 놀려 해도, 동부 쪽은 노는 물가가 비싸고 대상 연령층이 좀 높거나 매니악하다 보니 차라리 치바에서 놀겠다는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이온몰과 코스트코가 들어온 마쿠하리 신도심과 이케아가 생긴 후나바시가 크게 떴다.][* 물론 생계적으로 도쿄에 종속적인 것은 두 현 다 큰 차이가 없다. [[통근 5방면 작전]]이 그냥 생긴 게 아니다.] 그리고 사이타마의 지형 자체가 서쪽 일부를 제외하면 매우 평탄하기 때문에 철도와 도로의 직선화가 잘 이루어져 있어서 오미야 이북도 도쿄 나가기에 시간이 좀 걸릴지언정 교통이 불편하지는 않다. 북쪽의 쿠마가야, 아게오, 쿠키 등 더 먼 도시들도 [[타카사키선]]과 [[우츠노미야선]]을 끼고 있기 때문에 도쿄로 통하는 교통망이 부실한 것은 절대 아니다. 시간과 비용이 좀 들지만... 어쨌든 사이타마 사는 사람들은 도쿄로 놀러 갈 경우 멀리 나가봤자 서부권은 신주쿠, 동부권은 우에노 정도까지만 나가며, 대부분은 이케부쿠로 정도에서 해결한다. 그 이후부터는 완전히 생활권 밖이라 놀러 가는 게 아니라 일이 있어 가는 이미지가 강하다. 또한 [[신칸센]] 중 두 노선이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에서 분기하는데, 도호쿠 신칸센과 죠에츠 신칸센을 탈 수 있기 때문에 도호쿠/호쿠리쿠 지방에 접근하기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이렇다 보니 문제도 있는데, 정작 현 내부를 잇는 교통망은 영 좋지 않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도쿄의 베드타운으로서 도쿄와의 접근성'''만이''' 중시되었기 때문에 현 내의 각 도시들 간 교통망은 도쿄로 이어지는 교통망에 비하면 상당히 부실한 편. [[무사시노선]], [[카와고에선]], [[도부 노다선]] 이 그 역할을 하고 있지만, 각자 문제가 있어서[* 무사시노선의 경우 말이 사이타마현을 지난다 뿐이지 사실상 도쿄도 외곽을 도는 형태라 현 남부만 깔짝대고 나간다. 사이타마현 꽤 남단인 사이타마시 우라와구도 아랫쪽 반원을 채 못 훑으며, 현내의 개발된 지역의 10%도 못 미치는 구역만 다닐 뿐이다.][* 카와고에선과 노다선을 이으면 그래도 나름 동서를 관통하는 형태가 이뤄지긴 하지만 두 노선도 [[카와고에역]]과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에서 끊긴다. 오히려 카와고에선은 사이쿄선에 상당히 종속적인 형태라 카와고에역에서 동쪽으로 가는 열차의 80% 이상이 사이쿄선으로 직통하기 때문에, 동서쪽 사람들이 오미야로 오는 역할만 할 뿐 서로를 이어주는 역할은 빈약하다.] 이 세 노선을 통한 현 내의 교류는 큰 의미가 없다. 사이쿄선이나 케이힌토호쿠선, 도호쿠 본선, 토죠 본선 등등 남북을 잇는 철도에 비하면 노선의 규모도, 배차 간격도 너무 차이난다. [* 이 때문에 도코로자와 등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연선의 사이타마 서부와, 오미야를 필두로 하는 다른 사이타마 지역간에는 동질감이 그렇게는 없다고 한다. 경기 북부와 경기 남부랑 비슷한 포지션.] 게다가 도쿄로의 접근성만 중시하다 보니 철도 노선들을 따라 택지개발이 진행되었는데, 도시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스프롤 현상이 진행되다 보니 인근 지역의 철도노선 의존도가 매우 심하다. 쉽게 말해 노선 간 경합이 없거나 너무 약하고 이들을 이어주질 못하니 어느 한 노선이 뻗으면 해당 노선 주변 지역이 고립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케이힌토호쿠선에 문제가 생겨 노선이 뻗으면 카와구치와 와라비가 고립되고, 토죠 본선에 문제가 생기면 와코, 아사카, 시키, 후지미, 후지미노가 고립되는 격. 경쟁 상대 아니랄까봐 이 문제는 [[치바현]]도 상당히 심각하다. 그나마 [[가나가와현]]의 경우는 [[난부선|동서로]] [[요코하마선|이어주는]] 노선이 잘 정착했고, 확실한 중심도시인 요코하마가 있기 때문에 이 문제가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 정치 == ||<-3> [[파일:Japan_gov_logo.png|width=25]] '''사이타마현의 국회의원''' || ||<-3> [[파일:Sangiin_logo.png|width=100px]] '''[[일본 참의원|{{{#000000,#e5e5e5 참의원}}}]]''' || || 선거구 || 정당 || 의원명 || ||<|10> [[사이타마현 선거구]] ||<-2> '''2025년 개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후루카와 도시하루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구마가이 히로토 || || [include(틀:공명당)] || 야쿠라 가쓰오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이토 가쿠 || ||<-2> '''2028년 개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세키구치 마사카즈]] || || [include(틀:무소속)] || [[우에다 기요시]] || || [include(틀:공명당)] || 니시다 마코토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다카기 마리 || ||<-3> [[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중의원|{{{#000000,#e5e5e5 중의원}}}]]''' || || 선거구 || 정당 || 의원명 || || [[사이타마현 제1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무라이 히데키 || || [[사이타마현 제2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신도 요시타카]] || || [[사이타마현 