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부 산하기관)] [include(틀:기금)]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적연금)] ||<-2> {{{#ffffff '''{{{+2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br]私立學校敎職員年金公團[br]'''T'''eachers '''P'''ension}}} || ||<-2> [[파일: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CI.svg|width=80%]] || || {{{#ffffff '''정식 명칭'''}}}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 || {{{#ffffff '''한자 명칭'''}}} ||私立學校敎職員年金公團 || || {{{#ffffff '''영문 명칭'''}}} ||'''T'''eachers '''P'''ension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1974년]] [[1월 11일]][*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으로의 사명 변경일은 [[2010년]] [[1월 1일]]이다.] || || {{{#ffffff '''설립목적'''}}} ||사립학교 교직원의 퇴직·사망 및 직무상의 질병·부상·장애에 대하여 적절한 급여제도를 확립함으로써 교직원 및 그 유족의 경제적 생활안정과 복리향상에 기여[br][[http://www.law.go.kr/법령/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제1조]] || || {{{#ffffff '''업종명'''}}} ||연금업 || || {{{#ffffff '''전신'''}}} ||'''사립학교교원연금관리공단'''[br]([[1974년]] [[1월 11일]] ~ [[2000년]] [[1월 12일]])[br]'''사립학교교직원연금관리공단'''[br]([[2000년]] [[1월 12일]] ~ [[2009년]] [[12월 31일]])[br]'''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br]([[2010년]] [[1월 1일]] ~ [[현재]])[br] || || {{{#ffffff '''대표자'''}}} ||[[송하중]] || || {{{#ffffff '''주무기관'''}}}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 || {{{#ffffff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 || {{{#ffffff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ffffff '''직원 수'''}}} ||239명^^(2021년 12월 말 기준)^^ || || {{{#ffffff '''총원가'''}}} ||4조 2,313억 3,731만 2,522원^^(2021년 기준)^^ || || {{{#ffffff '''수익'''}}} ||-4조 4338억 3573만 9105원^^(2021년 기준)^^ || || {{{#ffffff '''순원가'''}}} ||-2,024억 9,842만 6,583원^^(2021년 기준)^^ || || {{{#ffffff '''자산총액'''}}} ||26조 6,769억 919만 5,269원^^(2021년 기준)^^ || || {{{#ffffff '''부채총액'''}}} ||6,336억 977만 4,452원^^(2021년 기준)^^ || || {{{#ffffff '''자회사'''}}} ||[[티피에스]] || || {{{#ffffff '''미션'''}}} ||'''안정적 연금·복지서비스로 교직원 행복실현에 앞장섭니다''' || || {{{#ffffff '''비전'''}}} ||'''미래 행복을 책임지는 교직원의 동반자''' || ||<|2> {{{#ffffff '''소재지'''}}} ||'''본사'''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로(나주)|문화로]] 245 ([[빛가람동]]) || ||{{{#!folding 지역센터 소재지 보기 '''서울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7층 ([[여의도동]], [[전경련회관]]) [br]'''대전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한밭대로]] 809, 14층 ([[둔산동(대전)|둔산동]], 사학연금회관)[br]'''부산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일로(부산)|범일로]] 181, 7층 ([[범천동]], 사학연금회관빌딩)}}} || ||<-2> {{{#ffffff '''관련 웹사이트'''}}} || ||<-2> [[http://www.tp.or.kr| '''{{{#1e388d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 ||<-2> {{{#ffffff '''공식 SNS'''}}} || ||<-2> [[https://blog.naver.com/tp_hongbo|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1e388d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식 블로그}}}''']][br][[https://www.youtube.com/channel/UCCu0BbLEWjCKu_xMARGAsG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1e388d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식 유튜브}}}''']][br][[https://www.instagram.com/teachers_pensio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1e388d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식 인스타그램}}}''']][br][[https://www.facebook.com/TPTALK|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1e388d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식 페이스북}}}''']] || ||<-2> {{{#ffffff '''공식 캐릭터'''}}} || ||<-2> [[파일: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사학이와 드림이.svg|width=150]][br]마스코트 '사학이', '드림이' || ||<-2> {{{#ffffff '''관련 전화번호'''}}} || ||<-2> 고객센터: {{{#1e388d '''1588-4110'''}}}[br]본사: {{{#1e388d '''061-338-0000'''}}} || ||<-2> {{{#!folding 지역센터 전화번호 보기 서울센터: {{{#1e388d '''02-769-4401'''}}}[br]대전센터: {{{#1e388d '''042-538-2371'''}}}[br]부산센터: {{{#1e388d '''051-637-6013'''}}}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_HQ.png|width=100%]]}}}|| || {{{#white '''▲ 전라남도 나주시 문화로 245 (빛가람동)에 위치한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본사 사옥'''}}}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MNbXtwKHg)]}}}|| || {{{#white '''▲ 사학연금공단 공식 홍보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BykLud0xI)]}}}|| || {{{#white '''▲ 사학연금공단 공식 PR'''}}} ||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제4조(설립)'''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1. 부담금 징수 2. 각종 급여의 결정과 지급 3. 자산의 운용 4. 교직원 복지사업의 수행 5. 그 밖에 연금에 관한 업무 '''제5조(법인격)''' ① 공단은 법인으로 한다. '''제30조의2(「민법」의 준용)''' 공단에 관하여 이 법에서 정한 것 외에는 「민법」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사학연금은 연금재정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사학연금공단 회사소개말 >'''내일의 행복, 내일의 연금''' >---- >사학연금공단의 [[슬로건]] [[사립학교]]에 재직중인 교직원의 [[연금]]을 관장하는,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국립학교법인[* [[서울대학교]]와 그 부설학교([[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중]], [[서울사대부여중]], [[서울사대부고]]), [[인천대학교]]][* 국립대학법인 산하 초중고등학교는 국립학교로 분류되나, 인사는 사립학교에 준해 관리된다.]과 [[사학재단]] [[유치원]], [[고등기술학교]], 각종 사립학교 교직원 및 [[고등공민학교]] 교직원, 기타 연구기관의 교수 연구위원, 특별법법인[* [[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및 부설학교([[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교직원도 사학연금법을 적용받는다. == 상세 == [[1974년]] [[1월 11일]] '사립학교교원연금법'[* 현행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의 구 제명]에 근거하여 '사립학교교원연금관리공단'이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0년]]에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연혁 == * [[1973년]] [[12월 20일]]: 사립학교교원연금법 제정 및 공포 * '''[[1974년]] [[1월 11일]]: 사립학교교원연금관리공단 설립''' * [[1975년]] [[1월 1일]]: 연금업무 개시 * [[1976년]] [[4월 5일]]: 대여사업 시행 * [[1978년]] [[1월 1일]]: 사무직원 연금법 적용 * [[1981년]] [[3월 20일]]: 국가위탁학자금대여사업 시행 * [[1991년]] [[10월 1일]]: 퇴직수당제도 신설 * [[2000년]] [[1월 1일]]: 법제명 변경(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 [[2004년]] [[12월 31일]]: 사학연금 임직원 윤리경영 선포 * [[2006년]] [[1월 1일]]: 군소급 사용자부담금의 국가부담 * [[2009년]] [[8월 7일]]: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시행 * '''[[2010년]] [[1월 1일]]: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으로 상호명 변경''' * [[2011년]] [[12월 28일]]: TOP+2021 신 중장기종합발전계획 선포 * '''[[2014년]] [[12월 15일]]: 본사를 [[나주혁신도시]]로 이전''' * [[2016년]] [[1월 1일]]: 부담금 및 급여산정기준 변경 등 연금법 개정법률 시행 * [[2016년]] [[3월 1일]]: 국립대병원 사학연금법 적용 * [[2017년]] [[5월 9일]]: CS 슬로건 변경 "내일의 행복, 내일의 연금" * [[2017년]] [[12월 6일]]: 비전 등 중장기 경영전략 재수립(미래 행복을 책임지는 교직원의 동반자) * [[2017년]] [[12월 6일]]: ARS 서비스 우수기관 선정(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2017년]] [[12월 15일]]: 2017년도 ARS서비스 개선 최우수기관 표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18년]] [[4월 9일]]: 생활자금대여 상환기간조정제도 시행 * [[2018년]] [[6월 7일]]: [[사학연금 서울회관]] 재건축 건립을 위한 사업협약서 체결 * [[2018년]] [[7월 27일]]: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취득 * [[2018년]] [[11월 1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전략 선포식 * [[2018년]] [[11월 22일]]: 2018년도 교육기부 우수기관 신규 인증제 선정(교육부) * [[2019년]] [[1월 29일]]: TP FOCUS 2019 단기 경영전략서 최초 발간 * [[2019년]] [[7월 1일]]: 행복나눔 대여 시행 * [[2019년]] [[10월 1일]]: 호남지부 이전(광주) * [[2019년]] [[12월 1일]]: 여성가족부 주관[가족친화 인증기관] 4회 연속 선정 * [[2019년]] [[12월 3일]]: 보건복지부 및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주관 [2019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선정,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일부개정(시행 : 2019.12.10) * [[2020년]] [[1월 1일]]: 사학연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공표,시행 * [[2020년]] [[5월 12일]]: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일부 개정(급여청구 절차 간소화, 형벌 일부 준용 규정 삭제) * [[2020년]] [[7월 16일]]: 교육부 주관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선정 * [[2020년]] [[8월 20일]]: 모바일 전자고지 활성화를 위한 네이버와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20년]] [[10월 8일]]: 여의도 사학연금 서울회관 재건축사업 기공식 * [[2020년]] [[11월 14일]]: 2020 제11회 광주전남 사회공헌대축전 대상 수상 * [[2020년]] [[11월 25일]]: 기획재정부 주관 2020년 공공기관 사회적가치 확산포럼 우수사례 선정 * [[2020년]] [[11월 30일]]: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주관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 2년 연속 선정 * [[2020년]] [[12월 1일]]: 원-스톱 대여 시행(인터넷 대여 신청 시스템 구축) * [[2020년]] [[12월 2일]]: 지역 교육환경 발전 감사장 수장 * [[2020년]] [[12월 4일]]: 코로나 위기극복 고용행정 공로 감사패 수상 * [[2020년]] [[12월 23일]]: 퇴직급여 청구 등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 개시 * [[2020년]] [[12월 31일]]: 해외주식형 ETF 직접운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 * [[2021년]] [[1월 1일]]: 2021년도 연금액 0.5% 인상 * [[2021년]] [[1월 26일]]: 국민권인위원회 주관 2020년도 부패방지시책평가 2년 연속 우수기관 선정 * [[2021년]] [[2월 23일]]: 분할연금 업무처리기준 일부개정(혼인기간 산정기준 변경) * [[2021년]] [[4월 20일]]: 행정안전부 주관 2020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 2년 연속 최고 등급 달성 * [[2021년]] [[7월 1일]]: 행복나눔대여 대상범위 확대(4종 → 10종) * [[2021년]] [[8월 31일]]: ESG경영 도입·실행 * [[2021년]] [[11월 11일]]: 직무상재해 전문조사관 제도 도입 * [[2021년]] [[12월 1일]]: 수급자 평생안시통장 금융기관 확대(2기관 → 4기관) * [[2021년]] [[12월 3일]]: 감사원 주관 2021년 자체감사활동 심사평가 발전기관상 수상 * [[2021년]] [[12월 3일]]: 감사원 주관 2021년 자체감사사항 콘테스트 사전컨설팅 분야 우수상 수상 * [[2021년]] [[12월 6일]]: 나주교육지원청 주관 지역 교육환경 발전에 대한 감사장 수상 * [[2021년]] [[12월 9일]]: 연금제도 점자책자 발간 * [[2021년]] [[12월 13일]]: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주관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 3년 연속 인증 * [[2021년]] [[12월 16일]]: 연금데이터 활용과 공동연구 협력 통계청 업무협약 체결 * [[2021년]] [[12월 21일]]: 지역인재 양성 지원을 위한 청소년바로서기지원센터 업무협약 * [[2021년]] [[12월 28일]]: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주관 지역 교육환경 발전 공로에 대한 감사장 수상 == 조직도 == [[파일:사학연금조직도2020.jpg|width=1153]] == 역대 이사장 == [include(틀: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이사장)] ---- * 1·2대 조성옥 (1974~1976) * 3대 오주환 (1976~1979) * 4대 장인숙 (1980~1982) * 5대 박일재 (1982~1984) * 6대 심창유 (1984~1987) * 7대 김찬재 (1988~1990) * 8대 김한주 (1991~1993) * 9대 김득수 (1993~1996) * 10대 이보령 (1996~1998) * 11대 금승호 (1998~2001) * 12대 김상권 (2001~2003) * 13대 박판영 (2003~2006) * 14대 [[서범석(1951)|서범석]] (2006~2008) * 15대 주성도 (2008~2011) * 16대 [[변창률]] (2011~2014) * 17대 [[김화진(공무원)|김화진]] (2014~2017) * 18대 [[이중흔]] (2017~2020) * 19대 [[주명현]] (2020~2023) * 20대 [[송하중]] (2023~) == 사업 == * 부담금의 징수 * 제급여의 결정과 지급 * 교직원의 후생·복지증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 기금증식을 위한 예탁·신탁·유가증권 투자 및 안전성이 보장된 수익사업과 소유부동산을 이용하여 직접 운영하는 사업 * 교직원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사업으로써 국가가 공단에 위탁하는 사업 * 기타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관리에 부수되는 사업 == [[사학연금]] == 자세한 건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 노동조합 현황 ==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지부: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연맹]] 소속. [[분류:대한민국 교육부]][[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전라남도의 기업]][[분류:특수법인]][[분류:연금]][[분류:사립학교]][[분류: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분류:1974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