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1리그/경기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tadiumguide.com/saitamastadium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itama Stadium 2002.png|width=100%]]}}} || ||<-2><:><#ee1b3c> '''{{{#ffffff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2><:><#000000> '''{{{#fff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fff (Saitama Stadium 2002/埼玉スタジアム2002)}}}''' || ||<:> '''개장일''' ||<:> [[2001년]] [[10월 1일]] || ||<:> '''소재지''' ||<:>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사이타마)|미도리구]] || ||<:> '''홈구단'''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경기장 형태''' ||<:> 축구전용구장 || ||<:> '''수용 규모''' ||<:> 63,700석 || ||<:> '''건설 비용''' ||<:> 356억 엔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사이타마)|미도리구]]에 있는 축구전용구장이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홈경기장이고 2019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경기장으로 사용했던 곳으로 국내 축구팬들에게 익숙한 곳이며, [[을용타]] 사건이 발생한 경기장으로 잘 알려져있다. [[우라와미소노역]] 근처에 위치해있다. == 상세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을 치르기 위한 일본 내 10개 경기장 중 한 곳으로 건설되었고, 2001년 개장되었다. 일본의 10개 경기장 중 [[닛산 스타디움|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에 이어 2번째로 수용인원이 많았던지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인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전이 이곳에서 개최되었으며 또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의 준결승전이 치러진 무대 역시 이곳이었다. 월드컵 이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홈 구장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제1구장으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2020년부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제 1구장은 [[도쿄 신국립 경기장]]으로 변경되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에서 일본의 홈 경기도 전 경기가 이곳에서 치러졌다.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조별리그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 '''경기일자''' || '''홈팀''' || '''결과''' || '''원정팀''' || '''라운드''' || '''관중 수''' || || 2002년 6월 2일 18:3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1:1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스웨덴 || F조 1차전 || 52,721 || || 2002년 6월 4일 18:3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2:2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벨기에 || H조 1차전 || 55,256 || || 2002년 6월 6일 18:30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카메룬 || 1: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사우디아라비아 || E조 2차전 || 52,328 || || 2002년 6월 26일 20:30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 1:0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터키 || 준결승 || 61,058 || == 여담 == [[파일:external/25.media.tumblr.com/tumblr_lsjc34MOY61r3q2l5o1_500.jpg]] 일본 [[J리그]] 중에서도 첫째로 손꼽히는 인기 구단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홈 경기장인 만큼 경기장 내에서의 응원 분위기도 위압적이다. 매 경기 만석은 아닐지라도 상당한 수의 평관을 기록하고 있다. 서포터즈들의 [[극우]]적, [[인종주의]]적 응원이 문제시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s-8|항목]]을 참조. 2003년 [[동아시안컵]] 당시 있었던 [[을용타]]도 이곳에서 일어났다.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촬영 장소로도 가끔 쓰이며,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s-4.1|잭 폼]]이 첫 등장했던 곳은 스타디움 내에 있다. === 산책 [[세리머니]] === 한국 축구팬들에겐 유독 일본을 상대로 굴욕적인 [[골 세리머니]]를 선보인 장소로 인식이 박혀 있다. [[파일:external/file2.instiz.net/5553f0ddfd02b90a50d50eecc0dde8e0.gif]] 그 시초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앞두고 열린 일본과의 평가전에서 [[박지성]]이 선취골을 넣고 선보인 세리머니다. 이 경기는 월드컵을 앞두고 일본의 출정식을 겸해서 개최되었는데 그런 중요한 경기에서 분위기를 깨는 골을 집어넣고, 침묵에 빠진 일본 응원단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산책]]하는 듯한 세리머니를 보여주면서 일본 축구팬들에게 [[멘탈붕괴]]를 선사했다. 훗날 박지성은 인터뷰에서, 경기 당일 선수명단을 호명할 때 본인의 이름이 불리자 일본 관중들이 야유를 퍼붓는 걸 듣고 분노한 나머지 일부러 건방진 세리머니로 앙갚음을 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박지성이 산책 세리머니를 시전한 이후로 '''한국 팀이 이 경기장에서 골을 넣으면 박지성의 산책 세레머니를 똑같이 따라해야 한다는 일종의 [[불문율]] 겸 밈이 생겼다.'''