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청소]]할 때 쓰는 [[도구]]. 엄밀히 말하면 빗자루는 '[[비(동음이의어)#s-1.2|비]]'의 '[[자루]]'이고 청소 도구는 '비'가 맞지만 자루가 없을 수는 없으니까 그냥 빗자루라고 부른다. == 특징 == 가내에서는 [[진공청소기]]에 밀려 거의 사라졌지만 너른 마당이나 [[학교]] [[교실]]과 [[운동장]], [[기숙사]], [[군대]] [[생활관]] 등에서는 많이 쓰인다. 서양에서는 나무막대 끝에 마른 풀 같은 것을 단 빗자루가 흔하지만 한국에서는 [[싸리나무]]의 싸리대를 통째로 묶어서 만든 쪽이 더 흔하였다. 빗자루는 그 자체의 쓰는 힘뿐만 아니라 빗자루가 쓸고 지나간 곳에 잠시 동안 생긴 진공의 힘으로 청소하는 도구이다.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생긴 바람이 먼지를 옮기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가 없는 달 표면에서는 빗자루로 먼지를 쓸기가 매우 힘들 것이다. [[체벌]] 도구로 사용될 때에는 보통 [[플라스틱]] 빗자루가 사용되며, 맞은 후의 후폭풍이 일품이다.[* 속이 비어 있어서 충격을 깊숙이 가할수는 없다는 특징과 플라스틱 특유의 유연성이 합쳐져서, 진짜 [[폭행|죽자고 패는게]] 아닌 이상 '''다치지는 않지만 아프기는 더럽게 아픈''' 최고의(?) 회초리로 변모한다.] 간혹 나무 빗자루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나무 빗자루는 그냥 [[몽둥이]]라고 봐야 하는 무식한 위력을 낸다.[* 살이 얇은 곳에 잘못 맞으면 뼈를 다칠 위험도 있으며, [[볼기|엉덩이]] 같은 곳에 맞아도 피멍이 들어서 며칠은 아프다.] 한국 [[설화]]에선 빗자루가 오래되면 [[도깨비]]가 된다고 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단순히 빗자루가 오래 되기만 하면 도깨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빗자루에 [[피]](사람이든 동물이든)가 묻으면 도깨비가 된다고 하는 전승도 있다. 1990년대 [[토요미스테리 극장]]에서도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나왔다.] 몇몇 시골 등지에는 오래된 빗자루를 벽에 세워 두지 않는 풍속이 있다. 초인종이 울려서 나가보니 피묻은 빗자루가 덩그러니 놓여있었다는 조금 오싹한 괴담도 있다. 왜 피 묻은 빗자루였냐면, 과거 여성이 아궁이 앞에 앉아 불을 땔 때 바닥에 빗자루나 절굿공이를 깔고 앉기도 했는데, [[https://news.joins.com/article/22799383|속설]]에서는 이때 [[월경|월경혈]]이 묻으면 도깨비로 변한다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31226/59784774/1|기사]], [[https://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3123758|논문 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category=Research&m201_id=10063727|논문 2]] 스포츠에서 다전제 경기에서 한경기도 내주지 않고 이기면 빗자루질이라고 한다. 영어의 [[스윕]]을 그대로 번역한 것. 그런고로 경기중에 [[http://bloximages.chicago2.vip.townnews.com/journaltimes.com/content/tncms/assets/v3/editorial/e/fb/efb1cd04-630f-5126-b4da-55e5732ed2b5/5080a22c46fd5.preview-620.jpg|응원도구에 빗자루가 있으면 스윕을 시도하는 쪽인 것.]] 이 짤방의 피해자는 2012년 MLB 포스트시즌의 [[뉴욕 양키스]]. ~~[[독일 연방군|독일군]] 제식 무기이다.~~ 이는 [[https://www.telegraph.co.uk/news/worldnews/europe/germany/11420627/German-army-used-broomsticks-instead-of-guns-during-training.html|NATO 연합 훈련 당시 독일 연방군 측에서 장갑차에 거치할 기관총이 없어 대신 빗자루에 기관총 도색을 해서 달아놓은 사건]]을 말한다. 이런 일이 벌어진 이유가 기존에 쓰던 [[MG3]] 기관총을 도태시키고 새로운 기관총을 도입한다는 계획에 따라 MG3를 전량 도태하였으나 정작 새로운 기관총이 군비 축소에 따라 도입이 안 되어 벌어진 것. === [[마녀]]의 빗자루 === [[마녀]]가 하늘을 날 때 쓴다는 이야기도 있다. 일설에 따르면 마녀들은 이것 때문에 [[직업병]]이 [[치질]]이라나 뭐라나? 치질과 더불어서, [[사타구니|회음부]]가 눌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음부신경압박증후군에 걸릴 위험도 있다(…). ~~남자가 빗자루를 타면 [[고자]]가 된다. 직접 해 보자.~~ 농담이 아니라 '''진짜로 아프다.''' 괜히 빗자루 타는 남자 마법사는 없으며, [[마법]]을 주무기로 쓰는 남성의 캐릭터들이 전부 [[마법사]]나 [[마왕]]으로만 나오는 게 아니다.[* 웹툰 [[이런 영웅은 싫어]]에서 주인공 [[나가(이런 영웅은 싫어)|나가]]가 빗자루 탑승의 단점을 듣고 '마남이 없는 이유를 알겠다'라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해리 포터 시리즈]] 세계관에선 빗자루에 방석 마법이 걸려 있어서 [[해리 포터 시리즈/등장인물|사용자]]의 [[치질]] 위험이 없다고도 한다. 