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Vincze Jenő.jpg|width=100%]] || || 이름[* 헝가리 출신 인물은 성+이름의 조합으로 이름을 표기하고 항목명도 그에 따랐다. 다만 인터넷 검색을 하려면 서양식으로 이름+성의 순으로 검색하는 게 더 찾기 쉽다. 서양식 이름으로도 이 항목에 들어올 수 있다.] ||빈체 예뇌[br](Vincze Jenő) || || 생년월일 ||[[1908년]] [[11월 20일]] || || 사망년월일[* 출처는 [[트랜스퍼마크트]]. 영어 위키피디아에는 사망월일이 나와있지 않고 헝가리어 위키피디아에는 생일과 같은 11월 20일로 기재되어 있다.] ||[[1988년]] [[11월 30일]] (향년 80세) || || 국적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8]] [[헝가리 인민 공화국]] || || 출신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베르셰츠[* 현재 [[세르비아]] 브르샤츠(Vršac)로 빈체가 태어났을 때 브르샤츠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토였다.] || || 포지션 ||아웃사이드 라이트 || || 신체조건 ||173cm / 75kg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데브레체니 바슈타시 (1925-1927)[br][[데브레첸 VSC|데브레체니 보슈카이 FC]] (1927-1934)[br]'''[[우이페슈트 FC]] (1934-1944)''' || || 국가대표 ||25경기 8골 (1930-1939) || || 감독 ||[[우이페슈트 FC|우이페슈티 TI]] (1947-1948)[br]바샤스 이조 (1955)[br][[세르베트 FC]] (1957-1959)[br][[FC 바젤]] (1959-1961)[br][[SpVgg 그로이터 퓌르트]] (1961-1964)[br][[1. FC 뉘른베르크|FC 뉘른베르크]] (1966)[br]1. FC 슈바인푸르트 05 (1967-1971)[br][[SpVgg 바이로이트]] (1971-1975) || [목차] [clearfix] == 개요 == [[헝가리]]의 전 축구 감독.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빈체의 첫 클럽은 데브레체니 MTE였고 1925년에 데뷔했다. 1926년 지구 우승을 차지하고 전국 리그에 나갔지만 8강에서 팀이 탈락했다. 프로화를 맞이하여 1926년, 새로운 축구팀 [[데브레첸 VSC|데브레체니 보슈카이 FC]]가 [[데브레첸]]을 연고로 창단되었고 1927년 2부 리그에서 1부 리그 승격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보슈카이는 더 큰 성장을 위해 빈체를 영입하였다. 보슈카이는 나름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1933-34 시즌엔 리그 3위, 1930년에는 마자르 쿠파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빈체 역시 1930-31 시즌에 [[넴제티 버이녹샤그 I]] 득점왕을 차지하며 보수카이를 대표하는 스타로 떠올랐다. 빈체는 1934년 [[우이페슈트 FC]]로 이적하였고 이 곳에서 10시즌을 보냈다. 우이페슈트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이탈리아 월드컵]] 당시 주장이었던 [[슈테른베르크 라슬로]] 등을 앞세워 [[넴제티 바이녹사그 I]]을 호령하던 강팀이었고[* 대표팀 동료였던 아웃사이드 레프트 [[페테르 서보 가보르]]도 있었지만 서보는 1933-34 시즌을 마치고 팀을 떠났다.] 빈체는 [[구트먼 벨러]]의 지휘 아래 [[젠겔레르 줄러]]와 호흡을 맞추며 2차례의 우승을 맛보았다. 1939년 미트로파 컵 우승은 덤.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빈체의 A매치 첫 경기는 1930년 6월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전이었고 헝가리는 2대1로 승리했다. 하지만 빈체가 헝가리 대표팀에서 다음 경기를 치르는데엔 3년이란 시간이 걸렸고 1934년 이후에야 대표팀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빈체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이탈리아 월드컵]]에 참가하여 [[이집트]]전에서 팀의 3번째 골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것이 빈체의 대표팀 첫 골이었다. 이후에는 1936-38년의 네이션스 컵과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에 참가하였다. 빈체는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1.3|8강]]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전과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 이후#s-4.1|결승전]]에 출전하였고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빈체의 대표팀 마지막 경기는 1939년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와의 경기였고 통산 25경기에 출전하여 8골을 기록했다. === 감독 생활 === 선수 생활을 마친 빈체는 1947년, 자신이 마지막에 몸담았던 [[우이페슈트 FC|우이페슈티 TI]]에서 감독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일어나고 [[소련군]]이 들이닥치자 빈체는 [[헝가리]]를 떠났고 다시는 고향에 돌아가지 않았다. 1957년부터 [[스위스 슈퍼 리그|나티오날리가]]의 세르베트와 [[FC 바젤]]에서 감독 생활을 했고 1961년에는 독일로 건너갔다.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를 거쳐 1964년부터 [[1. FC 뉘른베르크|FC 뉘른베르크]]의 아마추어팀 감독직을 수행했다. 그 와중에 1966년 팀이 강등 위기에 몰리자 빈체가 내부 승격을 통해 1군팀의 감독이 되었다. 하지만 빈체도 4경기에서 2무 2패에 그치며 강등 위기가 계속되자 한 달만에 빈체는 해고당하고 말았다.[* 뉘른베르크는 이후에 정신을 차려 결국 10위로 시즌을 마무리하긴했다.] 그 이후에는 1. FC 슈바인푸르트 05와 [[SpVgg 바이로이트]]의 감독으로 팀을 이끌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한 방이 있는데다 기술이 빼어나고 수비 가담 능력도 어느 정도 갖추었다고 한다. == 수상 == === 클럽 ===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우승 2회: 1934–35, 1938–39([[우이페슈트 FC]]) * 마자르 쿠파 우승 1회: 1929-30([[데브레첸 VSC|데브레체니 보슈카이 FC]]) * 미트로파 컵 우승 1회: 1939(우이페슈트 FC)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준우승 4회: 1935–36, 1937–38, 1940–41, 1941–42(우이페슈트 FC) === 국가대표 === * [[FIFA 월드컵]] 준우승 1회: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 개인 === * [[넴제티 버이녹샤그 I]] 득점왕 1회: 1930–31([[데브레첸 VSC|데브레체니 보슈카이 FC]]) === 감독 === * 스위스 컵 준우승 1회: 1958-59([[세르베트 FC]]) [각주] [[분류:1908년 출생]][[분류:1925년 데뷔]][[분류:1944년 은퇴]][[분류:1988년 사망]][[분류:남바나트구 출신 인물]][[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외국의 실향민]][[분류:데브레첸 VSC/은퇴, 이적]][[분류:우이페슈트 FC/은퇴, 이적]][[분류:우이페슈트 FC/역대 감독]][[분류:FC 바젤/역대 감독]][[분류: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역대 감독]][[분류:1. FC 뉘른베르크/역대 감독]][[분류:1. FC 슈바인푸르트 05/역대 감독]][[분류:SpVgg 바이로이트/역대 감독]][[분류:헝가리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