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직관리]][[분류:식별 번호]] 社員番號. employee identification number. [[사번]]이라 하기도 한다. 교육기관 등에서는 교원과 구분하여 직원이라 하여 [[직번]]이라 하기도 한다. [목차] == 개요 == [[학번]]이나 [[군번]]처럼 [[회사]]에서 인원관리를 위해 소속 [[사원(직위)|사원]]들에게 부여하는 번호 체계를 말한다. 정규직인지 비정규직인지, 계약직인지, [[신분]]이나 사무직인지 생산직인지 [[직군]] 등에 따라 번호 체계나 앞자리 숫자나 문자 등이 달라진다. 보통은 입사 연도가 포함되어 [[기수제]]를 반영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군번이랑 비슷하다. 또한 본인이 회사에 다니는 동안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이 되거나, [[직원]]에서 [[임원]]으로 승진하는 등 회사 내 신분이 바뀌거나 회사 차원에서 사번 체계를 갈아 엎지 않는 이상은 좀처럼 바뀔일이 없는 번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한 명의 직원이 퇴사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 그 번호를 주는 것이 아니라 궐번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알바]]에게도 사원번호를 부여하는 곳도 있다. 큰 기업의 경우 교육, 급여, 보험 등의 문제로 번호를 부여한다. 귀찮아서 그냥 1부터 시작해서 매겨가는 곳도 있다.[* 이 경우에도 앞자리 숫자나 문자 등에서 직종이나 임원이냐 직원이냐 등의 구분 기호를 두는 곳도 있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어야 사원번호를 부여하는 곳이라서 작은 [[사업장]]의 경우에는 사번이 없는 곳도 많다. 이럴 경우 [[경리]]들이 개고생하게 된다. 사원번호의 경우도 당연히 학번의 경우처럼 비밀번호가 존재한다. 회사에서 pc로 업무를 보려면 사번과 비번을 함께 넣어야 pc를 쓸수 있기 때문. == 예시 == AABBCCC AA : 입사연도 두 자리 (1979년 입사 : 79) BB : [[직군]] 및 [[직무]]를 1번부터 99번까지 매김. (예를 들어 '총무 정규직 직원'은 35) CCC : 해당 연도 입사자를 1번부터 999번까지 매김. → 7935064 같은 식이 된다. == 참고항목 == *[[주민등록번호]] *[[군번]] *[[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