제3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기카와다 히토시 || || [[사이타마현 제4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호사카 야스시 || || [[사이타마현 제5구]]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에다노 유키오]] || || [[사이타마현 제6구]]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오시마 아쓰시]] || || [[사이타마현 제7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나카노 히데유키 || || [[사이타마현 제8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시바야마 마사히코]] || || [[사이타마현 제9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오쓰카 다쿠]] || || [[사이타마현 제10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야마구치 스스무 || || [[사이타마현 제11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고이즈미 류지 || || [[사이타마현 제12구]]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모리타 도시카즈 || || [[사이타마현 제13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쓰치야 시나코]] || || [[사이타마현 제14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미쓰바야시 히로미 || || [[사이타마현 제15구]]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다나카 료세이 || [[55년 체제]] 당시에는 [[우촌좌도]] 현상이 반영되어 대체로 자민당과 야당간의 경합지로 여겨졌고, 소선거구제로 전환된 이후로도 마찬가지였지만 대체로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공명당]]이 조금 더 우세한 지역이다.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15개 소선거구로 나뉘어져 있으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현 전체가 4인 선거구로 지정되어 있는데 참의원 선거에서는 그나마 기존의 경합지 이미지가 유지되고있는 중이다. 중의원의 경우에는 사이타마 1구와 3구도 민주당 우세지역에 속했지만 2012년 중의원 총선 이후로는 자민당 의석이 되었고,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에다노 유키오]] 前 대표의 지역구인 [[사이타마현 제5구|5구]]와 [[오시마 아쓰시]]의 지역구인 [[사이타마현 제6구|6구]]를 제외하면, 대부분 자민당이 우세하다.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전에는 3인 선거구였는데, 대법원이 인구비례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선거당 한 석이 더 늘어난 것.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3석 외 1석은 1998년 이후 21년만에 일본 공산당에서 의원을 배출했다. [[가나가와현]]만큼은 아니지만 여기도 사이타마현이 지역구인 이름 있는 정치인들이 많다. 자민당의 선거대책위원장 야마구치 다이메이(10구), 참의원 회장 [[세키구치 마사카즈]](선거구)는 자민당 집행부에서 10역(주요 인물 10명)으로 불리는 직책을 맡고 있다. 또한 [[입헌민주당(2020년)|제1야당]] 대표'''였'''던 [[에다노 유키오]]의 지역구는 [[사이타마현 제5구]]다. 그 외에도 전 사이타마현지사 [[우에다 기요시]](선거구), 전 총무대신 [[신도 요시타카]]([[사이타마현 제2구|2구]]), 전 문부과학대신 [[시바야마 마사히코]](8구), 전 후생노동대신 호소카와 리쓰오(3구), 입각 경험이 없는 최다선 여성 의원 [[쓰치야 시나코]](13구) 등이 있다. 새로운 인구 조사에 따라, 사이타마현은 종전 15석에서 1석이 늘어난 16석으로 차회 총선을 치르게 된다. 사회문화적으로는 도쿄 광역권이자 미나미칸토(남관동)로 분류되지만, 중의원 비례대표 블록으로는 도치기, 군마, 이바라키와 함께 기타칸토(북관동)로 묶인다. [anchor(현의회)] === 역대 현지사 === [include(틀:역대 사이타마현지사)] === 현의회 === ||<-7> {{{#ffffff {{{+1 '''제36기 사이타마현의회'''}}}[br](2019년 5월 1일 ~ 2023년 4월 30일)}}} || ||<-7> 의장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가미오 다카요시 (神尾高善) {{{+1 |}}} 부의장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아라이 고 (新井豪) || ||<-6> ||[[자유민주당(일본)|{{{#e50038,#ff1a51 '''자유민주당'''}}}]] - {{{#e50038,#ff1a51 '''50석 (53.8%)'''}}}|| ||<-5> ||<-2>{{{#0054a7,#58acff '''무소속 현민회의'''}}}[* 無所属県民会議. 전원 무소속] - {{{#0054a7,#58acff '''14석 (15.1%)'''}}}|| ||<-4> ||<-3>{{{#00469c,#62a8ff '''사이타마 민주포럼'''}}}[*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7,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 4, 카와고에 시민 네트워크 1] - {{{#00469c,#62a8ff '''12석 (12.9%)'''}}}|| ||<-3> ||<-4>[[공명당|{{{#f95580 '''공명당'''}}}]] - {{{#f95580 '''9석 (9.7%)'''}}}|| ||<-2> ||<-5>[[일본 공산당|{{{#db001c,#ff233f '''일본 공산당'''}}}]] - {{{#db001c,#ff233f '''6석 (6.5%)'''}}}|| || ||<-6>{{{#0785d9 '''무소속 개혁 모임'''}}}[* 無所属改革の会. 