그런데 5권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에서 [[조지 위즐리]]&[[프레드 위즐리]] 쌍둥이가 자신들이 만든 꾀병용 과자의 부작용으로 특정 부위에 [[종기]]가 난다고 언급했는데, 그 부위가 '''[[사타구니|빗자루에 타면 아파서 죽을 지경인 부위]]'''였다. 방석마법으로도 어쩔 수 없는 문제였던 듯. 실제로 [[볼기|엉덩이]] 쪽에 종기가 심하게 나게 되면 푹신한 의자에 앉아도 상당히 아픈 것을 보면 적어도 설정오류는 아닌듯 싶다.] 보통 빗자루의 나무막대기 중간에 걸터 앉아 타는 방식이 많지만,[* 이것도 말이나 자전거를 타듯 다리 사이에 빗자루를 끼우는 방식과, 동화에서 공주가 왕자의 말을 타듯이 한쪽으로 두 다리를 모으고 옆으로 타는 방식으로 나뉜다. 후자의 경우는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오자마녀 도레미)의 [[후지와라 하즈키]](메이)나 [[세가와 온푸]](보라)가 빗자루 타는 모습을 보면 알 수 있고, [[마비노기]]에서도 여캐로 빗자루 탑승시 옆으로 타는 방식으로 탄다.] [[마녀 배달부 키키]]처럼 막대기와 볏부분에 걸터앉아 볏부분을 방석삼아 타는 경우도 있다. 일부 활동적인 성격의 캐릭터들은 스케이트보드를 타듯이 서서 두 발로 타기도 한다. 현대에도 빗자루를 타는 전통적 [[마녀]] 이미지도 있지만, [[청소기]]가 빗자루의 기능을 대신한다는 점을 반영해 [[Sabrina, the Teenage Witch]]나 [[호커스 포커스]], [[야다몽]](꾸러기 마녀 노노, 꼬마마녀 노노)처럼 청소기를 타거나 더 나아가 로봇청소기까지 타고 다니는 등 나름 현대식으로 어레인지한 교통수단(?)을 타는 매체도 있다. [[마녀사냥]] 시에 [[마녀]]들을 꼬투리 잡을 때 가장 많이 지목되는 물건. 빗자루가 '''[[음경|남성의 생식기]]'''를 의미하며, 즉 여자이면서 남성의 생식기를 지니고 있기에, 혹은 빗자루를 거꾸로 탄다고 여겨져 악마의 생식기 대용으로 사용해 악마와 성교했기에 그녀들은 사악하다- 라고 우겼다나 뭐라나. [[마녀]]들의 사바트 축제를 [[마약|약물]]로 인한 환각 상태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난다는 이야기는 사실, 약물을 먹고 환각상태에 빠져서 빗자루를 써서 [[자위행위]]를 한 것을 환각중이라 하늘을 난 것으로 느꼈던 기록이라든가. 마녀 [[마약]]설을 덧붙이자면, 번역가 양병찬의 [[http://ppss.kr/archives/15277|글]]에 의하면, 마녀들은 [[맥각 중독|변질된 맥각]]에서 우연히 생성된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기보다는 [[맥각 중독|맥각균]]에 의한 생합성이 훨씬 더 수월한 편이며, 그런 이유로 옛날부터 발견되어 [[마녀]] 논란의 진원이 되었다.]의 효율적인 흡수[* 일부 약물을 구강으로 투여하면 효과가 없는 경우가 있다, 니트로글리세린도 약물을 내복약으로 섭취한다기보단 혀 밑의 혈관을 통해 약물을 직접 투여하는 방식의 설하정이다.]를 위해 [[마약|약물]]을 자신들의 [[음문]]에 발랐고, 손가락으로 직접 그것을 바르는 대신에 약물을 발라놓은 빗자루에 걸터앉는 방법으로 손쉽게 투약(…)했다는 썰도 존재한다고 한다. [[노르웨이]]에서는 [[성탄절|크리스마스]] 이브 때 집 안의 빗자루와 밀대자루들을 치우는 풍습이 있는데, 이때 마녀가 타고 다닐 빗자루를 훔친다는 전승이 있어서 그렇다. [[https://www.mk.co.kr/news/world/6475794|기사]] == 매체 == [[공처가]] 속성의 인물이 아내에게 구박 받을 때, [[클리셰|주로]] 이걸로 맞는다. [[마법사의 제자]]는 제자가 편하게 일하려고 빗자루에 어설프게 마법 한 번 걸었다가 해제를 못해서 개고생하는 이야기다. [[가면라이더 덴오]]의 [[노가미 료타로]]는 처음에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로 변신한 직후 적을 상대로 빗자루를 무기로 썼다(…). 우야꼬 [[만화일기]]에서는 [[진공 청소기]]가 고장나자 '''흡입구를 떼 버리고 그 자리에 빗자루를 붙여 쓰는 센스'''를 선보였다. 이런 문제 등으로 인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청소 도구의 기본이므로 절대 사라지지는 않을 물건이다. [[어새신 크리드 2]]에서는 무기로 쓸 수 있다. 창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병사들을 아무리 공격해도 부러지지 않는다. (참고로 병사들이 쓰는 창은 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창과는 달리 투창으로는 쓰지 못한다.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 PS3판에서는 이런 빗자루로 병사들을 어느 정도 죽이면 트로피를 받게 되는데 트로피 이름이 '거리의 청소부'이다(...).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에서는 쓸 수 없지만 대신 어그로 꼬인 npc들이 근처에 빗자루가 있으면 들고 와서 덤빈다. [[역전재판 시리즈]]의 [[키타키 코우메]]가 매번 가지고 있는 빗자루는 사실 [[소드 스틱|칼]]이다. 아주머니의 심기를 거스르면 빗자루로 쓸어버린다 카더라. 간혹가다 무녀, 메이드 캐릭터가 대나무 빗자루에 숨겨진 칼을 꺼내는 작품이 있는 편이다. [[카트라이더]]에서 2014년 10월 할로윈 업데이트 때 저주가 걸려있는 지팡이라는 컨셉으로 빗자루 카트를 내놓은 적이 있다. 