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MBN|[[파일:MBN 로고.svg|height=15]]]] [[MBN 예능|{{{#ed6d01 예능}}}]]'''[br] {{{+2 '''빽 투 더 그라운드'''}}}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빽 투 더 그라운드 로고.jpg|width=100%]]}}} || ||<-2> '''장르''' ||[[예능]] || ||<-2> '''방영기간''' ||[[2022년]] [[3월 29일]] ~ [[2022년]] [[5월 24일]]|| ||<-2> '''방송 회차''' ||8부작 (임시 종영)|| ||<-2> '''채널''' ||[[MBN|[[파일:MBN 로고.svg|height=17&bgcolor=#ffffff]]]] | [[K STAR|[[파일:K STAR.png|height=17&bgcolor=#ffffff]]]] || ||<-2> '''제작''' ||[[유일용]] CP외 25인 || ||<-2> '''출연''' ||'출연진' 항목 참조 || ||<-2>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50]]]] [[https://www.disneyplus.com/ko-kr/series/back-to-the-ground/3oFX53QUfVQ1|▶]] | [[Apple TV(앱)|[[파일:iOS Apple TV 아이콘.svg|height=22]]]] [[https://tv.apple.com/kr/show/빽-투-더-그라운드/umc.cmc.4d2pjso8ukwz52tx6aj56ev38|▶]]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50]]]] [[https://www.tving.com/contents/P001579631|▶]]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50]]]]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C2401_PR896&autoplay=y|▶]]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50]]]] [[https://watcha.com/ko-KR/watch/tRB6Xav?utm_campaign=metadata&utm_source=google&utm_medium=search|▶]] || ||<-2> '''[[영상물 등급 제도|{{{#372a3c,#ddd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 || ||<-2> '''링크''' ||[[https://www.mbn.co.kr/pages/vod/programMain.php?uagent=m&progCode=896|[[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tv.naver.com/mbn.backtotheground|[[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빽 투 더 그라운드 출연진.jpg|width=100%]]}}}|| [[MBN]]의 [[예능 프로그램]]으로, [[KBO 리그]] 출범 40주년을 맞아 프로야구의 흥행을 다시 되살리자는 취지로 은퇴 야구인들의 그라운드 복귀라는 콘셉트로 아마추어 야구팀들[* 사회인야구 및 독립야구단, 고교야구부, 대학야구부]과의 대결을 주로 다룬다. 2022년 3월 29일부터 시작했으며 방송시간은 매주 화요일 밤 10시 10분[* 05회 이후, 9시 40분에서 10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에 시작한다. 2022년 5월 24일 8화를 방영하고 임시 종영되었다.[* 종영된 이유에 대해서 [[JTBC|다른 종편 방송사]]에서 야심차게 비슷한 포맷으로 제작 된 예능 프로그램 [[최강야구]]에 시청률이 밀릴 것을 우려해 급하게 종영했다는 풍문이 있다.][* 빽 투 더 그라운드에 출연했던 이대형이 정용검 캐스터의 언급으로 최강야구에 나오는 것으로 루머가 돌았지만 실제 그 주인공은 [[이대은]]이었다. 명목상 시즌 2를 준비 중이라고 하니 겹치기 캐스팅은 피하는 모양이다.] 이후 양준혁의 언급에 따르면 지금의 종영은 시즌 1 종영이며 시즌 2를 기획 중이라고 한다. == 출연진 == === MC === * [[김구라]] - 단장 겸임 * [[성승헌]] * [[이찬원]] === 고정멤버 === ==== 코치진 ==== * [[김인식]] - 감독 * 김윤겸 - 수석코치[* [[한화 이글스]]의 전신인 [[빙그레 이글스]]의 창단멤버.][* 4화에서 새롭게 합류.] * [[송진우(야구)|송진우]] - 투수코치[* 1화 때 김인식 감독의 대타로 나온 뒤 고정으로 합류했다. 3화에서 입단 테스트 지원자로 등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레잉 코치로 나설 수 있는 듯 하다.] * [[유지훤]] - 타격&수비코치[* [[두산 베어스]]의 전신인 [[OB 베어스]]의 창단멤버 이자 전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 