무소속 나카가와 히로시(中川浩).] - {{{#0785d9 '''1석 (1.1%)'''}}}|| || ||<-6>[[무소속|{{{#808080 '''무소속'''}}}]][* 무소속 다카하시 도시히로(高橋稔裕).] - {{{#808080 '''1석 (1.1%)'''}}}|| ||<-7> {{{#ffffff 정수 : 93명}}} || == 다른 지역과의 비교 == [[도쿄]] 23구(구부)와 비교했을 때 기본적으론 [[도쿄]]의 그림자. 대부분이 주거 지역이다. [[빨대효과]]와 [[스프롤 현상]]의 전형적인 예시. [[도쿄]]의 땅값이 비싸다보니 시골 벌판에 철도만 깔아두고 선로 주변에 집들만 지어둔 것의 반복으로 형성된 곳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그린벨트]]를 이용해 그나마 도시를 어느 정도 분산시켰고, [[서울]] 시가지의 무분별한 연담화를 어느 정도[* 어느 정도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광명시]]라는 예외가 있기 때문. 원래는 광명시가 위성도시가 아닌 서울 편입 예정지의 개념으로서 주거지로 개발된 곳이었기 때문이다. 대규모 연담지역인 광명시가 아닌, 소규모의 연담화 지역([[부천시]] 소사 - 서울 온수 등)은 이미 교통망이 형성된 곳이기에 그린벨트 대신에 풍치지구로 지정되었다.] 억제하였고, 계획적으로 그린벨트를 차근차근 풀어가며 발전시킨 곳이 많지만[* 물론 [[용인시]] 같은 대표적인 난개발 사례도 여전히 있다.] 사이타마는 그린벨트? 그런거 없다. [[도쿄]]와의 연담수준은 한국의 [[서울특별시]]-[[광명시]], [[부평구]]-[[부천시]][* 다만 부평구-부천시는 원래 동일한 행정구역이었으며, 과거부터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이타마보다 연담화가 덜한건 김포공항의 영향이 크다. 거기다 인구밀도 자체는 사이타마보다 부천시가 7.5배정도 더 높다.] 저리가라할 수준(구글 지도를 보시라). [[파일:attachment/사이타마/seoul-gwangmyeong-korea.jpg]] [[서울특별시]] - [[경기도]] [[광명시]] 일대 모습 (구글 지도) [[파일:attachment/사이타마/tokyo-saitama-japan.jpg]] 도쿄도 아다치구 -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소카시 일대 모습 (구글 지도) 한국의 광명시의 경우와 다르게 저 지도는 도쿄 연담화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도쿄도의 인접현인 사이타마, 치바, 가나가와를 보면 답이 나온다. 도쿄의 시가지를 구부로만 한정하더라도 타마지역과도 연담화되어 있다.] 게다가 월경지의 수도 광명시를 훨씬 뛰어넘는다.[* 일본의 행정구역 경계를 보면 생각보다 한국의 행정구역 경계에 비해 비합리적으로 획정된 경우가 허다하다. 도쿄도와 인접 현 사이의 경계만 해도 한국 기준으로는 이미 미세조정으로 손 봤을 곳이 수십 군데다.] 쉽게 지나치기 쉬운 부분이지만 광명시는 그래도 [[광명동|광명지구]]는 서울시, [[철산동|철산]]-[[하안동|하안지구]]는 주택공사에 의해 나름 계획적으로 조성된 도시이기도 하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공영 공동주택(단치) 위주였고, 도쿄 시가지와의 연담화가 이렇게 심하지 않았으나, 1970년대부터 도쿄 도시권 팽창과 단독주택 보급률 폭증으로 말미암아 지금과 같이 되었다. [[파일:external/gotravelaz.com/Saitama_25997.jpg]] 겉보기엔 그럴 듯 하지만... [[파일:external/image.blog.livedoor.jp/a5f24a18.jpg]] [[파일:attachment/2012090801.jpg|width=600]] 사이타마의 [[난개발]]을 잘 보여주는 [[무사시우라와역]] 근처 사진. 녹지 같은 건 하나도 없고, 저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을 보라. 그리고 [[도로]]와 [[철도]]도 제대로 안 보일 정도이다. [[난개발]]의 전형을 보여주는 탓에 도로 사정은 일본 최악. 길은 예전 크기 그대로인데 사람은 바글바글하게 많이 살고 산업시설도 부족하기에 돈이 없어서 도로 확장도 못하는 관계로[* 정말 돈이 없어서 공사를 하다가 만들다 만 도로가 꽤나 많다.] 운전하기에도 불편하다[* 다만 전체적으로 운전 템포가 느린지라 느긋이 안전히 운전하기엔 좋다. 덕분에 사이타마에 익숙해진 사람이 23구내로 나가면 헬게이트를 맛본다고 카더라.]. 애시당초 태반이 [[골목|골목길]]이다. 거기다가 [[도쿄도]] 23구 주변의 다른 외곽지역들과 비교해도 뚜렷한 이미지가 없다. 일단 [[가나가와현]]은 [[요코하마시|요코하마]] 등으로 어느 정도 독립적인 이미지가 있고, 타마 지역은 그래도 행정상 [[도쿄도]] 소속이라서 묻어가는 이미지. [[치바현]]이 좀 비슷한 형국. 과거에는 [[도쿄도]]와 사이타마현 일대 및 [[가나가와현]] 일부[* [[요코하마시]] 일부와 [[가와사키시]]]가 '무사시 국(武蔵国)'에 속한 역사가 있기에 이를 근거로 '사이타마를 통째로 [[도쿄]]로 편입시키자'는 떡밥이 인터넷상에서 가끔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와 다르게 [[도쿄도]]는 세계적으로도 주요 국가 수도 중에 행정구역 면적이 넓은 축에 속하기에 사이타마현이 통째로 [[도쿄도]]로 병합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정령지정도시 이외의 가나가와는 사이타마시를 뺀 사이타마현보다 낙후되어 있고,[* 애초에 정령지정도시가 한국의 광역시처럼 독립한다면 사이타마는 인구 2위의 지역으로 올라간다. 