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00aaf4,#00aaf4 사이다처럼 말이 톡톡 솟아올라}}}}}} {{{#00aaf4,#00aaf4 (2021)}}}'''[br]{{{#00aaf4,#00aaf4 サイダーのように言葉が湧き上がる}}}[br]{{{#00aaf4,#00aaf4 Words bubble up like Soda P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iderkotoba1.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청춘]], [[드라마]] || || '''{{{#ffffff,#ffffff 원작}}}''' ||플라잉도그 || || '''{{{#ffffff,#ffffff 감독}}}''' ||[[이시구로 쿄헤이]] || || '''{{{#ffffff,#ffffff 프로듀서}}}''' ||오가와 타쿠야 || || '''{{{#ffffff,#ffffff 각본}}}''' ||사토 다이 || || '''{{{#ffffff,#ffffff 연출}}}''' ||야마시로 치에 || || '''{{{#ffffff,#ffffff 주연}}}''' ||[[이치카와 소메고로]][br][[스기사키 하나]]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br]총작화감독}}}''' ||[[아이케이 유키코]] || || '''{{{#ffffff,#ffffff 원화}}}''' ||[[모리카와 사토코]] || || '''{{{#ffffff,#ffffff 작화감독}}}''' ||카네다 나오미[br]에롤 세드릭[br]니시무라 이쿠[br]와타나베 유키코[br]츠지 토모코[br]홍창희[br]코이소 유카[br]요시다 미나미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나카무라 치에코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오오츠카 마스미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키무라 마사히로 || || '''{{{#ffffff,#ffffff 레이아웃 감수}}}''' ||키무라 마사히로 || || '''{{{#ffffff,#ffffff 프롭디자인}}}''' ||코이소 유카[br]아이케이 유키코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타나다 코헤이[br]세키야 요시히로 || || '''{{{#ffffff,#ffffff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 || || '''{{{#ffffff,#ffffff 3DCG감독}}}''' ||노리키 츠카모토 || || '''{{{#ffffff,#ffffff 음악}}}''' ||[[우시오 켄스케]] || || '''{{{#ffffff,#ffffff 음향감독}}}''' ||[[아케타가와 진]] || || '''{{{#ffffff,#ffffff 기획}}}''' ||플라잉도그 || || '''{{{#ffffff,#ffffff 제작}}}''' ||「사이다처럼 말이 끓어올라」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제작사}}}''' ||[[SIGNAL.MD|[[파일:SIGNAL.MD 아이콘 로고.svg|height=30]]]] × 사브리메이션 || || '''{{{#ffffff,#ffffff 배급사}}}''' ||마츠타케 || || '''{{{#ffffff,#fff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7월 22일 || || '''{{{#ffffff,#ffffff 화면비}}}''' ||16:9 || || '''{{{#ffffff,#ffffff 상영 시간}}}''' ||87분 || || '''{{{#ffffff,#ffffff 제작비}}}''' ||미정 || || '''{{{#ffffff,#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미정 || || '''{{{#ffffff,#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미정 || || '''{{{#ffffff,#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미정 || || '''{{{#ffffff,#ffffff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https://www.netflix.com/title/81400497|▶]]||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ffffff 상영 등급}}}]]''' ||전체이용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cider-kotoba.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iderKotoba, 크기=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플라잉 도그 10주년 기념작품이자 [[4월은 너의 거짓말]]의 감독 이시구로 쿄헤이의 첫 오리지널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일본 현지기준 [[2020년]] [[5월 15일]] 개봉예정이였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무기한 연기를 맞은 끝에 2021년 7월에 개봉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넷플릭스에서 일본 개봉일과 같은 날에 공개한다. == 시놉시스 == >17번째 여름에 너를 만난다⸺.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서툰 하이쿠 소년과 컴플렉스를 숨기는 마스크 소녀. >교외의 쇼핑몰을 무대로 만난 두 사람이 말과 음악으로 거리를 좁혀가는 보이 미츠 걸 == 마케팅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4.8px" [[파일:saidakotoba2.jpg|width=100%]]}}}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8weCu7Vctts,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UT_DQ2ATKlI, width=100%)]}}} || || '''30초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luWcue3t2OU, width=100%)]}}} || || '''60초 PV''' || == 등장인물 == * 체리(사쿠라 유이) - [[이치카와 소메고로]] * 스마일(호시노 유키) - [[스기사키 하나]] * 비버 - [[한 메구미]] * 재팬 - [[하나에 나츠키]] * 터프보이(야스유키) - [[우메하라 유이치로]] * 쥬리 - [[나카지마 메구미]] * 마리 - [[모로호시 스미레]] * 고이치 - [[카미야 히로시]] * 마리아 - [[사카모토 마아야]] * 후지야마 할아버지 - [[야마데라 코이치]] * 후지야마 츠바키(후지야마 할아버지의 딸) - [[이노우에 키쿠코]] == 줄거리 == 17번째 여름[* 더 정확히는 2019년 7,8월.