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모아 관련 문서)] ||<-2> {{{+4 '''Gagana faʻa Sāmoa'''}}} || ||<-2> {{{+1 '''사모아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 '''[include(틀:국기, 국명=사모아)][br][[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width=25]] [[미국령 사모아]]''' || || 화자 수 || '''약 51만 명'''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br]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br]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br] 태평양어족 [br] 중앙태평양어 [br] 사모아·토켈라우어 [br] 사모아어''' || || [[문자]] || [[로마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sm'''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smo'''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smo''' || ||<-2> '''주요 사용 지역''' || || [[영어]] || Samoan Language || || 사모아어 || Gagana faʻa Sāmoa || || [[마오리어]] || Reo Hāmoa || || [[하와이어]] || 'Ōlelo Samoa || || [[통가어]] || Ko e lea faka-Ha'amoa || || 타히티어 || Reo i te reo Samoa || || [[피지어]] || Vosa vaka-Samoa || || [[순다어]] || Basa Samoa || || [[인니어]] || Bahasa Samoa || || [[타갈로그어]] || Wikang Samoano || || [[세부아노어]] || Samoa nga Pinulongan || >'''Namūiki, 'o le lā'au o le poto e tātou totōina.'''[*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나무위키 언어학 프로젝트#s-3.1|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목차] == 개요 == [[폴리네시아]]에 속하는 국가 [[사모아]]와 [[미국령 사모아]]에서 주로 쓰이는 폴리네시아계 언어. [[사모아]]와 [[미국령 사모아]]의 대부분의 주민들은 [[영어]]와 함께 이 언어를 사용한다. 화자 수는 약 51만명으로, 사모아와 미국령 사모아의 인구 수를 합한 25만여명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인데 이는 사모아어를 쓰는 사람이 해외, 특히 [[뉴질랜드]]와 [[미국]](본토)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 사모아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8만여 명 거주하고 있는 만큼, 뉴질랜드에서 [[영어]], [[마오리어]] 다음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문자 == 폴리네시아의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문자가 있는 언어가 아니었으나, 19세기부터 유럽인들의 영향으로 [[로마자]]를 문자로 사용한다. 현재 쓰이고 있는 사모아어 로마자 정서법은 [[영국]]의 [[개신교]] 선교 단체인 London Missionary Society에서 개신교를 선교하기 위해 [[성경]]을 사모아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정립된 것이다. 알파벳으로는 로마자 중에서 a, e, i, o, u, f, g, l, m, n, p, s, t, v를 사용한다. 비교적 길게 발음되는 [[모음]]에 대해서 장음 기호와 함께 쓰는 ā, ē, ī, ō, ū도 있으며,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기 위해 ʻ 또는 '([[따옴표]] 기호)[* 사모아어의 표기에서 성문 파열음을 쓰는 것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은 없으며, 사모아어에 대한 [[키보드 배열]] 역시 정해진 것이 없다. ʻ(뒤집힌 콤마)는 [[하와이어]]에서 역시 같은 발음을 나타내는 ʻokina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가 하와이어 키보드 배열에 따옴표 키 대신 쓰인 것을 가져온 것으로 보이고, 현지에서는 이 발음을 쓰기 위해 따옴표 기호를 알파벳으로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로 표기한다. h, k, r는 표준어에서 외래어에 한해서 쓴다. 이 발음들은 본래 사모아어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커피를 kofe로, 4월(April)을 'Aperila와 같이 외래어를 표기하고 발음하기 위해 일부 단어에서 사용한다. 읽을 때에는 쓰여진 그대로 읽으면 된다. 다만 예외적으로 G는 /ŋ/[* [[한국어]]에서 받침 ㅇ이 있는 단어와 같다.]으로 발음하는데, 예를 들어 [[미국령 사모아]]의 수도 Pago Pago는 '파고파고'가 아니라 '팡오팡오'로 읽으며 '지구, 현세계'라는 뜻의 lalolagi는 [랄로랑이]로 읽는다. 장음 기호가 있는 모음은 같은 두 모음을 붙여서 끊지 않고 늘여서 발음하며[* 예를 들어, 공손한 인사말 중 하나인 tālofa는 '아'를 끊지 않고 \[타아알로파\]로 발음한다.], '(성문 파열음)은 목에 힘을 순간적으로 줘서 빠르게 끊어내는 듯이 읽는다.[* 족장이라는 뜻의 ali'i는 \[알리이'''히'''\] 정도로 발음한다.] 외래어를 가져올 때에는 그 언어로 발음할 때 들리는 대로 사모아어 식으로 발음을 바꾸거나 변형해서 쓴다. /d/ 발음은 사모아어에 없으므로 /t/로 받아들여 다이아몬드를 taimane라 하고, /g/ 발음은 /k/로 받아들여 [[가스]]를 kesi, [[거위]]를 kusi로 쓰고 발음한다. 그 외에 /z/ 발음은 /s/, /w/ 발음은 /v/, /b/는 /p/로 바꿔 발음한다. == 문법 == 사모아어에선 어순이 많이 존재하는데, 당장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어순만 봐도 VSO, VOS, OVS, SVO 로 네개다. 그 외에 특이한 점이라면, [[한국어]]처럼 [[존댓말]]이 존재한다.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분류:개별 언어]][[분류:사모아]][[분류:오세아니아의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