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건담 빌드 파이터즈/등장 건프라]][[분류: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 '''GAT-X105B/GC 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 [br]{{{-1 ビルドストライクギャラクシーコスモス | Build Strike Galaxy Cosmo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ildStrikeGalaxyCosmos.png|width=100%]]}}} || || 스타 시스템 발동 || [목차] == 개요 == [[빌드 스트라이크 코스모스]]를 개량한 형태로,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의 최종 강화형. 그리고 [[이오리 세이]]만의 진정한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 특징 == 기존의 [[스타 빌드 스트라이크]], [[빌드 스트라이크 코스모스]]와 마찬가지로 전신 풀 프레임을 이용한 RG시스템과 별도로 스타 시스템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본체 뿐만 아니라 백팩인 갤럭시 부스터에도 프레임이 있어 [[더블오 라이저|입자 저장량 자체가 장난이 아니다.]] 또한 이 RG 시스템 + 스타 시스템을 발동할 때, 갤럭시 부스터의 날개 12장이 모두 펼쳐지는데 이 때 GN 입자처럼 녹색의 프라프스키 입자가 뿜어져 나와 기체의 출력이 극한까지 상승하는 걸로 보이며 매뉴얼에는 12장의 날개가 일정 범위 내의 입자를 제어하는 기능도 있다고 한다. === 추가 기능 === 전술했는 기존 기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 코스모 실드 ==== 기존의 업소브 실드 같이 실드의 패널이 열리는 방식이 아닌, 파워 게이트를 전개해서 방어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스타 시스템 ==== === 갤럭시 부스터 === 메뉴얼의 설명으론 등의 백팩은 분리해서 갤럭시 부스터라는 지원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디스차지와 RG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매뉴얼에서는 RG 시스템과 파워 게이트를 형성해 파워 게이트를 통과하는 빔의 위력을 높히고, 파워 게이트를 기체가 통과하면 기체의 스피드가 올라가는 것에 대해[* 각각 스타 시스템의 디스차지 라이플 모드, 디스차지 스피드 모드] 설명하고 있는데 RG 시스템과 스타 시스템을 동시에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단 이 경우 조작이 극히 힘들어진다고 한다. 이게 얼마나 사기냐면 [[이론상 최강|스피드 모드의 초고속 이동과 라이플 모드의 강력한 일격, RG의 극한까지의 기체 출력 강화, 업소브 필드의 단점인 실체 공격은 스타 시스템을 이용한 쉴드의 강화 및 완력 강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작중 활약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5화에서 등장한다. [[유우키 타츠야]]의 신규 건프라인 [[A-Z 건담]]과의 건프라 배틀했으며, 승패 결과는 무승부라지만 세이는 자신의 패배에 가까운 무승부라고 평했다. 승패 자체를 떠나서 그닥 보여준 게 없기도 하다. 그나마 커버를 쳐줄 것이 있다면 전투 중 대기권에 끌려가게 되어서 생긴 파손이 더 크다는 거다. 물론 A-Z 건담이 [[웨이브 라이더]]로 변해서 막아줘서 저 정도로 끝난 거다. A-Z 건담도 손상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원작의 웨이브 라이더의 설정이 반영된건지 손상이 덜한 편이었다. ==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모형화|모형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빌드 스트라이크 건담/모형화)] == 기타 == * 작중에서 "RG...스타 시스템 동시 발동!"이라는 대사 때문에 이 기체의 시스템이 "RG 스타 시스템"이라고 오해하는 팬들도 있지만 해당 대사는 RG 시스템과 스타 시스템을 동시 발동한다는 의미다. RG 시스템을 이야기할 땐 시스템이라는 말을 생략한 것 뿐이며, RG 스타 시스템이란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version=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