거기다 도쿄만을 낀 게이힌 공업지대 근방의 지자체도 사이타마와 비교했을 때 절대 좋은 이미지는 아니다.] 타마지역은 애초에 사이타마 도심과 비교할 거리도 안 되며, 슈퍼 아레나, 도쿄 항공관제부 그리고 사이타마 관광 사천왕 치치부, 카와고에, 나가토로, 철도 박물관 등이 존재하는 등, [[디즈니랜드]]와 [[나리타 국제공항]], 바다 정도인 치바에는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사이타마현민 스스로는 생각하고 있다. 물론 도쿄 23구와는... 집값이 도쿄랑 비교했을 때 확연히 저렴하며 도쿄와 인접하다는 장점 덕분에 사는 사람도 많은 편이다. 아르바이트를 해도 교통비 지원이 되는 곳이 일본이라, 전철타고 30분만 나가면 신주쿠에, 이케부쿠로는 사이타마 취급이기에, 사람이 많이 살기에 뭔가 수요가 생기려고 해도 도쿄에게 그 수요가 흡수당하는 경우가 많아, 이런 사람만 많이 사는 정상적인 도시로 발전하지 못한 도시의 탈을 쓴 시골이 탄생한 것이다. 사실 일본인들이 스스로 자초한거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 한국의 경우 [[아파트]] 위주의 공동주거, 그것도 도시 역세권 근처에 바짝 붙여져 있는 형태를 선호하기 때문에 저렇게 주택가가 퍼져버리는 일이 드물지만 일본은 '''무리를 해서라도 단독주택에서 살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저렇게 퍼진 구조가 되어버린 것이다.[* 일본의 도시 연담화는 간토권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보편적 현상이다. 게이한신권에서는 [[효고현]]이, 주쿄권에서는 [[기후현]] 남부가 사이타마현과 유사한 형편이다.] 그나마 미국보다는 한국의 1980~90년대 주택가 형태에 더 가까워서 접근성이 극단적으로 나쁘진 않고, [[자전거]]로 편의점이나 시장골목을 이용할 수 있다는게 위안이라면 위안일 것이다. 물론 위의 얘기는 도쿄와 가까운 사이타마시 동남부(구 우라와, 요노)/카와구치/와라비/코시가야[* 코시가야에는 레이크타운 신도시와 함께 건설된 일본 최대의 쇼핑몰인 이온 레이크타운이 있는데, 입주 점포가 700점포에 달한다. 게다가 교외 점포는 널찍하게 짓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 걸어서 쇼핑몰을 횡단하는 데 약 30분 정도가 걸리는 까닭에 직원들은 세그웨이를 타고 쇼핑몰을 관리해야 한다.]/도코로자와, 카와고에 등지에서나 통하는 말이다. 이보다 북동쪽으로 가면 도쿄 나가기가 좀 곤란해지기 때문에 도쿄와 가까운 사이타마의 생활상과는 거리가 있다. 예를 들어 코시가야시나 카스카베시만 해도,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우에노 근방으로 나가는데 전차비가 최소 편도 400엔 이상, 신주쿠나 시나가와 등 23구내 서부나 남부로 나가기 위해서는 전철로 1시간 소요되며 요금도 편도 800엔씩 드는 게 매우 흔하다. 비교적 번화한 도시로 취급되는 소카, 코시가야, 카스카베도 이런 실상인데 그 위쪽은 말할것도 없다. 치치부 등 사이타마 주요 도시에서 차를 타고 30분 이상 나가는 지역으로 가면 그냥 시골... 애당초 사이타마 서부의 오미야[* 웬만한 도쿄의 서민지역보다 집값이 비싸다.] 만 가도 여기는 완전 독립된 도시다. 우라와, 요노 지역이 도시의 탈을 쓴 시골이자 그야말로 빨대효과의 전형인 위성도시라 그렇지... 그렇기에 실질적으로 도쿄가 행동반경인 사이타마 현민은 넓게 보더라도, 서쪽으로는 토코로자와시, 동쪽으로는 요시카와시, 사이타마시의 남부 정도이다. 그럼 나머지 지역에 사는 사람은 볼 일 있을 때 어디로 가는가? 오미야/우라와/[[사이타마 신도심]]에 가면 된다[* ([[크레용 신짱]]을 유심히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쇼핑중독자~~ [[노하라 미사에]]도 쇼핑 갈때 우라와나 오미야로 가는 장면이 묘사되고 있다.)]... 고는 하지만 소카나 야시오 등 현 동남부 지역은 오오미야까지 전철을 환승하여 45분 이상 타야 하지만, 이쪽은 각각 [[도부 철도]], [[츠쿠바 익스프레스]]를 타고 '''[[키타센쥬역]]으로 가면된다!''' 실제로 사이타마 신도심은 도시계획 실패로 인해 거리는 잘 정비되었는데 실제 사람은 별로 없는 모습을 보이지만, 오미야는 굉장히 번화한 동네이다. 우라와도 오미야에 비하면 규모가 작지만 꽤 큰 동네이고...애초에 사이타마시로 통합되기 전에는 우라와에 현청이 있어서 행정중심지, 오미야는 경제중심지로 기능했었다(지금도 현청은 우라와). 도쿄의 야마노테선 역세권이라 해도 오오미야/우라와보다 규모가 작은 동네는 널리고 널렸다. 혹시 이곳에 관광을 목적으로 온다면 주된 목적은 철도박물관, 치치부, 카와고에[* 에도 시대의 건물들을 재현한 거리가 존재한다.], 나가토로, 콘서트 관람, 일상--, [[크레용 신짱]]--. 그 밖에도 공무원 해외출장.[* 사이타마 신도심에는 도쿄에서 이전해 온 정부기관 사무실이 많이 있다.] == 사이타마현 내의 행정구역 일람 == [[파일:Saitama_map.svg|width=1000]] [[사이타마시]] 오른쪽 아래에 있는 [[소카시]], [[코시가야시]], [[미사토시]], [[야시오시]], [[요시카와시]], [[마츠부시마치]] 등 동남부 5시 1정은 2018년부터 합병을 검토하고 있다. 이미 1965년부터 쓰레기와 하수도 문제를 공동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조정회의를 통해 꾸준히 광역적인 행정 과제를 논의하고 있다. 통합시 인구는 약 94만 명이고, 현재 조정회의의 회장은 [[코시가야시]] 시장이다.