할로윈 보석을 모아 빗자루가 걸린 저주를 풀어주면 선택에 따라 아이템전 카트인 천사의 지팡이 9, 스피드전 카트인 악마의 지팡이 9 카트 중 하나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의 빗자루는 [[빗자루(해리 포터 시리즈)|문서]] 참고. * 대부분의 [[마녀]] 컨셉 캐릭터 * ~~[[가면라이더 위자드]] - [[가면라이더 메이지]]~~ 극장판에서 사용한 전용 무기인 '라이드 스크레이퍼'가 빗자루의 형태를 한 창이다. 하루토를 추격할 때 여러 명이 이걸 타고 날아다니며 애로우 마법을 난사했다. * [[게게게의 키타로]] - 잠비아, [[아니에스(게게게의 키타로)|아니에스]]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 [[마르고트 나이트]]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 [[견습 마녀]] 및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등장인물|마녀들]] [[마녀 개구리]]가 된 [[마조리카]]는 빗자루 대신 [[쓰레받기]]를 이용한다. * [[나무위키]] - [[세피로트(마스코트)|세피로트]] * [[난다 난다 니얀다]] - [[카코(난다 난다 니얀다)|카코]]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니카이도 베니마루]]의 별명이기도 하다. 머리스타일이 마치 빗자루 같이 생겨서다. * [[던전앤파이터]] - [[마도학자]], [[인챈트리스(던전 앤 파이터)|인챈트리스]], [[디멘션 워커]], [[크리에이터(던전 앤 파이터)|크리에이터]]([[던전 앤 파이터/아이템/빗자루|무기]])[* 이중에선 마도학자가 빗자루를 잘 사용하는 편이다. 인챈트리스의 경우 평타질 할때 무기로만 휘두르며, 크리에이터와 디멘션 워커의 경우 --토템--장식용이나 다를 바 없다. 대신 디멘션 워커는 패시브 스킬인 결벽증이 있어 설정상 피로도 소모하고 뒷처리 용도로만 쓰인다. 스킬 설명란에 '''아쉽게도 [[어른의 사정|몇 가지 문제]] 때문에 타고 나는 것은 포기했다.'''라고 써져있는건 덤. ] * [[데이트 어 라이브]] - [[나츠미(데이트 어 라이브)|나츠미]] * [[동방 프로젝트]] - [[키리사메 마리사]] 가끔 빗자루를 스케이트 타듯 '''일어서서''' 타는 모습을 그리는 작가가 있다. * [[레 미제라블]] - [[코제트]]: 상징이기도 하다. * [[리틀 위치 아카데미아]] - [[리틀 위치 아카데미아/등장인물|마법학교 루나 노바의 학생 및 교사들]],[* 주인공 [[카가리 아츠코]] 또한 자신이 직접 몰 수는 없으나 타인의 빗자루, 혼자서 움직이는 빗자루에는 타봤다.] 이 외 전세계 곳곳의 마녀들. * [[마녀의 여행]] - [[일레이나]]를 포함한 모든 마녀들 * [[마도물어]] - [[윗치]] * [[마법사 프리큐어!]] - [[아사히나 미라이]], [[이자요이 리코]], [[하나미 코토하]], [[마법사 프리큐어!/등장인물|기타 마법학교 학생들, 마법사들]]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ViVid]] - [[파비아 크로젤그]] * [[마법소녀 사이트]] - [[이즈미가미네 미카리]] * [[마법소녀 육성계획]] - [[톱스피드]] * [[메이플스토리]] - --[[메이플스토리/일반 몬스터/빅토리아 아일랜드/엘리니아#s-4|멜러디]],-- 마녀[* [[메이플스토리/일반 몬스터/빅토리아 아일랜드/엘리니아#s-4|멜러디]]가 서 있는 형태의 헌티드 하우스 NPC이다.] * [[벚꽃사중주]] - [[V 리라 F]] * [[브롤스타즈]] - [[애쉬(브롤스타즈)|애쉬]][* 다만 [[애쉬|이쪽]]은 빗자루를 타는것도 아니고 그걸로 공격한다(...)] * [[뾰로롱 꼬마마녀]] - 민트 * [[신만이 아는 세계]] - [[엘류시아 데 루트 이마|엘시]] * [[십이대전|십이대전 대 십이대전]] - [[아이언 메이]] * [[야다몽]] - 야다몽,[* 인간 세계에선 빗자루 대신 [[청소기]]를 타고 다닌다.] 여왕, 미르 * [[좀비고등학교]] - [[박찬영]] 빗자루를 이용해 좀비들을 공격한다 * [[주술회전]] - [[니시미야 모모]] * [[위키드(뮤지컬)|위키드]] - 엘파바 [[Defying Gravity|그녀가 빗자루를 타고 처음으로 날아오르는 장면]]은 해당 뮤지컬 최고의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 [[유메닛키]] - [[마도츠키]] 마녀 이펙트 발동 시. * --[[유유백서]] - [[보탄(유유백서)|보탄]]-- 잘 보면 빗자루가 아니라 [[곤장]]이다. * [[이런 영웅은 싫어]] - [[혜나(이런 영웅은 싫어)|혜나]] [[나가(이런 영웅은 싫어)|나가]]의 염력으로 날아다니는 경우가 더 많긴 하다. *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시노노노 호우키]]: 이름이 빗자루다. * [[카드파이트!! 