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상반신]][[분류:동맥]] ||
{{{#ffffff '''subclavian artery'''}}}[br]{{{#ffffff '''(빗장밑동맥, 쇄골하동맥)'''}}}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빗장밑동맥.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빗장밑동맥은 위쪽 가슴에서 시작하여 이름 그대로 [[빗장뼈]] 밑을 지나는 [[동맥]]이다. 개정 이전 이름은 쇄골하동맥([[鎖]][[骨]][[下]][[動]][[脈]]). == 구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빗장밑동맥시작.png|width=100%]]}}} || || 오른쪽과 왼쪽 빗장밑동맥이[br]각각 다르게 나오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 [anchor(오른빗장밑동맥)][anchor(왼빗장밑동맥)] 오른쪽과 왼쪽 빗장밑동맥은 각각 다르게 시작한다. 오른빗장밑동맥은 우선 [[대동맥]]에서 [[팔머리동맥]](brachiocephalic a.)이 나온 후, 그 후 팔머리동맥에서 오른빗장밑동맥과 [[오른온목동맥]](right common carotid a.)으로 나눠지는 방식으로 시작된다. 반면 왼빗장밑동맥은 팔머리동맥이 왼쪽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직접 대동맥에서 나오며, [[왼온목동맥]] 역시 직접 대동맥에서 나온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빗장밑동맥구조.jpg|width=100%]]}}} || 빗장밑동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기준이 되는 것은 [[앞목갈비근]](anterior scalene m.)이다. 첫째부분은 빗장밑동맥의 시작부터 앞목갈비근 안쪽 모서리까지, 둘째부분은 앞목갈비근에 덮이는 부분, 셋째 부분은 앞목갈비근 가쪽 모서리부터 첫째갈비뼈 가쪽 모서리까지다. 첫째갈비뼈는 지나치고 나면 빗장밑동맥은 [[겨드랑동맥]](axillary a.)으로 이름이 바뀐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빗장밑동맥지나가요.png|width=100%]]}}} || 빗장밑동맥 셋째부분은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와 함께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middle scalene m.) 사이를 지난다. === 주변 구조물들 === 주변의 다른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다. * 빗장밑동맥보다 뒤쪽에 있는 [[교감신경줄기]](sympathetic trunk)의 일부인 [[목가슴신경절]](cervicothoracic ganglion) * 빗장밑동맥보다 앞쪽에 있어 앞목갈비근보다 앞을 지나가는 [[빗장밑정맥]](subclavian v.) * 왼쪽 [[미주신경]](vagus n.)은 왼온목동맥과 왼빗장밑동맥이 대동맥에서 나오는 곳들 사이로 지나가 [[가슴안]](흉강)으로 들어간다. * [[가로막신경]](phrenic n.)이 [[속목정맥]](internal jugular v.)과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보다는 깊이, 앞목갈비근보다는 얕은 곳을 지나와 빗장밑동맥과 빗장밑정맥 사이를 지나간다. == 가지 == 첫째부분, 둘째부분, 셋째부분에서 나오는 가지들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나오는 순서대로 쓰면 다음과 같다. * 첫째부분에서 나오는 가지 - [[척추동맥]](vertebral a.), [[속가슴동맥]](internal thoracic a.), [[갑상목동맥]](thyrocervical trunk) * 둘째부분에서 나오는 가지 - [[목갈비동맥]](costocervical trunk) * 셋째부분에서 나오는 가지 - [[등쪽어깨동맥]](dorsal scapular a.) == 관련 질환 == 빗장밑동맥이 좁아지거나 폐쇄되면 빗장밑동맥도루증후군(subclavian steal syndrome)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빗장밑동맥 가까운 쪽의 혈액 순환이 막히면서 막힌 쪽의 척추동맥 혈액이 반대로 흐르게 되어, [[대뇌동맥고리]](cerebral arterial circle) 등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