[[http://www.city.misato.lg.jp/item/10344.htm|미사토시 홈페이지]] 사이타마 현에서는 정(町)은 다 '마치(まち)'라고 읽고, 촌(村)은 다 '무라(むら)'라고 읽는다. == [[간토/관광|관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간토/관광)] == 출신 인물 == === 스포츠 [[선수]] === * [[가와시마 에이지]] - 축구선수 * [[가토 쇼헤이]] - 야구선수 * [[기무라 사오리]] - 前 배구선수 * [[나카무라 아키라]] - 야구선수 * [[덤프 마츠모토]] - 前 프로레슬러 * [[불 나카노]] - 前 프로레슬러 * [[사이토 다이고]] - 드리프트(D1GP) 드라이버 * [[안권수]]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야구선수 * [[큐티 스즈키]] - 前 프로레슬러 * [[쿠도 메구미]] - 前 프로레슬러 * [[호쿠토 아키라]] - 前 프로레슬러 * [[후지사와 리나]] - 프로[[바둑]]기사 * [[하부 요시하루]] - 프로 [[쇼기]] 기사 === [[성우]] 및 [[배우]] === * [[가모 마유]]: 배우 * [[고토 히로키]] - 아크로스 엔터테인먼트 * [[나가노 아이]] - [[도쿄배우생활협동조합]] * [[나가에 리카]] - [[아오니 프로덕션]] * [[나구모 노조미]] * [[나라 토오루]] - 켄유 오피스 * [[나리타 켄]] * [[나카에 미츠키]] - [[마우스 프로모션]] * [[나카노 사이마]] (아게오) - [[스테이 럭]] * [[나카무라 아츠키]] - [[EARLY WING]] * [[나카오 마사키]] - 와타나베 엔터테인먼트 * [[나카지마 사키(성우)|나카지마 사키]] - [[아트비전]]➡️[[도쿄배우생활협동조합]] * [[노구치 유리]] - [[아오니 프로덕션]] * [[다나카 카즈히사]] * [[다케우치 유코]] * [[마스 노조미]] * [[마에시마 아미]] - 배우 겸 성우 * [[마츠다 켄이치로]] - [[아트비전]] * [[마츠시타 미유키]] * [[마츠우라 치에]] - [[마우스 프로모션]] * [[마키노 미치코]] - 전 배우 * [[모가미 츠구오]] - [[켄 프로덕션]] * [[모리타카 아이]] - TEN CARAT * [[무라카와 리에]] - 성우 및 가수 * [[미야노 마모루]] (사이타마) - [[극단 히마와리]] * [[미야우치 아츠시]] - 배우 겸 성우 * [[사이가 미츠키]] - [[켄 프로덕션]] * [[사이토 슈카]] * [[사이토 치와]] - [[아임 엔터프라이즈]] * [[사카이 미호]] - 배우 * [[세키구치 리사]] - [[마우스 프로모션]] * [[세토 아사미]] * [[스기타 토모카즈]] - [[아토믹 몽키]] * [[스기무라 치카코]] - [[스테이 럭]] * [[스와 나나카]] * [[시다 코하쿠]] - 배우 * [[아이자와 사야]] - [[스타더스트 프로모션]] * [[아이자와 유리카]] - [[스테이 럭]] * [[아카오 히카루]] - [[아임 엔터프라이즈]] * [[야마구치 카이]] * [[야마나카 마사히로]] - [[켄유 오피스]] * [[야마다 안나]] * [[야마오카 유리]] * [[야시바 토시히로]] * [[에모리 히로코]] (쿠마가야) - [[아오니 프로덕션]] * [[오카 카즈오]] - [[아트비전]] * [[오카다 메이]] (후카야) - 에이스 크루 엔터테인먼트 * [[요시나가 타쿠토]] - [[극단 히마와리]] * [[우에무라 유우토]] - [[극단 히마와리]] * [[우치다 유야(성우)|우치다 유야]] - 배우 겸 성우 * [[우치야마 코우키]] - [[극단 히마와리]] * [[유키무라 에리]] * [[이나미 안쥬]] - 배우 겸 성우 * [[이시이 미사]] (토다) - [[81 프로듀스]] * [[이시토비 에리카]] * [[이이다 리호]] * [[이이즈카 마유]] - [[선 뮤직 프로덕션]] * [[이자와 시오리]] * [[이치무라 마사치카]] - 배우 겸 성우 * [[챠후린]] - [[오사와 사무소]] * [[치바 치에미]] (카와구치) - [[81 프로듀스]]➡️[[아트비전]]➡️[[켄 프로덕션]] * [[카나자와 마이]] (치치부) - 액센트 * [[카네코 사야카]] - [[오사와 사무소]] * [[카와구치 리나]] - [[아오니 프로덕션]] * [[카와카미 치히로(성우)|카와카미 치히로]] - 성우 겸 일러스트레이터 * [[카카즈 유미]] * [[카케가와 히로히코]] - [[아오니 프로덕션]] * [[카쿠모토 아스카]] - 스페이스 크래프트 * [[코우다 마리코]] (미나미 사이타마) - [[아오니 프로덕션]] * [[코지마 메이]] * [[쿠도 유키]] - 액센트 * [[쿠로사와 토모요]] (치치부) - [[마우스 프로모션]] * [[쿠보타 리사]] - [[마우스 프로모션]] * [[쿠보타 미유]] - [[81 프로듀스]] * [[쿠사오 타케시]] - [[아오니 프로덕션]] * [[키노 히나]] - [[아뮬레토]] * [[키카와다 마사야]] * [[키쿠치 미카]] - 배우 겸 성우 * [[키타하라 사야카]] - [[켄 프로덕션]] * [[타이치 요우]] * [[타치바나 에미리]] * [[타카이와 세이지]] - [[슈트 액터]] * [[타카하시 나나미(성우)|타카하시 나나미]] - 스타일 큐브 * [[타카하시 후미야]] * [[타케우치 준코]] * [[타케타츠 아야나]] - 성우 겸 가수/링크 플랜 * [[토리우미 카츠미]] (카와구치) - [[프로덕션 바오밥]] * [[토마루 치요]] - [[EARLY WING]] * [[토미타 미유]] - [[아뮤즈]] * [[토죠 히사코]] - [[EARLY WING]] * [[페이튼 나오미]] - 성우 * [[하기와라 리쿠]] * [[하라 유코]] - 배우 겸 성우 * [[후카미 리카]] - Vi-Vo * [[혼나 요코]] - [[리맥스]] [[우라와의 우사기짱]]에 나오는 성우들 전원[* 공교롭게도 해당 항목에는 적혀져 있지 않은 성우 9명이 용케도 추려져 캐스팅되었다.][* 단 [[오오쿠보 루미]]는 [[에히메현]] 출생이나 사이타마현에서 자랐다.] === 작가 === * [[가네시로 가즈키]] - 소설가 * [[나리타 료우고]] - 라이트 노벨 작가 * [[모리무라 세이이치]] - 소설가 * [[마이사카 코우]] - 라이트 노벨 작가 * 소고 마사시 - 각본가 * [[이노우에 토시키]] - 각본가 === [[뮤지션]] === * [[RIKU]] - [[THE RAMPAGE from EXILE TRIBE]] 멤버 * [[구라모토 유키]] * [[린토시테시구레]] - 사이타마시에서 결성 * 미야자키 마코토 * 사쿠라이 마사루: 1973년에 결성된 일본의 3인조 록밴드 [[The Alfee]]의 멤버 * [[사토 타이키]] - [[EXILE]] / [[FANTASTICS from EXILE TRIBE]]의 멤버 * 신지 - 밴드 [[SID(밴드)|SID]]의 기타리스트 * 스기야마 카츠히코 * 스즈키 Daichi 히데유키 * 스즈키 야스요시 * 스에히로 켄이치로 * [[시이나 링고]] - [[도쿄지헨]]의 보컬이자 일본의 뮤지션 * [[시쿠라 치요마루]] * 오다와라 유타카 * [[카시오페아(일본 밴드)#s-2.4|오오타카 키요미]] * [[이토 켄지]] * [[칸노 유고]] * [[키린지]] * 타케카와 유키히데 - 밴드 [[고다이고]]의 보컬리스트 * [[하시모토 미유키]] * 하이시마 쿠니아키 * [[호시노 겐]] * EFFY * [[wac]] * [[YURiKA]] === [[아이돌]] === '''가나다 순, 활동 중인 인물만 작성.''' * [[아키모토 마나츠]] - 前 [[노기자카46]] 멤버 * [[나카다 카나]] - 前 [[노기자카46]] 멤버 * [[나카무라 코다이]] - [[쟈니스 주니어]] 유닛 [[SpeciaL]] 멤버 * [[나카지마 사키(큐트)|나카지마 사키]] - [[℃-ute]] 멤버 * [[나카타 치사토]] - 前 [[AKB48]] 멤버 * [[니부 아카리]] - [[히나타자카46]] 멤버 * [[마츠다 겐타]] - [[Travis Japan]] 멤버 * [[마츠무라 카오리]] - 前 [[SKE48]] 멤버 * [[마츠이 사키코]] - 前 [[AKB48]] 멤버 * 마츠자키 유스케 - [[포유]] 멤버 * [[모리카와 아야카]] - 前 [[AKB48]] 멤버 * [[무카이치 미온]] - [[AKB48]] 멤버 * [[미야지마 유고]] - [[ORβIT]]의 멤버 * [[사가라 이오리]] - 前 [[노기자카46]] 멤버 * [[사사키 유카리]] - [[AKB48]] 멤버 * [[사사키 코토코]] - 前 [[노기자카46]] 멤버 * [[사이토 치하루]] - 前 [[노기자카46]] 멤버, 아나운서 * [[사토 스미레]] - 前 [[SKE48]] / 前 [[AKB48]] 멤버 * [[사쿠야(NCT)]] - [[NCT]] 멤버 * [[세이미야 레이]] - [[노기자카46]] 멤버 * [[세키구치 나나]] - 前 [[Bety]] 멤버 * [[소다 사리나]] - 前 [[SKE48]] 멤버 * [[소울(P1Harmony)|소울(하쿠 쇼타)]] - [[P1Harmony]] 멤버 * [[스즈키 마리야]] - 前 [[SNH48]] / 前 [[AKB48]] 멤버 * [[시노자키 아야나]] - [[AKB48]] 멤버 * [[시마자키 하루카]] - 前 [[AKB48]] 멤버, 배우 * [[신우치 마이]] - 前 [[노기자카46]] 멤버 * [[야마다 노에]] - 前 [[NGT48]] 멤버 * [[야지마 마이미]] - [[℃-ute]] 멤버 * [[이와사키 하루카]] - [[후와후와]] 멤버 * [[엔도 리코]] - [[사쿠라자카46]] 멤버 * [[오기노 유카]] - 前 [[NGT48]] 멤버 * [[오오타 아이카]] - 前 [[HKT48]] 멤버 / 前 [[AKB48]] 멤버, 배우 * [[오카이 치사토]] - [[℃-ute]] 멤버 * [[요시자와 히토미]] - 前 [[모닝구 무스메]] 멤버 * [[요코야마 레이나]] - [[모닝구 무스메]] 멤버 * [[유쿠(다크비)|유쿠]] - [[다크비]] 멤버 * [[와타나베 마유]] - 前 [[AKB48]] 멤버 * [[와타나베 미호]] - 前 [[히나타자카46]] 멤버 * [[이노오 케이]] - [[Hey! Say! JUMP]] 멤버 * [[이노우에 사유리]] - 前 [[노기자카46]] 멤버 * [[이와모토 히카루]] - [[Snow Man]] 멤버 * [[이시다 하루카]] - 前 [[AKB48]] 멤버, 성우 * [[이즈타 리나]] - 前 [[AKB48]]/[[BNK48]] 현 [[CGM48]] 멤버 * [[이치카와 미오리]] - 前 [[AKB48]] / [[NMB48]] 멤버, 배우 * [[카네무라 미쿠]] - [[히나타자카46]] 멤버 * [[코바야시 유이]] - [[사쿠라자카46]] 멤버 * [[코바야시 카나]] - 前 [[AKB48]] 멤버 * [[코지마 하루나]] - 前 [[AKB48]] 멤버 * [[쿠도 하루카(1999)|쿠도 하루카]] - [[모닝구 무스메]] 멤버 * [[쿠로스 하루카]] - [[AKB48]] 멤버 * [[쿠사나기 츠요시]] - 前 [[SMAP]] 멤버 * [[키시 유타]] - [[King & Prince]] 멤버 * [[타무라 마유]] - [[노기자카46]] 멤버 * [[타카하시 아야네]] - [[AKB48]] [[팀 8]] [[사이타마현]] 대표 * [[하기와라 마이]] - [[℃-ute]] 멤버 * [[아마네 카나타]] - [[hololive]] 4기생 맴버. 참고로 전 4기생 맴버였던 인물도 같이 동거중 * [[하쿠 쇼타]] - [[P1Harmony]] 멤버 === 만화가 === * [[alp]] - 만화가 * [[니노미야 토모코]] - 만화가 * 마츠모토 프리츠 - 만화가, 《[[못말리는 3공주]]》 원작자. * [[마츠이 유세이]] - 만화가 * [[미시마 쿠로네]] - 일러스트레이터 * [[히구치 아사]] - 만화가 * [[우스이 요시토]] - 만화가[* 출생은 [[시즈오카현]]이나 죽을때까지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에서 살았다.] * [[ONE(만화가)|ONE]] - 만화가 * [[사쿠라이 노리오]] - 만화가 * [[하마다 요시카즈]] - 만화가 * [[아소 슈이치]] - 만화가 * [[토보소 야나]] - 만화가 * [[쿨교신자]] - 만화가 * [[하라 테츠오]] - 저자 === 정치인 === * [[가다 유키코]] - 전 [[시가현]]지사, 현 참의원 의원 * [[가타야마 사쓰키]] - 현 참의원 의원 * [[고미야마 야스코]] - 현 중의원 의원 * [[세키구치 마사카즈]] - 현 자유민주당 참의원 회장 * [[신도 요시타카]] - 전 총무대신, 현 중의원 의원 * [[스즈키 나오미치]] - 현 [[홋카이도]]지사 * [[스즈키 요시히로]] - 전 중의원 의원 * [[오노 모토히로]] - 현 사이타마현지사 * [[오시마 아쓰시]] - 현 중의원 의원 * [[하타 야와라]] - 전 사이타마현지사 === 경제계 === * [[시부사와 에이이치]] - 기업인, 은행 설립자 === 가상 인물 === * [[후시구로 메구미]] - [[주술회전]] * [[타카츠키 야요이]] - [[아이돌 마스터]] * [[모가미 시즈카]], [[토코로 메구미]], [[노노하라 아카네]]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 [[죠가사키 미카]], [[죠가사키 리카]], [[오오츠키 유이]], [[키타미 유즈]]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카미나리 덴키]],[[신소 히토시]]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코론 크리스]] - [[아이돌 마스터 SideM]] * [[이즈미 메이]], [[나나쿠사 하즈키]], [[나나쿠사 니치카]]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키리가야 카즈토]], [[키리가야 스구하]] - [[소드 아트 온라인]] * [[노하라 신노스케]] - [[크레용 신짱]] * 우구이스다니 몬도 -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 * [[아키야마 와타루]], [[아키야마 노부히코]], [[이와세 쿄코]], [[사카모토(이니셜D)|사카모토]] - [[이니셜D]][* 이니셜D의 배경이 되기도 했고 작품의 주연 팀 프로젝트 D가 사이타마 원정을 다녀왔기 때문에 등장하는 출신 인물은 많다.] * [[코토부키 레이지]] - [[노래의☆왕자님♪]] * [[아오이 에리카]] - [[헤븐 번즈 레드]] *[[나루호도 류이치]][* 역전재판의 디렉터인 [[타쿠미 슈]]의 고향이 사이타마현이라 나루호도의 고향도 똑같이 설정했다고 한다.]-[[역전재판]] === 기타 === * [[조갑제]] - 해방후 귀국 * [[아마네 카나타]] - 버츄얼 유튜버 * 야마구치 노노카 - [[E-girls]] * [[마지마 나오미]] - 그라비아 아이돌, 패션 모델 * [[마츠유키 아야카]]] - [[웨더뉴스 LiVE]]의 기상캐스터 * [[미우라 타카히로]] -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애니메이터 * [[사와베 유우]] - [[게닌]] * [[시라이 유카리]] - [[웨더뉴스 LiVE]]의 기상캐스터 * [[아라키 테츠로]] -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 [[야마기시 아이리]] - [[웨더뉴스 LiVE]]의 기상캐스터 * [[츠치다 테루유키]] - [[게닌]] * 콘노 마리, 요시자와 마사미, 난바 에리카 - [[미야자키 츠토무]]에 의해 희생된 유아들 * 후루타 준코 - [[여고생 콘크리트 살인사건]]의 피해 여고생 * [[타쿠미 슈]]-[[역전재판]]의 디렉터 == 사이타마현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 == [[파일:attachment/saitama_ani.jpg|width=600]]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많다. *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 치치부가 배경 *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 사이타마시 배경. 남주인공 [[고죠 와카나]]의 집은 사이타마시 북동부의 이와츠키구에 있는데, 그곳에 모델이 되는 인형 공방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어 팬들의 성지순례가 이어지고 있다. * [[기동전함 나데시코 -The Prince of Darkness-]] - 중반부 [[화성의 후계자]]의 암부인 육인중이 지구에 잠입시 치치부 산중으로 보손점프한다. * [[김전일 37세의 사건부]] - [[아야세 연쇄 살인사건]][* 사건 현장 중 한 곳이 사이타마현이다.] * [[날아라 사이타마]] * [[닌자 슬레이어]] - 정확히는 이름만 따온 '''[[네오 사이타마]]'''이며, 위치 역시 도쿄만을 매립해 만들어진 인공섬에 세워진 도시라는 설정으로 실제 사이타마와는 다르다. 전형적인 근미래 배경의 [[디스토피아]] 인외마굴로 그려진다. * [[달이 아름답다]] - 카와고에가 주무대. * [[러키☆스타]] - [[히이라기 카가미]]와 [[히이라기 츠카사]]의 집이 [[쿠키시]] [[와시노미야]]에 있다. * [[러프]] * [[마법선생 네기마]] - 수학여행편에서 보면 오오미야역 집합 *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 - [[아노하나]]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치치부시]]가 배경 * [[무장연금]] * [[무책임 함장 테일러]] - 주인공인 테일러가 사이타마현 출신이다 * [[미즈이로]] - 그 외에도 [[네코네코 소프트]]의 게임 다수의 배경. * [[바쿠만]] - 사이코와 슈진이 사는 곳이 사이타마현 야쿠사시. 그러나 야쿠사시는 가상의 도시다. (코시가야(越'''谷''') + 소카('''草'''加)) * [[박살천사 도쿠로]] * [[별의 목소리]] - 오미야구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 앞과 니자시가 배경이다. * [[사랑하는 소행성]] * [[사혼곡: 사이렌]] * 사이타마의 여고생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사키 -Saki-]]의 고시가야 여고[* [[고시가야]]는 실제 지명이다.] * 세계의 중심,하리야마 씨 * [[세토의 신부]] * [[소드 아트 온라인]] - 주인공 [[키리가야 카즈토]]의 집이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에 있다. * [[스쿨데이즈]] * [[쓰리몬]] - 9권에서 히토하:"사이타마가 도시라니 놀라운 사실이군."이라는 대사가 나온다. 사실 [[사쿠라이 노리오|작가]]의 출생지가 사이타마라 가끔 언급하기도 한다.[* 정확히는 [[아게오시]]이다. 