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black 빋}}}''' || || '''[[유니코드|{{{#fff,#000 유니코드}}}]]''' || BE4B || || '''[[완성형|{{{#fff,#000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ㅂ+ㅣ+ㄷ || || '''[[두벌식|{{{#fff,#000 두벌식}}}]]–[[QWERTY|{{{#fff,#000 QWERTY}}}]]''' || qle || || '''[[세벌식|{{{#fff,#000 세벌식}}}]] 최종–[[QWERTY|{{{#fff,#000 QWERTY}}}]]''' || ;dA ||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fff,#000 현행 로마자 표기}}}]]''' || bit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fff,#000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pit/bit || [목차] [clearfix] == [[영어]] [[비트|bit]] == >'''명사''' >1. 조금, 약간(=a little) >2. (시간이나 거리가) 잠깐[조금] >3. (양·수의) 조금; 한 조각[가지] >4. 부분, 일부 >5. 많음 >6. 비트(컴퓨터 이용 정보량 최소 단위) >7. (말의 입에 물리는) 재갈 >8. 비트(천공기 끝에 부착하는 날) >9. '''비트(12½ 센트에 해당하는 금액) >10. 성기, 거시기 >---- >옥스퍼드 영한사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트)] == [[영어]] bid == >'''동사''' >1. (특히 경매에서) 값을 부르다[제의하다] >2. 입찰에 응하다, 응찰하다(=tender) >3. [V to inf 특히 신문에서] (…하려고) 애쓰다(=attempt) >4. (일부 카드 게임에서 자기가 딸 예상 점수[패]를) 부르다, 비드하다 > >'''명사''' >1. 가격 제시, 호가 >2. 응찰(=tender) >3. [특히 신문에서] 노력 >4. (일부 카드 게임에서) 자기가 딸 예상 점수[패] 부르기, 비드하기 >{{{#!folding [내용 더보기] 1. 격식 ~ (sb) good morning, farewell, etc. '''(인사를) 하다, (작별을) 고하다''' 2. 옛글투 또는 문예체 '''(…하라고) 말하다[명령하다]'''}}} >---- >옥스퍼드 영한사전 == [[값]]의 옛말 == >일훔난 됴 오시 '''비디''' [[千]][[萬]](천만)이 며 '''빋'''업슨 오로 부텨와 괏그 [[布]][[施]](보시)며. >(이름난 좋은 옷이 '''값이''' 천만이 나가며 '''값'''비싼 옷으로 부처와 중에게 보시하며.) >---- >'''<<[[석보상절/13권|석보상절]] 13:22>> 中''' >우리 것 둘히 내 '''비들''' 모시리니 내 모맷 '''비든''' [[金]] [[二]][[千]][[斤]](금 이천석)이오 내 욘 아 '''빋'''도 가지니다. >(우리 상전 둘이 내 '''값을''' 모르실 것이니 내 몸의 '''값은''' 금 이천 석이고 내가 밴 아기의 '''값'''도 마찬가지입니다.) >---- >'''<<[[월인석보]] 8:95>> 中''' 비싸다는 의미의 [[형용사]]로 바꾸면 '''__빋__다'''가 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값)] == [[빚]]의 옛말 == >네 내 목수믈 지며 내 네 '''비들''' 가파 이 [[因]][[緣]](인연)로 [[百]][[千]][* '아주 많은 수'라는 뜻이다.] [[劫]](백천 겁)을 디나[*원문 汝負我命, 我還汝債, 以是因緣, 經百干劫.] >(네가 내 목숨을 지며 네가 내 '''빚을''' 갚아 이 인연으로부터 백천 겁을 지나되.) >---- >'''<<[[능엄경언해]] 4:31>> 中''' >[[債]] '''빋''' 채. >---- >'''<<[[훈몽자회/하권|훈몽자회]] 하:10>> 中'''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빚)] == [[빛]]의 옛말 == >잠 쟉고 폐장은 노푀 되니 '''빋'''치 희고 크고 심장은 반이 되니 >(잠깐 작고 폐장은 노폐 되니 '''빛'''이 희고 크고 심장은 반이 되니) >---- >'''≪1608 언두 상:3ㄱ≫ 中''' 정확히는 근대까지 빗, 빛, 빋을 혼용하며 썼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빛)] == [[빗]]의 [[동남 방언|경상북도 방언]] == >아들이 '''빋'''을 몬 빨두룩 해라. >(아이들이 '''빗'''을 못 빨도록 해라.) >---- >예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빗)] == [[빛]], [[빚]], [[빗]], [[빘]], [[빝]]의 동음이자[* '발음은 같으나 글자가 다른 것. 또는 그 글자.'라는 뜻이다.] == '''빛, 빚, 빗''' 등은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은 '빋'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이를 동음이자의 예시로 든다. 각 글자에 대한 내용은 [[빛]], [[빚]], [[빗]], [[빘]], [[빝]] 문서 참고.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