뱅가드]] - [[빗자루 마녀 캐러웨이]] * [[테일즈 오브 판타지아]] - [[아체 클라인]] * [[트라이건]]: [[밧슈 더 스탬피드]]의 별명(해적판에서는 '삐죽이')이기도 했다. * [[학생회 임원들]]: [[시노노노 호우키]]와 [[히카사 요코|성우]]가 [[성우 개그|같은]], [[아마쿠사 시노]]가 빗자루를 들고 있는 장면에서 빗자루에다가 '시노의 빗자루(しののほうき)'라고 써 놓은 장면이 나온다. * [[해리 포터 시리즈]] - [[마법사(해리 포터 시리즈)|마법사 또는 마녀]], [[퀴디치]] 선수들[* [[해리 포터 시리즈|해리 포터]] 설정에서는 [[빗자루(해리 포터 시리즈)|빗자루]]가 [[해리 포터 시리즈/등장인물|운송 수단]]의 기능도 있지만 작중에선 [[퀴디치]]에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 [[Baldi's Basics in Education and Learning]]: 빗자루 그자체인 캐릭터가 있다. * [[DOG DAYS]] - [[레베카 앤더슨]]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빗자루 || || [[한자|{{{#373a3c,#ddd '''한자'''}}}]] ||箒([[추]]) || ||<|3>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σκούπα(skoúpa), φρόκαλο(frókalo), σάρωθρο(sárothro) || ||σάρον(sáron)([[고대 그리스어]]) || ||φορκάλ(forkál)(폰토스 그리스어) || ||<|4>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Besen(베전, 베젠) || ||besmo(고대 고지 독일어) || ||bessem, bezzem([[저지 독일어]]) || ||Bassem(메노나이트 [[저지 독일어]])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virga(위르가, 비르가), syrus/sȳrus(쉬루스, 시루스), genista, scopae/scōpae, ruscum, everriculum/ēverriculum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веник/ве́ник(v'énik, venik, 베니크), метла/метла́(metlá, 메뜰라), щётка(ščótka)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sapu(사뿌, 사푸), penyapu(펜야뿌, 펜야푸)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chổi || || [[산스크리트어|{{{#373a3c,#ddd '''산스크리트어'''}}}]] ||झाडू, [[자루|झाड़ू(jha:ṛu:)]], सम्मार्जनी(sammārjanī) || ||<|2>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escoba(에스코바)(칠레, 아르헨티나), escobillón || ||escoba, barredoriu([[아스투리아스|아스투리아스어]]) || ||<|3>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مِكْنَسَة(miknasa), مِقْشَة(miqša), مكنسة || ||مقشة(maʾašša)([[이집트 아랍어]]) || ||شطابة(šaṭṭāba)([[아랍어 방언|모로코 방언]]) || ||<|2>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balailo(발라일로) || ||balayilo([[이도]]) || ||<|4> [[영어|{{{#373a3c,#ddd '''영어'''}}}]] ||[[브룸|broom]]([[브룸스틱|stick]])(브룸(스틱)), besom(비점)(대빗자루) || ||besma(베스마, 베즈마), besema([[고대 영어]]) || ||besme, brom([[중세 영어]]) || ||besom, bisom([[스코트어]]) || ||<|8>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scópa, ramàzza, granata(토스카나 방언) || ||ghernea, scuac([[라딘어]]) || ||spassuïa, spassuîa([[리구리아어]]) || ||uigghia(미누차노 방언)[*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88%84%EC%B0%A8%EB%85%B8|미누차노]]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의 코무네(시)로 미누차노 협곡이 있는데, 방언이 [[https://archive.ph/TuDy9|특이한 편]]이다. 토스카나가 과거에 에트루리아의 영역이었는데 산맥의 영향으로 고립된 [[에트루리아어]]가 아니냐는 말이 있다.] || ||scova, iscòba, iscóbulu, iscoba, iscopa, iscova([[사르데냐어]]) || ||scupa([[시칠리아어]]) || ||scove, balai([[프리울리어]]) || ||scoa, ramassa([[피에몬테어]]) || ||<|3>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호우키|[ruby(箒, ruby=ほうき)](hōki, 호우키), [ruby(帚, ruby=ほうき)](hōki, 호우키)]] || ||munnuwep([[아이누어]]) || ||[ruby(箒, ruby=ほーち)](hōchi), [ruby(帚, ruby=ほーち)](hōchi)([[오키나와어]])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ruby(扫帚, ruby=sàozhou)]([[정자(한자)|掃帚]]), [ruby(扫把, ruby=sàobǎ)](掃把) || ||<|2>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جاروب(jârub) || ||ҷоруб(jorub)([[타지크어]]) || ||<|2>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vassoura, vassoira || ||vasoira, vascullo, vasallo, coaña, varredoiro, balea([[갈리시아어]]) || ||<|3>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balai(발레) || ||cappia, mazzula([[코르시카어]]) || ||balain(고대 