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빈 디젤,영어명=VIN DIESEL,분야=영화,입성날짜=2013년 8월 26일,위치=7000)] ||<-2>
'''{{{+1 빈 디젤}}}[br]Vin Dies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디젤.jpg|width=100%]]}}} || || '''본명''' ||마크 싱클레어[br]Mark Sinclair|| ||<|2> '''출생''' ||[[1967년]] [[7월 18일]] ([age(1967-07-18)]세) || ||[[캘리포니아]] 주 앨라매다 카운티[* 이 지역에 [[오클랜드(미국)|오클랜드]]가 있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84cm[* 183cm인 [[성 강]]보다 조금 크고 185cm인 [[존시나]]보다 조금 작은 걸 보면 184cm정도로 추정.], 102kg || || '''데뷔''' ||[[1990년]] || || '''가족''' ||배우자 팔로마 히메네즈^^(2007년~현재)^^[br]딸 하니아 라일리 싱클레어^^(2008년생)^^[br]아들 빈센트 싱클레어^^(2010년생)^^[br]딸 폴린 싱클레어^^(2015년생)^^[* 팀 멤버로 떠난 [[폴 워커]]의 추모 의도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성우]], [[프로듀서]]. 대표작으로는 [[분노의 질주]], [[트리플 엑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실사영화 시리즈|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 [[리딕]]이 있다. 빈 디젤은 별명이며, 본명은 마크 싱클레어 '빈센트'[* 부모님의 성씨이다. 본인은 싱클레어를 성씨로 사용하고 있다.]이다. 빈 디젤이라는 이름은 '빈센트'의 약칭인 '빈'에 친구들이 그에게 붙여준 별명 '[[디젤]]'을 더해서 지은 예명이다. 여담으로 흑백 혼혈이다. == 활동 == 1990년에 데뷔하였으며, 1994년부터는 직접 감독, 프로듀서, 각본, 주연을 혼자서 맡은 작품들도 발표하고 총책임 제작자 및 성우도 하는 등 다방면에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분노의 질주' 시리즈가 빈 디젤이 출연뿐만 아니라 4편 이후부터는 프로듀서까지 맡았던 영화로 유명하다. 빈 디젤은 분노의 질주 4편 개봉 이후에 단편 영화 《로스 반돌레로스》(Los Bandoleros)를 제작했는데, 이 작품은 본인이 직접 [[각본]], [[프로듀서]], [[감독]], [[주연]]을 모두 맡은 작품이다. 내용은 4편의 초반에 나오는 부분의 프리퀄. 30대 초반이 되어서 3가지 작품에서 인상을 남겼다. [[1998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걸작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에이드리언 카파조 일병 역할로 출연했고,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좋은 평가를 받았던 애니메이션 《[[아이언 자이언트(애니메이션)|아이언 자이언트]]》에서 성우로 출연했으며, [[리딕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인 《[[에이리언 2020]]》에서 리처드 B. 리딕 역할로 나왔다. 이후 무명에 가까웠던 그를 일약 단번에 톱스타로 만들어 준 영화가 나오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분노의 질주]]》다. 빈 디젤이 부 주인공으로 스트리트 레이서 [[도미닉 토레토]]를 연기한 이 작품은 북미 지역에서만 1억 4,0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며 미국내에서 초 대박을 쳤다. 이 작품의 압도적인 수혜자로 단숨에 스타가 된 그는 자신을 도미닉 토레토 역할에 캐스팅 해준 롭 코언 감독에게 고마움을 느껴 분노의 질주 2가 아니라 《[[트리플 엑스]]》를 롭 코언 감독과 함께 작업하는데 《분노의 질주》만 하더라도 100만 달러 남짓이었던 출연료가 무려 10배나 뛰어올라 1,000만 달러라는 고액의 출연료를 받아 순식간에 달라진 그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품 역시 흥행에 큰 성공을 거두며 빈 디젤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연이은 성공 행진으로 몸값이 올라간 덕분에 [[리딕 시리즈]]의 두 번째 영화 《[[리딕 - 헬리온 최후의 빛]]》은 1억 달러가 넘어서는 커다란 예산의 블록버스터로 나올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전편에 비해 너무나 달라진 작품 분위기와 세계관 등 매끄럽지 못한 작품성으로 흥행에 실패하게 된다. 이후 갑작스런 가족 코미디로 일부에서는 당혹스럽기도 했다는 평을 듣는 《패시파이어》에 출연했으며, 흥행에서 성공을 거두며 건재함을 알렸다. 액션 스타라는 이미지와 다르게 빈 디젤은 직접 정식으로 배우로 데뷔하기 전까지 직접 각본도 쓰고 연출도 하며 인디 영화를 찍기도 했던 만능 엔터테이너 이미지에 가까웠다. 그런 탓인지 그 이미지를 깨보려고 정극에 도전하며 명장 [[시드니 루멧]]의 《파인드 미 길티》 같은 저예산의 비상업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는데 그 덕분에 기존 이미지와 180도 다른 살찌고 어눌한 아저씨 역을 훌륭하게 소화했다는 평을 들으며 영화를 그가 이끌고 갔다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2010년대에도 여전히 [[분노의 질주 시리즈]]가 흥행 신기록을 계속 올리고 있으며, 이미 40대 중반을 넘겼지만 일부러 야생 생활도 하고, 몸 관리를 철저히 하면서 흥행 실패로 속편이 나오기 어려울 것 같았던 [[리딕 시리즈]]도 다시 부활하여 세번째 영화인 《[[리딕(2013)]]》에 출연하였고, [[마블 스튜디오]]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에서 외계 나무인간 [[그루트]]의 성우 및 모션 캡처 담당 역할로 나오고,[* 대사는 아이엠 그루트밖에 없지만 인기가 많아서 아이언맨 다음으로 출연료를 많이 받는다.] 