작가도 아게오시 출신.] *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THE ANIMATION]] - 사이타마시 오미야구 * [[아이들의 시간]] * [[아이 앰 어 히어로]] - [[쿠르스]] 편의 배경. * [[여동생이 만든 괴로운 RPG]] - 꽤 많은 작품에서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를 배경으로 쓰고 있다. * [[야마노스스메]] - 사이타마현 한노시가 주된 배경. * [[약캐 토모자키 군]] - 사이타마시 * [[우라와의 우사기짱]] - 아예 대놓고 지역 홍보물이다. * [[이웃집 토토로]] - 토고 로자와시 후치의 숲 배경이다. * [[최근 여동생의 상태가 조금 이상한 것 같다만]] - 사이타마현 한노시. * [[오늘부터 신령님]] * --[[원펀맨]]-- - 원펀맨 세계관의 지구에는 사이타마현 모양의 초대륙 사이타마가 있다. 참고로 주인공 이름도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 * [[월간 순정 노자키군]] - 노자키의 본가가 사이타마에 있다. * [[이니셜 D]] - 2nd stage의 아키야마 와타루의 홈인 쇼마루 고개가 사이타마에 있고, 4th stage 전반이 사이타마가 배경이다. 5th stage는 [[가나가와현|가나가와]]로 넘어간다. * [[작안의 샤나]] * [[주온]] - 촬영지가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 [[쪽빛보다 푸르게]] * [[타마요미]] - [[코시가야시]] * [[캡틴 츠바사]] - 중학생 편의 전국대회가 이 곳의 오오미야에서 열렸다. [[휴가 코지로]]와 메이와의 멤버들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 [[퀄리디아 코드]] * [[크게 휘두르며]] - 주인공팀인 니시우라고교는 사이타마 소속으로 현대회를 치르는 것이 지금까지의 중심내용이다. 당연히 등장하는 학교도 몇을 제외하면 사이타마현의 고등학교. * '''[[크레용 신짱]]''' - 사이타마현 '''[[카스카베시]]'''. 정발판 명칭의 경우 초기 아이큐점프 판본에서는 '''일산 신도시'''로 로컬라이징된바 있다. 참고로 둘 다 수도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보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던 후타바 마을(双葉町)은 실제로는 사이타마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때문에 [[후쿠시마]]에 있던 후타바 마을이 임시로 피난해와서(…) 생겨버렸다(…). 다만 카스카베는 아니고, 더 윗쪽의 카조시에 생겼다.--카스카베로 피난오지. 그럼 레알 짱구는 못말려가 됐을텐데~--] * [[쥬얼펫 키라☆데코!]] - [[오미야 핑크]] 앞 이름에 오오미야가 써 있고, 작중 배경중 조금 많이 사이타마가 들어간 현실배경들이 있기 때문에 사이타마 애니일지도 모르겠다. * [[포켓몬스터]]의 [[블루시티]][* 사이타마를 모티브로 한 도시이다.] * [[피구왕 통키]] - 원작배경은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지만 마지막에 유럽선발팀을 데리고 온 타이거에게서 언급된다. 더빙판에서는 [[충청도]]로 나온다. * [[ONE OUTS]] *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사이타마현 코시가야시. * [[폭두고딩 타나카]] - 사이타마현에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사이타마현 내에 있는 지역에 사는것으로 나온다. * [[녹을 먹는 비스코]] - 세상이 모든걸 녹슬게 하는 '녹바람'으로 죄다 스러진 [[세기말]]스러운 세계관에서 기괴곰치같은 괴수들이 활보하는 광대한 철 사막으로 등장한다. 더불어 [[군마현|군마]]는 사람이 사는 도시로 [[니가타현|니가타]], [[도치기현|도치기]]와 군사적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나름 힘 있는 지역으로 등장하며, [[도쿄]]는 그냥 구멍만 뻥 뚫려있는 공백지대로 존재하고 있다. ==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는 문서 == * '''[[사이타마2000]]''' 시리즈 ([[사이타마2000]], [[키타사이타마2000]], [[하야사이타마2000]], [[키타사이타마200]], [[마타사이타마2000]], [[마다사이타마2000]]) * [[난개발]] * [[닌자 슬레이어]] * [[도부 철도]] * [[세이부 철도]] * [[사이타마 고속철도]] * [[아게오 사건]] * [[FOE와의 조우]] * [[Pride]] * ---추억팔이의 신---[[200원]] * [[Animelo Summer Live]] 2008년부터 * --[[박지성]]-- * --[[문선민]]-- *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 초반 관함식에서 주인공들 머리 위로 지나가는 이클립스 급 구축함이 일본 사이타마에서 건조되었다. 후에 주인공들의 전투를 공중 지원해준다. ~~그리고 난입한 올림푸스 몬스에게 시원하게 박살났다.~~] * [[여고생 콘크리트 살인사건]] [* 이 사건의 피해자인 후루타 준코가 다녔던 고등학교가 사이타마현 미사토시에 있었다.] * [[도쿄·사이타마 연쇄 유아납치 살해사건]][* 마찬가지로 이 사건의 피해자인 유아들 대다수가 사이타마현에 거주해 있었다.] * [[원펀맨]] * [[차가운 열대어]][* 사이타마 애견가 연쇄 살인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 관련 문서 == * [[사이타마 신도심]]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둘러보기 == [include(틀:간토 지방)] [[분류:사이타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