수비코치.][* 4화에서 새롭게 합류.] ==== 선수단 ==== [include(틀:빽 투 더 그라운드/출연진)] == 방송목록 == ||<-7> '''방송목록''' || || '''화수''' || '''방영일''' || '''간략 내용''' || '''게스트 멤버''' || '''경기 결과''' || '''MVP''' || '''비고''' || || 1화 || 2022.3.29. ||<|2> [[성남 맥파이스]][br]시범경기 ||<|2> [[이병규(1974)|이병규]](LG 2군 타격코치),[br] [[박한이]](삼성 2군 타격코치),[br][[조성환(1976)|조성환]](한화 1군 수비코치),[br] [[박정권]]([[SSG 랜더스|SSG]] 2군 타격코치),[br][[이진영]](SSG 1군 타격코치),[br] [[배영수]](두산 1군 투수코치),[br][[조인성(야구)|조인성]](LG 1군 배터리코치),[br] [[최경철]](SSG 1군 배터리코치),[br][[정현욱(1977)|정현욱]](삼성 2군 투수코치) ||<|2> '''12:4 {{{#ff0000 패}}}''' ||<|2> - ||<|2> 김인식, 이찬원 불참 || || 2화 || 2022.4.5. || || 스페셜 || 2022.4.12. || 스페셜 방송 || - || - || - || [* 2022.4.12. 에는 별다른 이유 설명 없이 결방하고, 그 대신 스페셜방송을 방영하였다. 이때문에 3회를 기대한 시청자들을 분노케 했지만, 후에 납득할만한 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 3화 || 2022.4.19. || 제1기 공개[br]입단테스트 || 투수조: [[이동현(1983)|이동현]],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 [[송진우(야구)|송진우]], [[봉중근]], [[박지훈(야구선수)|박지훈]], [[김환(방송인)|김환]], [[이한진]], [[유원상]][br]야수조: [[박종호(1973)|박종호]], [[마해영]], [[윤석민(타자)]], [[최준석]], [[최승준]], [[오상엽]], [[신종길]], [[김수연(야구)|김수연]], [[문선재]], [[나용훈]][* 전 [[한화 이글스]] 신고선수 출신 외야수. [[고양 원더스]]와 [[성남 맥파이스]] 등에서도 활동한 바 있다.], [[윤현민]] ||<|2> - ||<|2> - ||<|2> - || || 4화 || 2022.4.26. || 첫 번째 전지훈련[br]{{{-2 장소: [[서산전용연습구장]]}}} || 제1기 합격자: 김환, 봉중근, 이동현, 유원상, 윤석민(타자), 송창식, 박종호, 이한진, 윤현민, 최준석, 마해영[br]수석코치: 김윤겸, 타격&수비코치: [[유지훤]] || || 5화 || 2022.5.3. ||<|2>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야구부]][br]공식경기[br]{{{-2 장소: [[서산전용연습구장]]}}}[br]&[br]개인훈련 ||<|2> - ||<|2> '''11:9 {{{#ff0000 패}}}''' ||<|2> '''이대형'''[* 5타수 2안타 1타점.] ||<|2> 채태인 불참 || || 6화 || 2022.5.10. || || 7화 || 2022.5.17.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br]공식경기[br]{{{-2 장소: 경기도 광주 [[팀업캠퍼스]]}}} || 시구 : [[박철순]] || '''10:7 {{{#0000FF 승}}}''' || '''니퍼트'''[* 2이닝 무실점 승리투수(구원 승)] || - || || 8화 || 2022.5.24 || 드림 리턴즈[br]공식경기[br]{{{-2 장소: 경기도 광주 [[팀업캠퍼스]]}}} || 감독 : [[유승안]] 선수: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윤희상]], [[오현택]], [[양성우]], [[최승준]], [[한상훈]], [[서상우]], [[윤지웅]], [[황윤호]], [[김다원(야구선수)|김다원]], [[김수연(야구)|김수연]], [[박지훈(야구선수)|박지훈]], [[민경수]], [[서지호(야구선수)|서지호]], [[나용훈]] || '''15:7 {{{#ff0000 패}}}''' || '''양준혁'''[* 5타수 2안타 2홈런 4타점] || 김환, 윤현민[* 8화 시작즈음 김인식 감독과 홍성흔의 대화에서 알수있듯이 당시 녹화가 메이저 개막 즈음인 4월 8일 이후였고 윤현민이 부친상을 당한게 4월 13일이었으니 부친 간호로 인한 결장일 가능성이 높다.] 불참/ (임시)종방 || == 여담 == * 초기 고정 멤버 구성을 보면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NC 다이노스]]에서 활약한 선수가 나오지 않았다. NC에서 좀 활약하다 은퇴한 사람들이 현재 죄다 현역 코치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훗날 유원상과 최준석이 합류하면서 NC 출신 야구인도 합류하게 됐다. * 1회부터 결석 멤버가 많았다. 