프랑스어)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מטאטא(mat'at'e)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가가우즈어|{{{#373a3c,#ddd '''가가우즈어'''}}}]] ||süpürgä || || [[게르만조어|{{{#373a3c,#ddd '''게르만조어'''}}}]] ||*besamo || || [[고대 동슬라브어|{{{#373a3c,#ddd '''고대 동슬라브어'''}}}]] ||вѣникъ(věnikŭ), метла(metla) || || [[구자라트어|{{{#373a3c,#ddd '''구자라트어'''}}}]] ||ઝાડુ(jhāḍu) || || [[나나이어|{{{#373a3c,#ddd '''나나이어'''}}}]] ||хапол || || [[나와틀어|{{{#373a3c,#ddd '''나와틀어'''}}}]] ||malinalli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be'zem, bezem(베점) || || [[네팔어|{{{#373a3c,#ddd '''네팔어'''}}}]] ||ਝਾੜੂ(jhāḍu) || || [[노가이어|{{{#373a3c,#ddd '''노가이어'''}}}]] ||сыпыргыш(sıpırgış) || || [[노르웨이어|{{{#373a3c,#ddd '''노르웨이어'''}}}]] ||sopelime, kost(보크몰) || || [[다우르어|{{{#373a3c,#ddd '''다우르어'''}}}]] ||xesur || ||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kost || || [[디베히어|{{{#373a3c,#ddd '''디베히어'''}}}]] ||ފިހިގަނޑު(fihigaⁿḍu) || || [[딩카어|{{{#373a3c,#ddd '''딩카어'''}}}]] ||wëc || || [[라디노어|{{{#373a3c,#ddd '''라디노어'''}}}]] ||skova || || [[라오어|{{{#373a3c,#ddd '''라오어'''}}}]] ||ຟອຽ(fǭi), ຄັນຍູ(khan nyū), ຍູປັດ(nyū pat), ລິ້ວຕາດ(liu tāt), ໄມ້ກວາດ(mai kuāt) || || [[라트비아어|{{{#373a3c,#ddd '''라트비아어'''}}}]] ||slota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레즈긴어'''}}}]] ||ккул(k̄ul), ттаран ккул(t̄aran k̄ul) || || [[로망슈어|{{{#373a3c,#ddd '''로망슈어'''}}}]] ||scua || || [[롬바르드어|{{{#373a3c,#ddd '''롬바르드어'''}}}]] ||scova, scua, scoa || ||<|3>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mătură || ||meturã(아루마니아 방언) || ||métură(메글로-루마니아어) || || [[룩셈부르크어|{{{#373a3c,#ddd '''룩셈부르크어'''}}}]] ||Biesem || || [[룬디어|{{{#373a3c,#ddd '''룬디어'''}}}]], [[르완다어|{{{#373a3c,#ddd '''르완다어'''}}}]] ||umukubuzo, umweyo || || [[리보니아어|{{{#373a3c,#ddd '''리보니아어'''}}}]] ||lūdõ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 '''리투아니아어'''}}}]] ||šluota || || [[림뷔르흐어|{{{#373a3c,#ddd '''림뷔르흐어'''}}}]] ||bessem || || [[링갈라어|{{{#373a3c,#ddd '''링갈라어'''}}}]] ||likombo || || [[마라티어|{{{#373a3c,#ddd '''마라티어'''}}}]] ||केरसुणी(kersuṇī) || || [[마리어|{{{#373a3c,#ddd '''마리어'''}}}]] ||са́лко(sálko) || || [[마사이어|{{{#373a3c,#ddd '''마사이어'''}}}]] ||ɔrɛ́t, l-piríyeét || || [[마야어|{{{#373a3c,#ddd '''마야어'''}}}]] ||míis(유카테크 방언) || || [[마오리어|{{{#373a3c,#ddd '''마오리어'''}}}]] ||puruma || || [[마케도니아어|{{{#373a3c,#ddd '''마케도니아어'''}}}]] ||метла(métla) || || [[마푸체어|{{{#373a3c,#ddd '''마푸체어'''}}}]] ||lepüwe || || [[만주어|{{{#373a3c,#ddd '''만주어'''}}}]] ||ᡝᡵᡳᡴ(eriku) || || [[말라가시어|{{{#373a3c,#ddd '''말라가시어'''}}}]] ||borosin-trano, famafa || || [[말라얄람어|{{{#373a3c,#ddd '''말라얄람어'''}}}]] ||ചൂല്(cūlŭ) || || [[몰타어|{{{#373a3c,#ddd '''몰타어'''}}}]] ||ġummar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БОГДОХ(복도흐), шүүр(shüür) || || [[미얀마어|{{{#373a3c,#ddd '''미얀마어'''}}}]] ||တံမြက်စည်း(tammrakcany:) || || [[바시키르어|{{{#373a3c,#ddd '''바시키르어'''}}}]] ||һепертке(hepertke) || ||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erratza || || [[밤바라어|{{{#373a3c,#ddd '''밤바라어'''}}}]] ||furalan || || [[베네토어|{{{#373a3c,#ddd '''베네토어'''}}}]] ||scóa, scoa, scova || ||<|2> [[베르베르어파|{{{#373a3c,#ddd '''베르베르어파'''}}}]] ||tašţţabt(중앙 아틀라스 베르베르어) || ||tasfatt, ⵜⴰⵎⴻⴷⵡⴰⵣⵜ(tamedwazt)(카빌리어)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мятла́(mjatlá), ве́нік(vjénik) || || [[발트핀어군|{{{#373a3c,#ddd '''벱스어'''}}}]] ||lud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자루|ঝাড়ু(jhaṛu)]] || || [[볼라퓌크|{{{#373a3c,#ddd '''볼라퓌크'''}}}]] ||svip || || [[부랴트어|{{{#373a3c,#ddd '''부랴트어'''}}}]] ||хамуур(xamuur) || || [[브르타뉴어|{{{#373a3c,#ddd '''브르타뉴어'''}}}]] ||skubelenn, balaenn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метла́(metlá) || || [[사모아어|{{{#373a3c,#ddd '''사모아어'''}}}]] ||salu, pulumu || || [[사하어|{{{#373a3c,#ddd '''사하어'''}}}]] ||сиппиир(sippiir), миинньик(miinńik)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метла/metla, метла̏ /metlȁ(방언) || || [[세부아노어|{{{#373a3c,#ddd '''세부아노어'''}}}]] ||silhig || ||<|2> [[소르브어|{{{#373a3c,#ddd '''소르브어'''}}}]] ||mjetawka, mjetla(고지 소르브어) || ||mjetła(저지 소르브어) || || [[소말리어|{{{#373a3c,#ddd '''소말리어'''}}}]] ||xaaqin, minfiiq || ||<|2> [[소토어|{{{#373a3c,#ddd '''소토어'''}}}]] ||lefielo || ||lefsiêlô, leswiêlô(북소토어) || || [[쇼나어|{{{#373a3c,#ddd '''쇼나어'''}}}]] ||mutsvairo || || [[쇼르어|{{{#373a3c,#ddd '''쇼르어'''}}}]] ||сыйбаш || || [[스라난 통고|{{{#373a3c,#ddd '''스라난 통고'''}}}]] ||sisibi || || [[스와힐리어|{{{#373a3c,#ddd '''스와힐리어'''}}}]] ||ufagio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viska(비스카), kvast, borste || || [[슬라브어파|{{{#373a3c,#ddd '''슬라브조어'''}}}]] ||*věnik, *metъla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 '''슬로바키아어'''}}}]] ||metla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métla || || [[슬라브어파|{{{#373a3c,#ddd '''슬로빈키아어'''}}}]] ||mjotła || || [[실레시아어|{{{#373a3c,#ddd '''실레시아어'''}}}]] ||mietła || || [[싱할라어|{{{#373a3c,#ddd '''싱할라어'''}}}]] ||කොස්ස(kossa) || || [[아디게어|{{{#373a3c,#ddd '''아디게어'''}}}]] ||пэнэ пхъэнкӏыпхъ(pănă pχănč̣̍əpχ) || ||<|2>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ավել(avel) || ||աւել(awel)(고대 아르메니아어)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아바르어'''}}}]] ||жул(žul)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아바자어'''}}}]] ||гӏвымсага(ʿvəmsaga), гӏвымсарга(ʿvəmsarga) || || [[아삼어|{{{#373a3c,#ddd '''아삼어'''}}}]] ||বাঢ়নী(barhoni), [[자루|জাৰু(zaru)]] || || [[아이마라어|{{{#373a3c,#ddd '''아이마라어'''}}}]] ||pichaña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sópur, kústur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süpürgə || || [[아프리칸스어|{{{#373a3c,#ddd '''아프리칸스어'''}}}]] ||besem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sópur, kústur, vöndur || || [[아이티 크레올어|{{{#373a3c,#ddd '''아이티 크레올어'''}}}]] ||bale || || [[앨라배마|{{{#373a3c,#ddd '''알라바마어'''}}}]] ||istitapaska || ||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fshesë, netullë || || [[알타이어|{{{#373a3c,#ddd '''알타이어'''}}}]] ||сибирги(sibirgi), јалмуур(ǰalmuur) || || [[암하라어|{{{#373a3c,#ddd '''암하라어'''}}}]] ||መጥረጊያ(mäṭrägiya) || || [[압하스어|{{{#373a3c,#ddd '''압하스어'''}}}]] ||аԥссага(apssaga), аҩымсаг(aʿ°əmsag) || || [[어웡키어|{{{#373a3c,#ddd '''어웡키어'''}}}]] ||дуннэвэ дэрпусивӯн(dunnəwə dərpusiwūn) || || [[우랄어족|{{{#373a3c,#ddd '''에르자어'''}}}]] ||тенсть(tenstʹ), тельме(telʹme)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luud || || [[에트루리아어|{{{#373a3c,#ddd '''에트루리아어'''}}}]] ||genista || || [[오로모어|{{{#373a3c,#ddd '''오로모어'''}}}]] ||harataa, hartuu || || [[오리야어|{{{#373a3c,#ddd '''오리야어'''}}}]] ||ଝାଡୁ(jhaḍu) || || [[오세트어|{{{#373a3c,#ddd '''오세트어'''}}}]] ||уисой(wisoj) || ||<|2> [[오크어|{{{#373a3c,#ddd '''오크어'''}}}]] ||escoba, balaja(Lengadocian) || ||escoba, baleja([[가스코뉴어]]) || || [[왈롱어|{{{#373a3c,#ddd '''왈롱어'''}}}]] ||ramon || || [[요루바어|{{{#373a3c,#ddd '''요루바어'''}}}]] ||ìgbálẹ̀, ọwọ̀ || || [[우드무르트어|{{{#373a3c,#ddd '''우드무르트어'''}}}]] ||исьнер(isʹner) || || [[북캅카스어족|{{{#373a3c,#ddd '''우디어'''}}}]] ||мугул(mugul)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supurgi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мітла́(mitlá), ві́ник(vínyk) || || [[월로프어|{{{#373a3c,#ddd '''월로프어'''}}}]] ||bale || || [[위구르어|{{{#373a3c,#ddd '''위구르어'''}}}]] ||سۈپۈرگە/сүпүргә(süpürge) || ||<|3> [[이누이트어|{{{#373a3c,#ddd '''이누이트어'''}}}]] ||ᓴᓂᐅᑎᒃ(saniutik) || ||salikkuun(이누피아툰) || ||saligutit([[그린란드어|칼랄리숫(그린란드어)]]) || || [[이디시어|{{{#373a3c,#ddd '''이디시어'''}}}]] ||בעזעם(bezem) || || [[이보어|{{{#373a3c,#ddd '''이보어'''}}}]] ||azịza || || [[인구시어|{{{#373a3c,#ddd '''인구시어'''}}}]] ||нув(nū) || || [[인테르링구아|{{{#373a3c,#ddd '''인테르링구아'''}}}]] ||scopa || ||<|3>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ცოცხი(cocxi) || ||ოქოსალე/okosale([[라즈어]]) || ||ლანგავ(langav)([[카르트벨리어족|스반어]]) || || [[줄루어|{{{#373a3c,#ddd '''줄루어'''}}}]] ||umshanelo, umshayelo || || [[차모로어|{{{#373a3c,#ddd '''차모로어'''}}}]] ||eskoba || || [[체로키어|{{{#373a3c,#ddd '''체로키어'''}}}]] ||ᎬᏃᏌᏍᏗ(gvnosasdi) || || [[체첸어|{{{#373a3c,#ddd '''체첸어'''}}}]] ||нуй(nuj), девзиг(dewzig) || ||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koště, smeták, metla || || [[추바시어|{{{#373a3c,#ddd '''추바시어'''}}}]] ||шӑпӑр(šăp̬ăr) || || [[카탈루냐어|{{{#373a3c,#ddd '''카탈루냐어'''}}}]] ||escombra || || [[칸나다어|{{{#373a3c,#ddd '''칸나다어'''}}}]] ||ಪೊರಕೆ(porake) || || [[카라차이-발카르어|{{{#373a3c,#ddd '''카라차이-발카르어'''}}}]] ||агъач сибиртги(ağaç sibirtgi) || || [[카라칼파크어|{{{#373a3c,#ddd '''카라칼파크어'''}}}]] ||сипсе || || [[카렐어|{{{#373a3c,#ddd '''카렐어'''}}}]] ||vastu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сыпырғыш(sıpırğış) || || [[케추아어|{{{#373a3c,#ddd '''케추아어'''}}}]] ||pichana || ||<|6> [[켈트어파|{{{#373a3c,#ddd '''켈트어파'''}}}]] ||scuab([[아일랜드어]]) || ||skeab([[맨어]]) || ||sguab([[스코틀랜드 게일어]]) || ||ysgubell([[웨일스어]]) || ||skubel, skubyllen([[콘월어]]) || ||scúap(중세 아일랜드어) || || [[코미어|{{{#373a3c,#ddd '''코미어'''}}}]] ||рос(ros) || || [[코사어|{{{#373a3c,#ddd '''코사어'''}}}]] ||umtshayelo || ||<|2> [[쿠르드어|{{{#373a3c,#ddd '''쿠르드어'''}}}]] ||گسک(gisk)(소라니 방언) || ||gezik(쿠르만지 방언) || || [[쿠미크어|{{{#373a3c,#ddd '''쿠미크어'''}}}]] ||сибиртги || || [[크리어|{{{#373a3c,#ddd '''크리어'''}}}]] ||ᐍᐸᐦᐃᑲᐣ(wepahikan), ᐍᐹᐦᑕᑲᐦᐃᑲᐣ(wepaahtakahikan) || || [[크림 타타르어|{{{#373a3c,#ddd '''크림 타타르어'''}}}]] ||азбар сипиркиси, чалы сипиркиси, ᠱᠦᠭᠦᠷ(šügür), azbar sipirkisi, çalı sipirkisi || || [[크메르어|{{{#373a3c,#ddd '''크메르어'''}}}]] ||អំបោស(ʼɑmbaoh) || || [[키르기스어|{{{#373a3c,#ddd '''키르기스어'''}}}]] ||шыпыргы(şıpırğı) || || [[타밀어|{{{#373a3c,#ddd '''타밀어'''}}}]] ||துடைப்பம்(tuṭaippam) || || [[타타르어|{{{#373a3c,#ddd '''타타르어'''}}}]] ||себерке(seberke) || || [[타히티어|{{{#373a3c,#ddd '''타히티어'''}}}]] ||purūmu, porōmu || ||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Süpürge(수퓔게)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ไม้กวาด(máai-gwàat) || || [[테툼어|{{{#373a3c,#ddd '''테툼어'''}}}]] ||ai saar || || [[텔루구어|{{{#373a3c,#ddd '''텔루구어'''}}}]] ||చీపురు(cīpuru) || || [[토파어|{{{#373a3c,#ddd '''토파어'''}}}]] ||метлаа, меэник, мииник || ||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sübse || || [[투바어|{{{#373a3c,#ddd '''투바어'''}}}]] ||ширбиил(şirbiil), ширбииш(şirbiiş), туужуур(tuujuur) || || [[티그리냐어|{{{#373a3c,#ddd '''티그리냐어'''}}}]] ||መኾስተር(mäxostär), መዀስተር(mäxʷästär) || ||<|3> [[티베트어|{{{#373a3c,#ddd '''티베트어'''}}}]] ||ཕྱགས་མ(phyags ma) || ||ཀོམུ།/कोमु(komu)([[셰르파|셰르파어]]) || ||ཕྱགསམ(phyagsm)([[종카어]]) || || [[파슈토어|{{{#373a3c,#ddd '''파슈토어'''}}}]] ||رېبز(rebz) || || [[파피아멘토어|{{{#373a3c,#ddd '''파피아멘토어'''}}}]] ||basora || || [[펀자브어|{{{#373a3c,#ddd '''펀자브어'''}}}]] ||[[자루|ਝਾੜੂ(jhāṛū)]] || || [[폴라브어|{{{#373a3c,#ddd '''폴라브어'''}}}]] ||metlă || ||<|2>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miotła, szczotka, miotło(방언) || ||miotła ([[카슈브어]]) || || [[프리지아어|{{{#373a3c,#ddd '''프리지아어'''}}}]] ||biezem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luuta, katuharja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walis, walis-tambo || || [[하와이어|{{{#373a3c,#ddd '''하와이어'''}}}]] ||pūlumi || || [[하우사어|{{{#373a3c,#ddd '''하우사어'''}}}]] ||másháaríi || || [[하카스어|{{{#373a3c,#ddd '''하카스어'''}}}]] ||сыбырғы(sıbırğı) || || [[한티어|{{{#373a3c,#ddd '''한티어'''}}}]] ||ёвӆапса(ëwłapsa)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partvis(파트비스), söprű(세푸루) || ||<|2>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बढ़नी(baṛḥnī:), मार्जनी(ma:rjanī:, maarjanee, 말자니), [[자루|झाड़ू(jha:ṛu:)]] || ||جھاڑو(jhāṛū)([[우르두어]]) ||}}}}}}}}} || == [[빗자루질(교통)|은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빗자루질(교통))] 버스, 철도, 항공 등 대중교통에서 배차 간격이 엄청나게 짧은 노선을 일컫는 동호인계의 [[은어(언어학)|은어]]. 아마도 디시인사이드 버스 갤러리에서 [[경기광주 버스 65]]의 위엄을 보고 "승객을 빗자루로 쓸어 담아간다"는 뜻으로 빗자루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그 기원. 이후로 빗자루라는 낱말이 지닌 오묘함 덕분에 다른 교통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쓰이기 시작했다. 자세한 건 [[빗자루질(교통)|문서]]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깨비, version=1150)] [[분류:청소용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