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ite '''《사계절의 사나이》의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
<-5> {{{#e5d85c ''' 역대 [[BAFTA|{{{#e5d85c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BAFTA Trophy.png|width=60]] || ||<#0c0000><-5> {{{#e5d85c '''작품상'''}}} || || '''제20회[br](1967년)''' || {{{+1 → }}} || '''제21회[br](1968년)''' || {{{+1 → }}} || '''제22회[br](1969년)''' || ||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 {{{+1 → }}} || '''사계절의 사나이''' || {{{+1 → }}} || [[졸업(영화)|졸업]] || ||<#0c0000><-5> {{{#e5d85c '''영국 작품상'''}}} || || '''제20회[br](1967년)''' || {{{+1 → }}} || '''제21회[br](1968년)''' || {{{+1 → }}} || '''제22회[br](1969년)''' || || 추운 곳에서 온 스파이 || {{{+1 → }}} || '''사계절의 사나이''' || {{{+1 → }}} || - || ||<#0c0000><-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e5d85c 골든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골든글로브 시상식/영화 작품상|{{{#e5d85c '''영화 작품상 - 드라마'''}}}]] || || '''제23회[br](1966년) ''' || {{{+1 → }}} || '''제24회[br](1967년) ''' || {{{+1 → }}} || '''제25회[br](1968년) ''' || || [[닥터 지바고(영화)|닥터 지바고]] || {{{+1 → }}} || '''사계절의 사나이''' || {{{+1 → }}} || [[밤의 열기 속으로]] || ||<-5> || ---- }}} || ||<-2>
{{{#000000,#dddddd '''{{{+1 사계절의 사나이}}}''' (1966)[br]A Man for All Season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사계절의 사나이.jpg|width=100%]]}}} || || '''장르''' ||[[사극]], [[드라마]] || || '''감독''' ||[[프레드 진네만]] || || '''각본''' ||로버트 볼트 || || '''원작''' ||로버트 볼트 - 희곡 ''A Man for All Seasons'' (1960) || || '''제작''' ||[[프레드 진네만]] || || '''주연''' ||[[폴 스코필드]][br]웬디 힐러[br]레오 맥켄[br][[오슨 웰스]][br][[로버트 쇼]][br]수잔나 요크 || || '''촬영''' ||테드 무어 || || '''편집''' ||랄프 켐플렌 || || '''음악''' ||조르쥬 들르뤼 || || '''제작사''' ||하이랜드 필름 || || '''배급사''' ||[[컬럼비아 픽처스]]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66년 12월 12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1967년 3월 || || '''상영 시간''' ||120분 || || '''제작비''' ||'''2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2,840만 달러'''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상영 등급]]''' ||[[파일:G등급 로고.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6년]] 개봉한 [[영국 영화|영국]]의 [[사극|역사 영화]].[* 정작 영국에서는 1년 뒤인 1967년에 개봉했다.] 로버트 볼트의 [[토니상]] 연극 작품상을 수상한 동명의 희곡을 원작으로 하며, 원작자 본인이 직접 [[각색]]을 맡았다. [[헨리 8세]] 시대의 [[영국]]을 배경으로, 당시의 왕국 제상이었던 [[토머스 모어]]의 이야기를 다루는 [[전기물#s-1|전기 영화]]이다. [[아카데미 작품상]]과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아카데미 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아카데미 각색상|각색상]], [[아카데미 촬영상|컬러 촬영상]], [[아카데미 의상상|컬러 의상상]]을 수상했고, [[아카데미 남우조연상|남우조연상]]과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에도 후보로 올랐다. 그 외에도 [[BAFTA|영국 아카데미상]]과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글로브상]] 등 여러 시상식에서도 작품상을 비롯해 많은 상을 받았다. == 예고편 == [youtube(HM7jj9t2CQ8)] == 줄거리 == >영국 교회가 [[가톨릭|로마 교회]]의 지배를 받던 시절, [[토머스 모어]]([[폴 스코필드]] 분)는 헨리 8세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는 조력자이며 천주교에 대한 신앙심 또한 두터운 사람이다. 어느 날 헨리 8세가 [[아라곤의 카탈리나|이혼]]을 원하자, 모어는 왕의 이혼과 [[앤 불린|재혼]]을 승인하지 않는다. 그리고 [[헨리 8세]]([[로버트 쇼]] 분)가 [[성공회|스스로를 영국 천주교회의 수장으로 임명]]하려 하지만 모어는 이 또한 인정하지 않는다. 결국 모어는 리처드 리치의 모함을 받아 [[웨일스]]의 재판장에 서게 된다. 그곳에서 모어는 증인으로 소환되어 위증한 리처드 리치에게 "영혼을 파는 자는 세상을 다 얻어도 덧없는데, 고작 웨일스 법무장관이라니"라며 "당신들이 내 피를 보려는 건 왕의 칭호 때문이 아니라 결혼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이요"라며 자신의 기독교와 도덕에 대한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끝내 [[사형|형장의 이슬]]로 사라져간다. > >"토마스 모어의 머리는 한 달간 '반역자의 문'에 걸려있다가 딸 마가렛이 가져가서 자신이 죽을 때까지 보관했다. [[토머스 크롬웰|크롬웰]]은 그후 5년 뒤에 대역죄로 목이 잘렸으며, [[토마스 크랜머|대주교]]는 화형 당했다. [[토머스 하워드|노퍽 공작]]도 반역자로 처형될 예정이었으나 바로 전날 왕이 [[매독]]으로 사망한 바람에 목숨을 건졌다. 리차드 리치는 대법관이 됐고, 고령으로 사망했다." >----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F/05721|출처 (KMDb)]]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man-for-all-seasons, critic=72, user=7.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1013162-man_for_all_seasons, tomato=89, popcorn=87)]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60665, user=7.7)] == 기타 == 원작 희곡과 영화의 제목은 토머스 모어와 동시대에 살던 문법학자 로버트 휘팅턴(Robert Whittington)이 토머스를 평하며 쓴 글에서 따왔다. == 외부 링크 ==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A_Man_for_All_Seasons_(1966_film)|#]] [[분류:1966년 영화]][[분류:영국의 전기 영화]][[분류:영국의 역사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영국의 종교 영화]][[분류:법정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분류: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