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드래곤족 리메이크)] [목차] == 설명 == [[파일:card10009582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빙옥룡 트리슈라, 일어판명칭=氷獄龍(ひょうごくりゅう) トリシューラ, 영어판명칭=Trishula\, the Dragon of Icy Imprisonment, 속성=물, 종족=드래곤족, 레벨=9, 공격력=2700, 수비력=2000, 효과1=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 3, 효과2=이 카드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만을 소재로 한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자신 필드의 상기 카드를 제외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효과4=①: 원래의 종족이 드래곤족인 몬스터만을 소재로서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상대의 덱 맨 위 /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순으로 확인하여 각각 1장씩 제외한다. 이 카드명의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20th 레전더리 드래곤즈에서 등장한 융합 몬스터. 함께 발매된 다른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리미트 레귤레이션 경력이 있는 강력한 드래곤족 몬스터인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리메이크한 몬스터다. 세 군데의 장소에서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를 계승했다. 원본과는 전혀 무관한 융합 몬스터로 변한 것이 특이한데, 본래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는 싱크로 몬스터인데다 [[빙결계]]는 싱크로 소환만을 주력으로 하는 테마로 융합 소환과는 전혀 연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 그래서 [[듀얼 터미널]] 스토리와는 연관되지 않으며 이름에도 [[빙결계]]가 포함되지 않는다. 소재 자체는 카드명만 다르면 되므로 빙결계 덱에서도 소환이 불가능하지는 않고 싱크로 몬스터들을 사용하면 효과의 발동도 노릴 수는 있으나, 그 과정에 드는 수고와 이 카드의 성능을 생각하면 예능 수준의 이야기. 소재 제약은 없다시피 한 수준이고, 융합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소환 자체는 대단히 쉬운 편에 속한다. [[초융합]] 셔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대 몬스터로는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었다. 드래곤족 몬스터만을 소재로 사용하여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얻는 효과는 덱 / 엑스트라 덱의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 드래곤족 몬스터만을 소재로 이 카드를 소환하기 위해서는 [[용마도의 수호자]] 같은 카드를 사용하여 어떻게든 소재를 모아 4장만큼의 손해를 감수하거나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 3종류를 제외해야만 한다. 드래곤족 몬스터 중에는 제외와 관련된 몬스터는 이젠 사용할 수 없는 [[정룡]]을 빼면 거의 없다시피 해서, [[융합(마법 카드)|융합]]을 사용하든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든 제법 손해를 감수해야만 한다. 융합 소재로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용의 거울]]이나 [[초융합]]을 통한 소환도 불가능. 그렇게 융합 소환했을 경우 얻는 효과도 그리 강력하지 않다. 자신의 덱에서 원하는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는 활용처가 없지는 않지만 드래곤족 위주의 덱에서는 활용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 상대 덱 맨 위를 제외하는 효과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결국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것으로 얻는 이득은 상대 엑스트라 덱을 보고 카드 1장을 제외하는 것 뿐인 셈. 물론 강력한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상대의 이후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나쁜 효과는 아니지만, 큰 손해를 감수하고서 꺼낸 것 치고는 너무 적은 이득이다. 이 소환시의 효과를 제외하면 다른 효과도 없는데다가 타점도 2700으로 아주 높은 편도 아니고, 심지어 그리 강하지도 않은 이 효과에 턴제 효과 발동 제약까지 걸려 있어서 여러 번 효과를 발동하기를 노릴 수도 없다. 원본이 패 / 필드 / 묘지라는 어느 한 군데라도 견제당하면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곳을 전부 견제하는 카드였으며 원본에서 파생된 트리슈라의 네크로즈도 이보다는 쓸만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리메이크 치고는 너무 큰 퇴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강하다고는 말하기 힘든, 재탄생한 드래곤 중에서도 효과의 성능이 가장 떨어지는 카드. 굳이 효과 발동을 목표로 이 카드를 사용한다면, 이름이 다른 드래곤족 몬스터의 전개가 간편한 [[성각]]과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등에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성각 덱은 부활의 성각인을 통해 제외된 성각 몬스터를 묘지로 되돌릴 수 있다는 점도 호궁합. 카드 자체의 파워가 그리 강하지는 않으므로 적극적으로 소환하려 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소환하여 상대의 행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의 사용이 주가 될 것이다. 상술했듯 효과가 너무 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몬스터 3장을 제외하면 소환 가능한 레벨 9 몬스터"라는 점을 살리기 위해 채용된다. 소환 방식이 특이한 [[링크 몬스터]]처럼 사용하는 셈. 제외되었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와 연계하거나, 토큰 등 용도가 제한되는 몬스터를 잔뜩 꺼낼 수 있는 덱에서 그 몬스터들을 레벨 9 몬스터로 치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링크로스]]가 금지 카드가 되기 이전에는 몬스터 3장을 모으기가 굉장히 쉬웠기에 [[성건사 리이브]]로 세트한 [[성유물(유희왕)|성유물의 태도]]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었으며, [[제너레이드]] 등의 레벨 9 위주 테마가 애용했다. [[드래그니티]]는 효과 다 쓴 수호룡들로 이 카드를 뽑아 덱에서 남정룡을 제외해 유사 바람 속성 서치 몬스터처럼 이용한다. ~~봉인시키고는 다시 꺼내서 노예로 부려먹는다~~ 그 외에도 [[지박신#지박신 Aslla piscu|지박신 Aslla piscu]]를 소재로 제외시켜 효과 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Aslla piscu를 이용한 선턴킬 덱에서 채용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는 [[ARENA OF SANCTUARY]]에서 등장. 범용 몬스터보다는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절망의 함정 속으로|절함]] 메타 저격용으로, 필드만 잡아먹는 뒷면 표시 몬스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20th ANNIVERSARY LEGENDARY DRAGONS || VP18-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3]] || LVP3-JP002 || [[레어]] || 일본 ||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4 1st WAVE]] || PP14-KRA20 || [[슈퍼 레어]][br][[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링크 브레인즈 팩 3]] || LVP3-KR002 ||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 [각주]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