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백제의 제후 및 비정통 국왕)] ||||<:><#191970> '''{{{#white 정로장군(征虜將軍) 매라왕(邁羅王) 사법명}}}''' || ||<#191970> '''{{{#white 작위}}}''' ||<(> 매라왕(邁羅王) || ||<:><#191970> '''{{{#white 직위}}}''' ||<(> 정로장군(征虜將軍) || ||<:><#191970> '''{{{#white 가문}}}''' ||<(> [[대성팔족]] 중 사씨(沙氏) || ||<:><#191970> '''{{{#white 성씨}}}''' ||<(> 사(沙) || ||<:><#191970> '''{{{#white 이름}}}''' ||<(> 법명(法名) || ||<:><#191970> '''{{{#white 생몰연도}}}''' ||<(> ? ~ ? || [목차] == 개요 == [[백제]] 왕조의 [[제후]]왕. 제24대 [[동성왕]] 때 활약하여 백제의 매라(邁羅) 지역을 분봉받았다. 백제 [[대성팔족]] 중 사씨의 일원으로 추정된다. 사법명을 가리킬 때 명(名)이라고 따로 떼어내서 지칭하기도 했기 때문에 성을 사법(沙法), 이름을 명(名)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함께 언급되는 인물 중 목례(木刕)씨는 단성인 목씨(木氏)로 축약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과연 혼자서만 복성으로 표기되어 있는지를 의심하는 의견이 있다. 게다가 성씨에 사(沙)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것으로부터 이미 [[대성팔족]]의 사씨로 추정되며 [[근구수왕]]의 이름이 구수가 아닌 수(須)로 축약표기되어 있던 개로왕의 국서를 비롯해 백제 관련 기록에서는 백제 측에서도 직접 이름을 축약표기한 사례가 많이 나타난다. 만약 성이 사법인데 이름이 명 한 글자가 아니었다면 찬수류, 해예곤, 목간나 등 3인의 이름이 3글자이므로 이와 맞추기 위해 일부러 3글자를 유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 생애 == === 남제서 기록 === 사법명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 사서 《남제서》에 등장한다.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고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인 기록밖에 없다. === 북위를 무찌르다 === 서기 [[490년]] [[북위]]로 기록된 어떤 세력이 백제를 침공하자 사법명은 동성왕의 명을 받아 [[찬수류]], [[해예곤]], [[목간나]]와 함께 이들의 군사를 대파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겼는지는 알 수 없으나, 사법명 등의 지략으로 이겼다고 전해진다. 이 공로로 [[495년]] 백제 동성왕은 사법명 등 4명에게 작위를 내렸고, 이를 허락받기 위하여 남제에 사신을 보냈다. === 제후왕에 봉해지다 === 백제는 천자국 제도를 따라 왕족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들이 내리는 걸로 해주셈!' 같은 느낌. 그리하여 사법명은 ''''정로장군 매라왕(征虜將軍 邁羅王)''''이란 장군 직위와 왕작위를 받았다. ==== 직위와 작위의 의미 ==== 정로(征虜)는 '오랑캐(노)를 정벌하다(정)'란 뜻이며 매라(邁羅)는 백제 지역명이다. 정로장군은 중국의 잡호장군 중 하나이다. == 매라의 위치 == 사법명이 동성왕에게 받은 땅 '매라(邁羅)'는 마한의 소국 중 하나인 [[만로국]]이 있던 현 [[전라북도]] [[군산시]] 일대로 추정된다. 당시 백제는 [[마한]]을 정복하면서 국력을 키웠으나 오랫동안 독립을 유지한 마한의 강소국은 제압하기 힘들었다. 이에 백제는 [[봉건제]]를 실시해 매라 지역을 분봉해주는 형식으로 한 발 물러났던 것으로 보인다. [[분류:백제의 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