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의 역사)] [include(틀:대영제국의 식민지)] ||<#c8102e><-3> '''{{{#fff {{{+1 사라왁 왕령 식민지}}}[br]Crown Colony of Sarawak}}}''' || ||<-3> [[파일:2560px-Flag_of_Sarawak_(1946–1963).svg.png|width=50%]] || ||<#c8102e><-3> {{{#ffffff '''국기'''}}}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laysiaSarawak.png|width=50%]] || ||<#c8102e><-3> {{{#ffffff '''1946 ~ 1963'''}}} || ||<-2><#012169> '''{{{#fff 성립 이전}}}''' ||<#012169> '''[[멸망|{{{#fff 멸망 이후}}}]]''' || ||<-2><#af1a28> '''[[사라왁 왕국|{{{#ffffff 사라왁 왕국}}}]]''' ||<-2><#010066> '''[[말레이시아|{{{#gold 말레이시아}}}]]'''[br]{{{-1 [[사라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f7e017; font-size: .8em" {{{#white '''사라왁'''}}}}}}]]}}} || ||<#012169> {{{#ffffff '''위치'''}}} ||<-2> [[보르네오 섬|보르네오]] || ||<#012169> {{{#ffffff '''수도'''}}} ||<-2> [[쿠칭]] || ||<#012169> {{{#ffffff '''정치체제'''}}} ||<-2> [[입헌군주제]], [[식민지]] || ||<#012169> {{{#ffffff '''국가원수'''}}} ||<-2> [[영국 국왕|영국 군주]] || ||<#012169> {{{#ffffff '''언어'''}}} ||<-2> [[영어]], [[말레이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르네오]], 지금의 [[동말레이시아]] 지역의 [[사라왁]] 위치했던 [[영국]]령 [[식민지]]. == 역사 == 원래 브루나이의 영역이었다가 [[제임스 브룩]]이 왕이던 [[사라왁 왕국]]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일본 제국|일제]]에 의해 점령 당했다가 전후 [[사라왁 왕국]]의 마지막 국왕 [[찰스 바이너 브룩]]이 영국에 사라왁을 할양하기로 하였고[* 당시 사라왁은 [[일본 제국]]의 점령을 거치며 스스로 복구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인프라가 파괴된 상태였고 찰스 바이너 브룩은 자신의 뒤를 이을 마땅한 후계자가 없다고 생각했다.] 이후 의회에서도 할양법안이 통과하여 사라왁은 영국의 왕실 식민지가 되었다.[* 이때 사라왁의 할양을 반대하던 약300명의 사라왁의 [[말레이인]] 공무원들이 할양에 항의하며 공무원을 그만두었다.] 사라왁이 할양된 이후 사라왁의 [[말레이인]]들 사이에서는 [[내셔널리즘|민족주의]]열풍이 불었고 그들은 [[쿠칭]]을 중심으로 영국의 지배에 대해 저항하기 시작했다.[* [[시부]]에서는 [[말레이 청년 협회]]가 조직되었고 [[쿠칭]]에서는 [[사라왁 말레이 민족 협회]]가 조직되었다.] 하지만 1949년에는 말레이인 민족주의자 [[로슬리 도비]]에 의해 당시 사라왁 총독이었던 [[던컨 스튜어트]]가 사망한 이후 영국은 저항을 강하게 진압하였고 결국 1951년 영국과 사라왁 민족주의자들 사이에 협상이 타결되면서 영국의 지배에 대한 저항운동은 막을 내렸다. 이후 1963년 [[말레이시아 협정]]을 통해 [[사바(말레이시아)|사바]], [[싱가포르]]와 함께 [[말라야 연방]]에 병합되어 [[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가 되었다. == 경제 == 사라왁의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했고 경제에 대한 정부 지출과 상품의 수출입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인구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비와 투자는 규모가 작았으며 사라왁의 민간 및 상업 경제는 대부분 중국인들이 장악하고있었다. 연간 사라왁의 예산 중 자본 예산은 사라왁의 장기 개발에 사용되었다. 1947년부터 1962년까지 총 정부 수입은 연간 1,200만 달러에서 7,800만 달러로, 총 지출은 연간 1,000만 달러에서 8,200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정부예산이 적자를 기록한 해는 그리 많지 않았다.[* 1949년, 1958년, 1962년에 적자를 기록했다.]