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 '''사마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서진의 계보도)] ---- }}} || 司馬泰 (? ~ 299)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나라, 서진의 인물이며 자는 자서(子舒)로 동해효헌왕 [[사마월]], 신채무애왕 [[사마등]], 고밀왕 [[사마략]], 남양왕 [[사마모]]의 아버지. 사례 하내군 온현 사람. == 생애 == 위나라에서 양정후에 봉했고 양적령을 지내다가 부풍태수로 옮겼으며, 265년에 위나라가 멸망하고 [[사마염]]이 선양을 받아 진나라를 건국하자 황족들에게 봉작을 내리고 조정의 백관들을 임명하면서 사마태를 농서왕에 봉하고 읍 3천 2백호를 받고 유격장군에 임명되었다. 지방으로 나가 연주자사에 임명되고 응양장군이 더해졌으며, 옮겨서 사지절, 도독영주이주제군사, 안서장군, 익주자사에 임명되었다가 병으로 부임하지 않았으며, 옮겨서 안북장군에 임명되고 형인 [[사마권]] 대신 독업성수사에 임명되었다가 옮겨서 안서장군, 도독관중제군사에 임명되었다. [[이밀(삼국지)|이밀]]을 깊이 존경해 벗으로 사귀었다고 하며, 280년에 산기상시, 전장군에 임명되고 업의 성문교위에 임명되었지만 병으로 관직을 떠났고, 후에 사마황을 대신해 상서좌복야에 임명되고 나가서 진서장군이 되었다. 서융교위, 가절에 임명되고 사마준 대신 도독관중군사가 되었다가 병으로 낙양으로 돌아갔으며, 290년에 [[석감#s-1]] 대신 사공이 되었고 태자태보에 임명되었다. 291년에 [[양준(서진)|양준]]이 주살되자 시중에 임명되고 보병 2천 1백, 기병 5백을 받았지만 사마태는 이를 거부했으며, 1천의 군사와 기병 1백만 받았다. 초왕 [[사마위#s-1]]가 낙양으로 들어오자 병사를 통솔해 제지하려 했다가 제주 정수가 함부로 움직이면 안된다고 진언해 그 말을 따랐다. 사마위가 주살되자 녹상서사에 임명되었다가 태위로 옮겼으며, 수상서령이 되었고 고밀왕에 임명되어 읍 1만 호를 받았고 299년에 사망해 태부에 추증되었다. == 가족관계 == 조부: [[사마방]] 아버지: [[사마규]] 장남: [[사마월]] 차남: [[사마모]] == 창작물에서 == [[토탈 워: 삼국]]의 DLC 캠페인 291년 팔왕의 난에서 마이너 세력인 사마태 세력의 지도자로 등장하며, 291년 시점의 나이는 68세. 유형은 선봉장, 칭호는 자사, 특성은 순종적, 거만함, 너그러움, 능력치는 최대 200을 기준으로 전문성 41, 결의 58, 책략 45, 본능 88, 권위 68. [[분류:조위의 인물]][[분류:서진의 황족]][[분류:299년 사망]][[분류:자오쭤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