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중국의 성씨|중화권]], [[월남]]의 [[성씨]]. [[한국의 성씨]]로는 賓, 彬 두 종류가 있다. == [[賓]]([[손님|손]] 빈) == 수성([[대구광역시]] [[수성구]]), [[담양]], [[영광]] 세 [[본관]]이 있다. [[고려]] [[원종(고려)|원종]]대 [[태자]](후의 [[충렬왕]])의 [[왕후]]가 될 [[제국대장공주]]를 [[호위]]하여 [[원나라]]에서 들어온 빈은후(賓殷厚)를 기원으로 한다. 그의 손자 빈서기(賓瑞奇)가 [[카다안의 침입]] 때 공을 세워 수성군(壽城君)에 봉해졌다. [[중시조]]는 수성현(壽城縣) 출신의 빈우광(賓宇光)인데 [[정동행성]]에서 치러진 [[과거 제도|과거]]에 급제하여 원나라로 가 [[한림원|한림학사]]를 역임하다가 수많은 서적을 갖고 고려로 돌아왔고 [[충숙왕]]은 이 공으로 그를 수성군에 봉했다. 2015년 인구조사에서 5,593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빈씨의 97%를 차지. === 인물 === * 빈은후 * 빈서기 * 빈우광 * [[빈지태]] - 경상남도 함안군 제2선거구 도의원 * [[빈찬욱]] - 배우 * [[빈하늘]] - [[아이돌학교]] 참가자 * 빈태환 - 드라마 촬영감독 == [[彬]](빛날 빈) == 대구, [[달성]] 두 본관이 있는데, 모두 대구와 동조동원으로 보인다. 1930년 국세조사 당시 대구 9가구, 본관 불명 1가구 등 전국에 10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모두 [[경성부]]와 [[경기도]] [[광주시|광주]], [[용인시]], [[이천시]] 등지에 살고 있었다. 이들 중 당시 경기도 [[용인군]] 수여면 운학리(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 살던 빈영선(彬永先)씨는 자신의 선조는 [[몽골인]]으로, [[청나라]] [[광서제]] 때 원외랑(員外郞)을 지낸 빈문(彬文)인데 빈문이 당시로부터 20대 이전 [[대구광역시]]로 이주해 오면서 살게 되었다고 하였으며, 용인군 포곡면 삼계동(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살던 빈봉구(彬鳳求)씨는 지금으로부터 약 450년 전 대구에서 지금의 위치로 이주해 왔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 증언을 토대로 보면, 청 [[광서제]] 때 원외랑을 지낸 빈문이 우리나라 빈씨의 시조라고 할 수 있으며, 그가 대구에 정착하여 살았기 때문에 본관을 대구로 유지해온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같은 시기 [[용인군]] 수여면 김량장리(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살았던 빈문현(彬文顯)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5061900209203028&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25-06-19&officeId=00020&pageNo=3&printNo=1756&publishType=00020|1925년 6월 19일자 동아일보 기사]]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006070020910301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40-06-07&officeId=00020&pageNo=3&printNo=6754&publishType=00010|1940년 6월 7일 동아일보 기사]] 등에서 [[궁술]]선수로 전조선 궁술대회에 참여한 사실이 확인된다. 2015년 조사에서 169명으로 위의 빈씨보다 월등히 적다. === 인물 === * 빈문 * [[빈약한]]-[[Wall Su]] 등장인물 == 대중매체 == 현실에서는 매우 적은 [[희귀 성씨]]이지만 의외로 세련되고 고귀하면서 화려한 어감 때문에 [[반(성씨)|반씨]], [[은(성씨)|은씨]]처럼 [[로맨스 소설]], [[무협 로맨스]], [[양로소]], [[일진물]], [[할리퀸]] [[인터넷 소설]] 등 '''매체에서 오히려 훨씬 더 출연하는 [[성씨]]이다.'''[* 서브컬처를 통해 잘 알려진 성씨라며 [[김동화]] 화백의 만화 [[요정 핑크]]에 등장한 인물인 빈씨 때문이라고 알려졌는데,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해당 인물은 성이 빈씨가 아니라 이름이 '빈'이기 때문. 작중에서 사진 전시회에 출품된 빈씨의 작품 아래에 '출품자: 빈'이라고 쓰여 있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빈의 아버지도 아들을 이름으로 부른다.] [[분류:성씨/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