김인식 전 감독은 컨디션 난조로 인해 방송에 출연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송진우(야구)|송진우]] 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 감독이 김 감독을 대신해 1일 대리 감독으로 나왔다. MC인 이찬원도 1회 녹화와 단독콘서트 일정이 겹치며 출연하지 못했으며, 애국가 영상으로나마 출연했다. * 3회에 방영된 공개입단 테스트에 등장한 전 선수들의 에피소드들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야수조 공개입단 테스트에 응했던 [[박종호(1973)|박종호]] [[백송고등학교 야구부|백송고]] 감독과 [[윤현민]]은 각각 투병중인 모친과 부친에게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참석했으나, 안타깝게도 방송 이후 사망하며 안타까움을 샀다. 특히 3회의 경우 별 다른 공지 없이 결방되기도 했는데, 이는 하루 뒤 알려진 윤현민 부친의 부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현재 [[https://www.instagram.com/ayabaseballclub/|아야베이스볼클럽]][* [[홀라당]] 멤버 박사장이 운영하고 있는 야구연습장이다.] 인스트럭터로 활동중인 나용훈은 2011년 [[한화 이글스]] 신고선수로 입단했으나 1년 뒤 방출 후 [[고양 원더스]]와 [[성남 맥파이스]] 등을 두드리며 프로야구단 입단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군복무 도중 양 팔이 부러지는 사고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연습으로 야구 감을 잃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김환(방송인)|김환]] 역시 경희대 재학 시절까지 투수로 활약했으나 부상으로 인해 야구를 접게 된 사연을 공개했다. * 불치병으로 인해 현역선수 활동을 접은 [[이한진]] 전 코치는 투구 시 손에 아무런 감각이 없다고 현재의 몸상태를 밝히기도 했다. * 백송고 감독을 겸하고 있는 박종호는 주말리그를 치르는 토, 일요일을 제외한 주중 시간대에는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및 학부모들에게 허가를 받았다고 한다. * 선수단 등번호를 보면 대부분 프로 현역 시절에 달았던 등번호를 달았으나, 다른 이유 등으로 현역 시절에 달았던 등번호가 아닌 다른 번호를 단 선수들도 있다. * 어떤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한 자리 수 등번호가 없다. * 안경현은 프로 시절에 달았던 등번호(3번, 33번)가 아닌 원주고 시절에 달았던 등번호(16번)를 달았다. 연세대 시절 등번호(13번)는 타자 윤석민이 달았다. * 이한진은 경찰 야구단 코치 시절 등번호인 77번을 달았다. * 현역 시절 주로 31번을 달았던 송창식은 박종호가 31번을 달게 되면서 38번을 달았다. 38번은 선수 전성기를 함께 보냈던 [[김성근|당시 감독]]의 등번호이기도 하다. * 윤현민의 등번호 11번은 청원고 시절 등번호이다. * 29번 등번호를 채택한 김환은 고등학교, 대학교 때 해당 등번호를 단 적이 없다. 연예인야구단에서도 29번을 단 적이 없다. * MVP를 받으면 오른쪽 팔에 MVP 완장을 차게 된다. 6화에서는 대활약한 이대형이 선정되었다. * 7화에서도 MVP 급 실력을 선보인 선수가 다수 있었는데, MVP 는 니퍼트에 선정되었다. * 김태균은 BTG 첫 홈런 포함, 5타수 4안타(1홈런) 3타점을 기록했다. * 이대형은 4안타에 동점 2루타를 기록했다. * 선발투수로 나온 이한진은 2 2/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 니퍼트는 무려 '''146km/h'''를 찍으며, 2이닝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위기에서 팀을 구원했고, 구원승을 기록했다. * 김태균은 7화에서 홈런 포함 4안타를 쳤으나 니퍼트에게 밀렸고, 8화에서는 멀티 홈런에 3타점을 기록했으나 역시 멀티 홈런을 기록했고 그간 부진했지만 나이와 부진을 이겨낸 양준혁에게 MVP를 내주며 MVP를 두 번이나 아쉽게 놓쳤다. 그래도, 첫 홈런 메달을 받은 것이 위안거리. * 8화에서 팀 이름이 '''탑클래스'''로 결정되었다. * 8화에서 [[유원상]]과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의 '형제 대결'이 성사되었다. 덤으로 드림리턴즈의 감독은 두 사람의 아버지인 [[유승안]]이었기 때문에, 본격적인 가족간의 대결인 셈. * 입단테스트(3화)에서 상당한 실력을 보여줬으나, 합격되지 못한 여러 선수들이 8화에 '드림리턴즈' 멤버로 출연하였다. 이 경기를 위해서 빼놓은 것이라는 추정이 있으며, 나중에라도 팀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 8화를 끝으로 갑자기 임시 종방에 들어갔다. 