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곤충족]] [[유희왕/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DesertProtector-CRMS-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막의 수호자, 일어판명칭=砂漠の守護者(デザート・ガードナー), 영어판명칭=Desert Protector, 속성=땅, 종족=곤충족,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1=이 카드의 수비력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함정 카드의 개수 × 300 포인트 올린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곤충족 몬스터가 파괴될 경우\, 이 카드를 대신 파괴할 수 있다.)] [[심홍의 위기]]에서 등장한 곤충족 / 땅 속성 하급 효과 몬스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의 매수만큼 자신의 수비력을 강화하고, 다른 곤충족의 파괴를 대신하는 [[지속효과]]를 가졌다. 공격력 800, 수비력 1000이라는 스테이터스는 [[제왕(유희왕)|제왕가신]]과 동일하다. 물론, 이 카드가 나왔을 당시에는 딱히 생각하고 만든 수치는 아닐테고 나중에 제왕가신들을 묶는 과정에서 섞여 들어갔을 것이다. [[네오 스페이시언 플레어 스캐럽|수비력을 올리는 효과]]와 [[테레키 어택커|곤충족 몬스터를 지키는 효과]]의 2개의 효과를 갖고 있다. 수비력을 올리는 효과는 [[네오 스페이시언 플레어 스캐럽]] 및 위에 있는 제스터 로드와 동일하다. 즉, 상대 필드 위의 마법&함정카드도 이 카드의 수비력을 올리는 데 가산된다는 소리. 이론상으로 자신 필드 위에 카드가 꽉 찼다고 하면 3400이고, 상대 필드까지 합쳐서 이 카드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비력은 5800(양 선수 필드의 마법&함정카드 존 10개, 필드 마법카드 존 2개, 펜듈럼 카드 존 4개, 전부 합하면 16개가 된다.)이 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따지면 그렇게 높은 수치는 나오지 못할 것이다. 1번 효과를 활용한다고 하면, [[대수해]]나 [[왕궁의 포고령]] 등 지속 마법&함정 카드를 이용해서 수비력을 높이고 버티는 전술을 쓰게 된다. [[고철의 허수아비]]를 병용한다면, 수비력이 올라가는 것 뿐만 아니라,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 막아서, 2중의 방위체제를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뒤쪽의 효과는 곤충족판 [[테레키 어택커]] 혹은 [[여섯 무사]]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테레키 어태커의 라이프 코스트가 없으니 더 나은 상황이다. [[내몸을 방패로|내몸빵]]과 비교하면, 전투파괴도 막을 수 있는 등, 더 방어 범위가 넓으니까 우수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카드로 대신 몸빵을 시키면서 [[대수해]]의 서치 효과와 연계를 짓는 콤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대저의 아라크네]]와의 상성도 좋다. 대저의 아라크네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장비카드로 만들게 되면 이 카드의 수비력이 상승하고, 이 카드의 효과로 대저의 아라크네를 효과파괴로부터 지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카드의 최대 약점은, 전체 제거나 바운스, 제외 등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차원 유폐]], [[강제 탈출 장치]] 앞에서는 무력하다. 외형은 [[웜(파충류족)|웜 밀리디스]]와 닮은 편. 모티브로 사용된 생명체가 같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어판 카드명에는 '[[가드너]]'가 포함되지만, 한글판, 영어판 명칭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가드너'의 카드군화를 막는 주범 중 하나.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심홍의 위기]] || CRMS-KR03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JP03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3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스터 로드, version=18)] == 관련 카드 == === [[제스터 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