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ツヴァ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사이버 드래곤 츠바이, 일어판명칭=サイバー・ドラゴン・ツヴァイ, 영어판명칭=Cyber Dragon Zwei,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묘지에 존재하는 한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의 마법 카드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카드명은 엔드 페이즈까지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올린다., )] 부스터 팩 [[절대적인 힘]]에서 등장.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에 이어 새로이 등장한, 사이버 드래곤의 2번째 대용품이다. 츠바이는 [[독일어]]로 [[2]]를 의미한다. 사이버 드래곤이 제한이었던 시절 다 망해가던 정통 사이버 융합 덱을 구제하기 위해 나온듯한 카드. 사이버 드래곤은 다시 무제한 카드로 돌아온지 꽤 되었지만, 무제한 카드가 된 후에도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는 사이버 드래곤의 양을 늘려주는 카드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인다. 필드에서 사이버 드래곤이 되는 효과의 경우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에는 없는 디메리트가 있긴 하지만, 패에 있는 마법 카드를 보여줄 뿐인 비교적 작은, 아니 사실상 의미가 없는 디메리트. 애초에 이 카드를 굳이 사이버 드래곤으로 만든다면 곧바로 [[융합(마법 카드)|융합]]이나 [[파워 본드]], [[오버로드 퓨전]], [[에볼루션 버스트]] 등의 마법 카드를 쓰게 되어있으므로 어차피 그런 식으로 쓰게 될 카드를 보여주면 그만이다. 능력치가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에 비해 조금 더 높아 필드에서 버티는 난이도가 살짝 낮아졌다. 프로토 사이버와는 달리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덱에서 이 카드 2장을 불러온 후에 효과를 쓰고 융합으로 사이버 엔드를 부를 수도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묘지에서 사이버 드래곤이 되는 효과가 우수하여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묘지에서 이놈들을 건져와 정통 사이버 융합에 쓰거나, [[오버로드 퓨전]]을 이용해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을 불러오는데도 써먹을 수 있다. 이러고도 여전히 [[샤이닝 엔젤]]등의 리크루터로 불러올 수 있는 수준의 능력치이며 공격력 상승 효과 덕분에 하급 어태커로도 써먹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 더군다나 묘지에서 사이버 드래곤이 되는 효과 때문에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에게 지옥의 폭주 소환을 발동할 경우 진짜 사이버 드래곤뿐만 아니라 묘지의 이 녀석도 튀어나올 수 있다. 3장이 묘지에 있는 상태에서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을 특소하고 지옥의 폭주소환을 써주면 필드에 프로토 사이버 밖에 없었을 경우 단번에 필드가 가득 찬다. 거기에 그 몬스터들은 전부 사이버 드래곤이거나 사이버 드래곤으로 될 수 있는 카드들...패에 융합이나 파워 본드가 2장 있다면 곧바로 [[사이버 엔드 드래곤]]과 [[사이버 트윈 드래곤]]을 하나씩 불러낼 수 있는 상황. 단, 이 녀석을 특수 소환하면서 지옥의 폭주소환을 써먹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들은 못 불러낸다.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과는 달리 레벨 4라서 [[초시공전투기(유희왕)|제이트 나이트]], [[더커(유희왕)|더커]], [[라이트닝 튠]]의 효과를 받을 수 있으며, 효과를 써도 상대 턴에는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로 취급되기에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에게 잡아먹힐 염려도 적다.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에서 우수한 효과를 지닌 새로운 사이버 드래곤 대용품인 [[사이버 드래곤 코어]]와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가 등장해서 이 카드의 설 자리가 굉장히 좁아졌다. 엑시즈 소환을 주로 쓰는 사이버 드래곤에서 이 카드를 투입할 바에는 갤럭시 솔저나 오파츠 골든 셔틀을 채용하기에 아예 안 넣는 경우도 많은 편. 그래도 상대 턴에 "사이버 드래곤"이 아니라는 점이나 지옥의 폭주소환에 절묘하게 대응하는 공격력이라는 점 등 이 카드만의 장점도 있는지라 저 두 카드의 상호 호환 정도 관계. 선호하는 쪽을 채용하거나 [[머시너즈의 최전선]]의 효과를 같이 사용해주면 된다. 물론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이 주력인 융합 소환 덱에서는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가 다수 필요해서 이 카드를 넣는 경우도 꽤 있다. 능력치는 원본 사이버 드래곤보다 정확히 600씩 낮다. 하지만 이름이나, [[사이버 네트워크]]의 일러스트에서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와 나란히 사이버 드래곤 앞이 아닌 뒤에 위치해있는 걸 보면 사이버 드래곤의 전 단계라기보다는 사이버 드래곤보다 후에 만들어진 발전형일 가능성이 있다. 파워를 좀 떨어뜨리는 대신 코스트를 절감하고 운용의 유연성을 높였다던가 하는 식으로. 여담으로 이 카드의 영어 이름 Cyber Dragon '''Zw'''ei에 [[ZW]]가 들어간다는 점 때문에, TCG에서는 카드의 이름으로 ZW를 지정할 때 "ZW - "라고 하이픈까지 넣어서 지정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절대적인 힘]] || ABPF-KR035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04 || [[노멀]] || 한국 || 2장 수록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 ABPF-JP035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DUELIST EDITION Volume 4 || DE04-JP103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기광룡 습뢰]]- || SD26-JP004 || [[노멀]] || 일본 || 2장 수록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 ABPF-EN035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04 || [[노멀]] || 미국 || 2장 수록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