하지만 정부예산과 별개로 사라왁의 농업은 농민들의 교육 부족, 소통 부족, 고무 이외의 작물 다양화 실패로 인해 식민지 기간 동안 저조한 발전을 이루었다. 1946년 영국 왕실 식민지가 되면서 공공 사업에대한 지출이 전후 재건과 정부 재정 구조 조정을 위한 즉각적인 우선 순위가 되어서 1950년까지 공공사업에 대한 지출이 주요 지출이었다.1951년 정부는 예산할당을 지방 당국, 토착 문제, 국방 및 내부 안보에 대해 중점을 두기 시작하였으며 1956년부터는 교육비가 대폭 증가하여 1957년에는 전체예산의 15.5%를 차지하였다.[* 식민시대 말까지 교육비는 예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방위비의 경우에는 영국이 사라왁의 방위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었기 때문에 규모가 크지 않았다. 사라왁의 주요 수입품목은 쌀[* 사라왁에서도 쌀이 재배되긴했지만 인구에 비해 충분하지 않았다.], 가솔린, 등유, 가스, 연료유였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고무[* 1950년대 초반 [[6.25 전쟁]]의 영향으로 고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정부 수입이 어느정도 증가하기도 하였다.], 고추[* 1956년까지 사라왁은 세계 고추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 사고 가루, 젤루통, 제재목, 코프라 종자 및 석유였다. 전반적으로 식민지 시대의 사라왁은 [[사라왁 왕국]]시절과 비교할 때 많은 부문에서 크게 발전했으나 [[말라야 연방]]이나 [[싱가포르 식민지|싱가포르]]보다는 여전히 뒤떨어져 있었다.[* 현재는 그나마 발전했지만 이것도 서말레이시아 동북 주나 사바에 비하면 발전한거지 쿠알라룸푸르 및 수도권,말라카,조호르,페낭,파항에 바하면 낙후되어있다.] == 교육 == 1948년 농촌의 성인 문해력을 높이고 원주민의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농촌개선학교가 개교하였으나 교육에 대한 원주민의 무관심으로 인해 1957년 폐지되었다. 하지만 학생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고 농촌개선학교가 폐지된 1957년 당시에도 79,407명의 학생이 있었으며 전국에는 70개의 초등학교가 있었다. == 의료 == 초기에는 의료인력이 부족하여 [[말라야 연방]]에서 데려오는 등 열악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후 사라왁 의과대학이 신설되고(1947),말라리아 방제사업(1953)과 결핵방제사업(1960) 등 다양한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의료 등록 조례(1948), 치과의사 등록 조례(1948), 위험 약물 조례(1952), 공중 보건 조례(1963)와 같은 법률이 통과되면서 영국의 통치 후반에는 초반에 비해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 문화 == 1954년 [[BBC]]의 기술 지원으로 라디오 사라왁[* 1963년 [[말레이시아]]가 설립되면서 라디오 말레이시아 사라왁으로 개명되었다.]이 설립되었다 . 라디오 사라왁은 말레이어, 이반어, 중국어, 영어를 사용하였다. 1958년에는 [[콜롬보 계획]]에 따라 학교 방송국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식민지 정부는 영국 교육과 토착 문화가 새로운 세대의 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함에따라 1958년 보르네오 문학국(Borneo Literature Bureau)이 설립되어 지역 문학을 육성하고 장려하는 동시에 정부가 문서, 특히 사라왁 토착민에게 배포될 기술 및 교육용 문서의 공개를 지원했다. [[쿠칭]]의 예술가들은 풍경과 자연과 같은 부드러운 주제와 사회 복지를 그림 주제로 선택하고 닭 싸움과 전통 무용과 같은 토착 특성을 그림 대상으로 삼았다. == 역대 총독 == 1.[[찰스 아덴 클라크]](1946.10.29~1949.7.26) 2.[[던컨 스튜어트]](1949.11.14~1949.12.10)[* 1949년 12월 3일 [[시부]]를 방문 하던 중 [[로슬리 도비]]에게 피습당한 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12월 10일에 사망했다.] 3.[[앤서니 아벨]](1950.4.4~1959.11.15) 4.[[알렉산더 와델]](1960.2.23~1963.9.15) [[분류:말레이시아의 역사]][[분류:영국의 식민지]][[분류:영국-말레이시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