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타악기)] [[분류:국악기]][[분류:타악기]] [목차] [[파일:전통국악사사물북.jpg]] == 개요 == [[국악기]] 중 하나. [[꽹과리]], [[장구(악기)|장구]], [[징]]과 함께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악기이다. == 상세 == 일반적으로 [[북(악기)|북]]으로 부르지만 판소리에 쓰는 '[[소리북]]'과 구분하기 위해 '사물북' 혹은 '풍물북'으로 부르기도 한다. 사물북은 소리북과는 다르게 통 양쪽에 가죽을 대고 끈으로 조여서 몸통과 끈 사이에 나무를 대서 팽팽하게 만들었다. 소리북은 가죽을 댄 주변에 쇠구슬 모양의 장식을 박는다. 가락면에서는 꽤 단순한 [[악기]]이며 그만큼 소리크기가 먹고 들어가야 하는 악기이다. 다른 사물은 손목을 사용하지만, 북은 칠때 팔 전체가 날개처럼 움직이면서 친다. [[사물놀이]]와 농악에서 전체 리듬을 담당하며 [[구름]]을 뜻한다. 지방에 따라 북의 판 비중이 다른데 '진도북춤'처럼 양북으로 북의 양쪽을 장구처럼 다 치는 방법도 있고, [[고창군|고창]]농악에서는 북의 변죽을 [[장구(악기)|장구]]의 '따'와 같은 박자에 친다고 표현한다. 또 일반적으로 연주하지만 설장구처럼 북춤이 있는 판도 있다. 장구와는 다르게 화려함보다는 군무로써 다른사람과 단합하는 악기이다. 사물놀이 악기 중 가장 무거우며[* 장구의 경우 허리에도 매서 고정하기 때문에 실제로 매고 치면 무거운 편은 아니다. 다만 꽹과리의 경우 작지만 손가락 하나로 지탱하기 때문에 실제 치는 사람이 느끼는 무게감은 상당하다.] 풍물의 경우 끈을 [[어깨]]에 걸치고 치기 때문에 어깨가 무진장 아프다.[* 다만 고창농악 등 북을 들고 치는 경우가 많은 경우 어깨에서 조금 더 내려와 팔뚝에 북을 맨다. 이럴 경우 북을 들고 움직이기 훨씬 자유롭지만 그에 비례해 팔도 박살난다.] 그리고 치는 높이에 [[무릎]]이 딱 걸리는 위치라 허벅지에 멍이 잘 드는 악기이다. == 관련 문서 == * [[풍물놀이]] * [[사물놀이]] * [[장구(악기)]] * [[징]] * [[꽹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