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된 달력으로 짐작 할 수 있다.], 지방도시⸺. 커뮤니케이션을 잘 못해서, 다른 사람이 말을 걸지 못하도록, 항상 헤드폰을 착용하고 있는 소년 체리. 그는 말할 수 없는 기분을 취미인 하이쿠에 싣고 있었다. 교정 중인 큰 앞니를 가리기 위해 언제나 마스크를 쓰고 있는 소녀·스마일. 인기 동영상주인 그는 귀여움을 발견하고는 영상을 내보내고 있었다. 하이쿠 이외에서는 생각한 것을 좀처럼 입에 올리지 않는 체리와, 외형 콤플렉스를 극복하지 못하는 스마일이 쇼핑몰에서 만나 SNS를 통해 조금씩 말을 주고받는다. 어느날 두 사람은 아르바이트처에서 만난 노인 후지야마가 잃어버린 추억의 레코드를 찾아다니는 이유를 건드린다. 두 사람은 그것을 스스로 찾아내려고 결의. 후지야마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함께 레코드를 뒤지다가 체리와 스마일 거리는 급속도로 좁혀진다. 하지만, 어떤 사건을 계기로, 두 사람의 마음은 어긋나며⸺. 이야기의 클라이맥스, 체리의 똑바르고 폭발적인 메시지는 마음속 깊이까지 전해져, 선명한 섬광이 되어 한여름의 추억으로 기억된다. == 주제가/삽입곡 == ||<-2>
'''{{{#00aaf4,#00aaf4 사이다처럼 말이 끓어올라 주제가[* 2020년 5월 13일에 발매되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cTWBnFMsCk,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제목''' || サイダーのように言葉が湧き上がる[br]사이다처럼 말이 톡톡 솟아올라 || || '''노래''' || never young beach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2>
'''{{{#00aaf4,#00aaf4 사이다처럼 말이 끓어올라 삽입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ZGleXXX1pI,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제목''' || YAMAZAKURA || || '''노래''' || [[오오누키 타에코]]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words_bubble_up_like_soda_pop, tomato=100, popcorn=87)]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735338, user=6.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words-bubble-up-like-soda-pop,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93993, presse=없음, spectateurs=3.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354115, user=7.35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7077, user=3.8)]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83003, user=3.7)]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453095, user=7.8)]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B7w49, user=3.2)]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0656, light=86.6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8982,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9.1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3182, user=8.8)]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9175, user=7.48)] 청춘물로서 수작이라는 평이다. 청춘물 특유의 연출에 저항감만 없다면 재밌게 볼 수 있는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이시구로 쿄헤이]]가 한동안 대중성이 부족한 실험적인 작품을 많이 만들었는데 이 작품은 굉장히 대중적이다. 이시구로 쿄헤이의 아내 [[아이케이 유키코]]가 작화감독이고 [[Production I.G]]도 하청으로 참가해[* 본작의 제작사인 [[SIGNAL.MD]]와 같은 [[I.G Port]]의 자회사이다.] [[모리카와 사토코]], [[키세 카즈치카]], [[아라이 코이치]] 같은 실력파 애니메이터가 있어 작화도 뛰어나다. == 흥행 == == 미디어 믹스 == === 소설 === || [[파일:Ciderkotoba_novel.jpg|width=100%]] || || 일어판 || 카도카와 문고에서 2020년 4월 23일에 발매되었다. 저자는 원작 애니메이션 감독인 이시구로 쿄헤이(イシグロキョウヘイ) === 코믹스 === || [[파일:Ciderkotoba_comics.jpg|width=100%]] || || 일어판(1권) || 2020년 4월 23일 MF코믹스에서 코믹스 1권이 발매되었다. 작가는 오오노이모(おおのいも). == 기타 == * 일본 외의 다른 국가에서는 개봉을 포기하고 7월 [[넷플릭스]]에 공개되었다.[[https://old.reddit.com/r/Animedubs/comments/o82jt8/words_bubble_up_like_soda_pop_english_dub_trailer/|#]] 영어 더빙도 있다. * 제목은 극중 주인공이 지은 하이쿠[* '사이다아노/요오니코토바가/와키아가루'로 575이며 사이다가 여름 느낌을 준다.]에서 따온 것인데, 575를 지켜서 번역한 다른 하이쿠와 달리 제목으로 쓰기 길고 어감 맞추기가 어려워서인지 짧게 의미만 전달하는 식이 되었다.[* 틀에 맞추자면 '사이다처럼/말이 솟아오르네/톡톡톡하고' 어순까지 맞춘다면 '사이다처럼/말들이 톡톡 솟아/흘러넘치네' 정도가 될 것이다.] * 코로나시국이다보니 항상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여주인공을 보고 방역수칙을 잘지킨다라는 농담이 있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독점 판권 애니메이션]][[분류:일본 소설]][[분류:일본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