일단 완전 종영은 아니고 시즌2 혹은 9화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떡밥을 뿌렸긴 했는데,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며, 완전 종영으로 변경될 가능성도 있어 재시작을 확신할 수 없는 노릇. 가장 큰 문제는 임시 종방에 관한 내용을 사전에 공지하지 않고 마지막 8화 본방 끄트머리에 날치기로 공개했다는 부분인데,[* 경기 전부터 출연진들 사이에서 마지막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다 경기 종료후 엔딩 파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임시 종방」 을 정식으로 알렸다.] 시청자들은 이런 뜬금없는 경우가 어디있냐며 MBN측의 막장적 행태에 엄청난 분노를 드러내고 있다. * 종영 이후 유튜브에 업로드 된 8화 다이제스트 영상에 [[양준혁]]이 댓글을 남겨 이번 임시 종영에 대한 썰을 간략히 풀었다. 시즌1 종영 형식으로 끝난게 맞다고 하며, 시즌2에서 [[일본프로야구]](NPB) 레전드들과의 경기를 펼칠 예정이라고. [[https://youtu.be/uwbQHR88eCQ|해당 영상]] 그러나 2022년 12월쯤 [[홍성흔]]의 부인이 인스타그램 라이브방송으로 빽 투 더 그라운드는 폐지가 됐다고 말했기에 사실상 시즌2는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홍성흔]]의 부인은 MBN 관계자가 아니니 적절히 걸러들을 필요는 있겠지만 프로그램 출연자이자 남편인 [[홍성흔]]에게 관련 내용을 들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완전히 사실이 아니라고 하기도 어렵다. 결국 MBN이나 유일용 CP가 입을 열어야만 진실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 프로가 임시 종영된 후 시즌2 소식이 깜깜한 사이, [[JTBC]]에서 유사한 성격의 프로그램인 [[최강야구]]가 방영되었고 압도적인 화제성을 보이고 있어 빽 투 더 그라운드 시즌2의 복귀부담이 상당히 커졌다. 이미 임시 종방을 날치기로 공개한 것으로 민심을 잃은 상황에서 경쟁 프로그램이 될 최강야구가 날아오르고 있으니 기존 빽 투 더 그라운드 시청자들도 최강야구로 흡수되어버렸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 특히 종방한지 1년이 넘은 상황에서 MBN과 유일용은 빽 투 더 그라운드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내놓지 않고 있기에 시청자들이 기다림에 지쳤을 것으로 보인다.] * 최강야구가 흥행하면서 빽 투 더 그라운드 선수들 중에서 최강야구로 왔으면 좋을 선수를 두고 의논이 있었는데 [[더스틴 니퍼트]]가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아직 방송여부가 안 나온 탓에 최강야구로 이적을 못하고 있다는 게 아쉽다는 여론이다. 다만 이미 존재하는 선수들도 캐릭터성이 다 잡혔는데 굳이 빽 투 더 그라운드 선수들에 집착해야 하냐며 반감을 가지는 시청자들도 적지 않아 현재는 위 논의는 사그라든 상태다. * 상술된 최강야구와는 소재가 겹치다 보니 비교를 많이 하는데 특히 같은 소재로 왜 빽 투 더 그라운드는 조기 종영했는데 최강야구는 지금까지 흥행하며 시즌 2를 내놓았을까라는 내용으로 많이 비교를 한다. 현재 시청자들이 내놓은 결론은 빽 투 더 그라운드는 야구 예능이란 단어에서 예능에 집중해 전형적인 스포츠 예능처럼 만들었고 최강야구는 야구에 집중해 선수들 이름값은 빽 투 더 보단 떨어질지 몰라도 촬영 장비, 구장, 선수들 장비까지 더 좋은것으로 준비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기에 경기 퀄리티에서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시청자들도 전형적 예능인 빽 투 더 보다는 진지한 다큐 느낌이 강한 최강야구에 더 신선함을 느꼈다는 것. 거기다 해설로 등판했던 김구라 역시 예능용으로 데리고 온지라 야구 전문성에서는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 경기 집중도가 더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는 평도 있다. 아예 야구와는 연관이 없는 연예인을 출연진에서 철저히 배제한 최강야구와 비교되는 부분.[* 직관경기에 연예인이 직관경기 시구시타로 나오긴 하지만 시구시타 끝나면 간간히 응원석 비출때 잠깐 나올정도로 비중이 공기수준으로 떨어져버린다. 아예 시구시타조차 없으면 그냥 관중1로 잠깐 등장하는게 전부다. 그나마 연예인중 최강야구에서 많이 나온게 [[트루디]]인데 이것도 연예인 트루디가 아니라 최강야구 2023시즌 기준 1선발 에이스 [[이대은]]의 아내로서 남편을 내조하는 모습으로 나왔을뿐 랩퍼로서 모습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각주] [[분류:MBN 예능]][[분류:2022년 방송 프로그램]][[분류:야구 예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