[[https://www.youtube.com/watch?v=lbGG7v23JaM|#]] 이후 [[2013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원정에 나선 [[전북 현대 모터스]]의 [[이동국]]이 후반 교체로 투입된 이후 경기를 뒤집는 역전골을 넣고 나서 박지성과 똑같이 우라와 홈팬들을 쳐다보는 산책 세리머니를 재현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전북은 이동국의 역전골에 이어서 [[에닝요]]의 쐐기골까지 추가하며 3-1로 승리하였다. 이동국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당시 강등권에 처한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에서 고전 중인 박지성에 대한 응원의 한마디를 남기기도 했다. 심지어 한국인이 아닌 [[브라질]] 출신 [[외국인 선수]] [[카이오(축구선수)|카이오]]까지 산책 세리머니에 동참했다. [[2015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우라와와 한 조가 되어 이곳 사이타마 스타디움 원정을 떠나게 되었는데 양팀이 1-1로 맞서던 후반전 44분에 카이오가 절묘한 원터치 슛으로 결승골을 넣은 후 골대 뒤의 관중들을 쳐다보며 손을 귀에 갖다대는 세리머니를 시전했다. 이쯤되면 거의 클리셰 수준이었다. [[박지성]]으로부터 시작된 이 산책 세리머니는 점차 사이타마뿐만 아니라 [[일본]] 내 다른 경기장에서까지 전파되어, [[2017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제주 유나이티드]]의 [[이창민(1994)|이창민]]이 [[감바 오사카]]의 홈 경기장인 [[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에서 골을 넣은 후 감바 홈 팬들의 앞에서 산책 세리머니를 시전하기도 했다.[[http://www.bobaedream.co.kr/view?code=strange&No=1788415&bm=1|#]] 이어서 같은 년도의 12월 17일 [[동아시안컵]] [[한일전]]이 열렸던 도쿄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에서 [[염기훈]]이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면서 이를 단체 세레머니로 재현했다.[[http://tv.naver.com/v/2426999|#]] 일본 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 경기장에서도 이 세레머니가 재현되었다. [[인도네시아]] 찌비농의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펼쳐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에서는 [[황희찬]]이 일본을 상대로 2번째 헤딩골을 넣고 나서 다시 세리머니를 재연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DHgtQSCCgig|#]] 2019년 6월 19일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16강전 [[울산 현대]] vs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1차전에서 [[주민규]]가 다시 한 번 세레머니를 재연했다. 2022년 8월 22일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전북 현대 모터스]] VS [[비셀 고베]]전에서 [[문선민]]이 경기 종료 직전 득점을 하고 산책 세레머니는 아니지만 관제탑 세레머니로 승리를 자축했다. [[https://sports.v.daum.net/v/20220823092112904|일본 반응]]을 보면 일본 팬들이 이 세레머니도 굉장히 치욕스러워한 모양이지만, 그 와중에도 김상식 감독이 "오늘은 산책 세리머니가 나오지 않았지만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다음 경기]]에서는 선수들이 팬들에게 보여줬으면 한다"는 지령을 남기며 일본 팬들에게 다시금 굴욕을 선사했다. 박지성의 산책이 오랜 시간이 흘러서도 일본 팬들에게는 잊히지 않는 트라우마로 자리잡은 모양. == 둘러보기 == ||<-5><#FFFFFF,#666666>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2008~2020).svg|width=30]] '''역대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개최 경기장''' || ||<:> 2006 ||<:><|2> {{{+1 → }}} ||<:> 2007||<:><|2> {{{+1 → }}} ||<:> 2008 || ||<:> [[전주월드컵경기장]][br]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 스타디움 ||<:><#DCDCDC,#191919> 풀라드 샤흐르 스타디움[br]'''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오사카 만국 박람회 기념 경기장[br]하인드마시 스타디움 || ||<:> [[AFC 챔피언스 리그/2016년|2016]] ||<:><|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17년|2017]]||<:><|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18년|2018]] || ||<:> [[전주월드컵경기장]][br][[하자 빈 자예드 스타디움]] ||<:><#DCDCDC,#191919>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br]'''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br][[아자디 스타디움]] || ||<:> [[AFC 챔피언스 리그/2018년|2018]] ||<:><|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19년|2019]]||<:><|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20년|2020]] || ||<:>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br][[아자디 스타디움]] ||<:><#DCDCDC,#191919>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br]'''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알자누브 스타디움]] || ||<:> [[AFC 챔피언스 리그/2021년|2021]] ||<:><|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2022]]||<:><|2> {{{+1 → }}} ||<:> [[AFC 챔피언스 리그/2023-24 시즌|2023-24]] || ||<:>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DCDCDC,#191919>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br]'''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 || [include(틀: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경기장)] [include(틀:2020 도쿄 올림픽/축구 경기장)] [include(틀:일본의 공연장 규모)] [[분류:일본의 축구장]][[분류:일본의 공연장]][[분류: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분류:2001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