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트레이딩 카드 게임]] 관련 용어로 [[덱]]에서 필요한 카드를 적시적소에 뽑아내는 걸 의미한다. 반대 상황은 [[패 말림]]이라고 한다. == 상세 == 사기 드로란 근본적으로 자기가 할 수 있는 최고의 행동을 하게 해 주는 카드가 손에 잡히는 것이다. 시작할 때의 손에는 첫 턴에 빠르게 꺼낼 수 있는 [[위니]]와 같은 카드가 잡히는 건 기본이고, 상대 위니가 쌓이면 광역 제거기, 적에게 고렙 유닛이 있으면 고렙 유닛 견제 카드 등이 나오는 식으로 카드가 뽑힌다. 아무리 덱 구성에서 철저하게 계획을 세워도 결국 손에 들어오는 카드의 구성에는 운이 관여하는 게임 특성상 상대가 사기 드로로 필요한 카드를 팍팍 뽑아낸다면 이길 수가 없다. 게임하다 보면 내 플랜에 맞서 상대가 적합한 카운터 카드를 팍팍 뽑아 어처구니 없이 패배하는 경우도 체감상 자주 나오며, 게임의 후반부에서 손을 다 털어버린 이후에 카드를 한 장씩 뽑다가 상황을 타개할 강력한 카드를 손에 넣어 게임을 끝내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도 적시적소에 뽑은 단 한 장의 카드로 게임을 크게 유리하게 끌고 오거나, 아예 져가던 게임을 뒤집어버리는 경우는 TCG에서는 자주 나온다. 허나 반대로 생각해보면, 적시적소에 뽑은 카드 한 장으로 게임을 끝낸다는 것은 그 뽑은 카드 한 장으로 게임을 끝낼 수 있도록 상대를 몰아붙였거나 그 카드를 뽑기 전까지 상대의 공세를 버텨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카드를 뽑는 것 자체는 운의 영역이기는 해도, 사기 드로가 "적시적소"에 필요한 카드가 뽑히는 상황인 것을 감안한다면, 게임을 유리하게 운영해서 덱에 넣어둔 카드가 사기 드로가 될 경우의 수를 최대한 늘리고 그 한 장을 경계하여 상대가 과감하게 행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실력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권에서는 탑덱(Top Deck)이라고 하며, 영어권의 영향력이 강한 [[매직 더 개더링]] 플레이어층에서도 이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 여담 == [[유희왕]]의 경우 주인공들이 이것에 능하기 때문에 유희왕 드로, [[데스티니 드로우]]로 불리기도 한다. 현실에선 키카드를 제시에 뽑기 위해 덱에 여러장 넣는건 기본이지만 유희왕은 [[하이랜더|그런게 없어도]] 단 한 장의 카드가 아니면 해결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서 기다렸다는 듯이 해당 카드를 잘도 뽑는다. [[유희왕 태그 포스|태그 포스]]와 [[유희왕 듀얼 링크스|듀얼 링크스]]에선 아예 이 데스티니 드로가 시스템상에 구현이 되어있다. 이 기술을 [[하스스톤]]에서는 '''갓드로'''라고 하며, 아예 사기 드로로 게임의 성패가 결정되는 상황을 비꼬는 의미로 (UI상 오른쪽에 위치한 덱에서 카드를 뽑아 갓 뽑은 카드가 손의 제일 오른쪽에 있는 데에서 유래하여) '''[[오른쪽]] [[메타(게임 용어)|메타]]'''라고 칭하기도 한다. [[파일:/img/cmu_yu02/562/561132_1.jpg]] 위의 짤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GX의 주인공 [[유우키 쥬다이]]의 라이벌들 중 하나인 [[마루후지 료]]가 본인의 차례가 되어 드로우하는 평범한 장면이...었어야 하는데 작화 오류로 저 장면만 [[밑장빼기]]를 하는 것처럼 그려져서 개그 소재가 됐다. 심지어 이 드로우로 뽑은 카드는 '''발동 시 덱에서 카드 두장을 추가로 뽑을 수 있게 하는 마법카드 [[욕망의 항아리]]'''였다...~~작화 오류를 가장한 리얼 밑장빼기~~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