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史大奈'''[* 성명을 사대나라 지칭하기도 한다.] (?~638)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세]] [[중국]] [[수말당초]]의 [[무장|번장]]. [[투르크]]계로써 [[성씨|본성]]은 [[돌궐]]의 [[황족]] 아사나씨(阿史那), 즉 아사나대내/아사나대나(阿史史大奈). == 행적 == 본래 [[서돌궐]]의 테긴(특근/特勤)으로써 [[처라가한]]이 [[수나라]]에 입경하자, [[수 양제]]를 섬겼다. [[고구려]] 정벌([[고구려-수 전쟁]])에서 공로를 쌓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禄大夫)가 되었다. 후에 그 부를 나누어 누번(楼煩)으로 하였다. 617년 [[당 고조]]가 [[타이위안|태원]](太原)에서 흥하자([[태원 기의]]), 그 무리를 제공하여 휘하로 예속하였으며, 수의 장수 상현화(桑顯和)와 음마천(飲馬泉)에서 싸워 여러 군이 겁을 먹었는데, 사대나는 [[경기병]] 수백으로 상현화의 배후를 쳐서 격파하니 군울 드디어 떨쳤다. (그 전공으로) [[광록훈|광록대부]](光禄大夫)를 수여받았다. [[서안시|장안]]을 평정하는데 종군하여, 공이 많아 상으로 비단 5천 필을 [[사(성씨)|사(史)]] [[성씨]]를 [[사성정책|하사하였다.]] [[당나라]] 건국 후 진왕([[당 태종]] 이세민)이 [[설거]], [[왕세충]], [[두건덕]], [[유흑달]]을 [[토벌|토평]]하는데 종군하여 공이 뛰어나, 전후 [[시녀]] 셋, 염색한 채단 만단을 하사받아 축적하였다. [[정관]](貞觀)[* 627~649년.] 초, [[대장군|우무위대장군]](右武衛大將軍), 검교풍주[[도독]](檢校豊州都督)으로 누차 승진하고, 두국공(竇國公)으로 봉해졌으며, [[식읍]] 3백 호에 봉해졌다. 사망하니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으로 추증되었다. 아들은 사인표(史仁表)이다. == 출전 == * 《[[신당서]]》 권110 열전 제35 사대내전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638년 사망]][[분류:당나라의 장수]][[분류:튀르크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