분노의 질주 8편, 《라스트 위치 헌터》 등 2015~2017년에 개봉 예정인 작품 중 공개된 것만으로도 이미 3가지 작품에 참여했다. 또한 [[아이스 큐브]]로 주인공이 교체된 '''트리플 엑스''' 시리즈에 다시 컴백했다. 영화의 부제는 ''' "잰더 케이지"의 귀환'''이다. 하지만 로튼 토마토 기준 42%로 반응이 매우 좋지 않고 전작의 팬들에게도 악평을 듣는 등 전체적으로 평가가 굉장히 나쁘다. 전형적인 중국자본의 틀을 가진 영화로 뜬금없는 설정과 과장된 조연들로 처참한 비평을 받았다. 하지만 원조 트리플 엑스의 귀환을 반긴 전작의 팬들이 많았는지 흥행은 제법 성공해 손익분기점을 넘기고도 약 1억 달러의 수익을 거두어 들이는 등 흥행에는 성공했다. 2020년작인 《[[블러드샷]]》이 흥행과 비평에서 실패하면서 연기 스펙트럼이 [[분노의 질주]] 도미닉 토레토 역할에 갇혔다는 평가가 많아졌다. 특히 갈등을 빚기도 했던 [[드웨인 존슨]]과 비교되는데 비슷한 마초적 매력으로 《[[쥬만지]]》와 《[[블랙 아담]]》 등 대형 프랜차이즈를 연이어 성공시키고 캐스팅 되는데 반해, 빈 디젤은 《[[라스트 위치 헌터]]》부터 흥행에 성공한 작품이 의외로 많지 않다. 주로 '''패밀리'''를 강조하는 1020 남성 타겟, 액션 영화만 주로 출연해 이미지 역시 그에 맞춰져 있다. 미국판 "으~리", [[김보성]]이나 전성기의 [[스티븐 시걸]]이 연상된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그만큼 타겟 관객층과 연기 스펙트럼이 제한적이라는 이야기. 대학 시절엔 각본을 썼으며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 그를 캐스팅한 이유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빈 디젤 또한 그때 출연료를 얼마 받았는지 기억할 정도로 자신의 커리어에서 상징적으로 생각한다. 딱 1만 달러 받았다고..] 트리플 엑스를 함께 작업했던 [[아시아 아르젠토]]는 빈 디젤을 두고 "[[뇌섹|그의 가장 섹시한 신체부위는 바로 두뇌]]"라고 이야기했을 정도이다. 2016년 7월 말, 영화배우 출신으로 페이스북 팔로워 숫자를 1억 명을 돌파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보통 페이스북 팔로워 숫자는 팝 가수들이 제일 많고 할리우드 배우는 상대적으로 팝 가수들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다. == 출연작 == == 영화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활동''' || || 1997년 || [[제5원소]] || 목소리 출연 || 단역 || || 1998년 || [[라이언 일병 구하기]] || 애드리안 카파르조 일병 || 주연 || || 1999년 || [[아이언 자이언트(애니메이션)|아이언 자이언트]] || 아이언 자이언트 || 주연 || ||<|2> 2000년 || [[에이리언 2020]] || 리차드 B. 리딕 || 주연 || || 보일러 룸 || 크리스 바릭 || 주연 || ||<|2> 2001년 || '''[[분노의 질주(영화)|분노의 질주]]'''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넉어라운드 가이스 || || 주연 || || 2002년 || '''[[트리플 엑스]]''' || '''샌더 케이지''' || 주연 || || 2003년 || 빈 디젤의 디아블로 || 션 베터 || 주연 || || 2004년 || '''[[리딕 - 헬리온 최후의 빛]]''' || '''리차드 B. 리딕''' || 주연 || || 2005년 || 패시파이어 || 쉐인 울프 || 주연 || ||<|2> 2006년 || '''[[패스트 & 퓨리어스: 도쿄 드리프트]]''' || '''[[도미닉 토레토]]''' || 특별출연 || || 파인드 미 길티 || 재키 디놀시오 || 주연 || || 2007년 || [[히트맨(2007년 영화)|히트맨]] || || 기획 || ||<|2> 2008년 || 록피쉬 || 목소리 || 주연 || || 바빌론 A.D. || 투롭 || '''주연''' || ||<|2> 2009년 || 저니 투 선댄스 || || 주연 || ||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2011년 || '''[[분노의 질주: 언리미티드]]'''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3> 2013년 || '''[[분노의 질주: 더 맥시멈]]'''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리딕(2013)|리딕]]''' || '''리차드 B. 리딕''' || 주연 || || 더 머신 || || 주연 || ||<|2> 2014년 || 마블: 슈퍼히어로 군단의 비밀 || || 특별출연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그루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그루트]]''' || 주연 || ||<|3> 2015년 || '''[[분노의 질주: 더 세븐]]'''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라스트 위치 헌터]] || 코울더 || 주연 || || 패스트 & 퓨리어스: 슈퍼차지드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2016년 || [[빌리 린스 롱 하프타임 워크]] || 쉬룸 || 주연 || ||<|3> 2017년 || '''[[트리플 엑스 리턴즈]]''' || '''샌더 케이지''' || 주연 || ||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 '''그루트''' || 주연 || || 2018년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그루트 || 주연 || ||<|2> 2019년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베이비 그루트 || 주연 || || [[어벤져스: 엔드게임]] || 그루트 || 주연 || || 2020년 || [[블러드샷]] || 레이 개리슨/블러드샷 || 주연 || || 2021년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3> 2022년 || [[ARK: The Animated Series]] || [[산티아고]] || 주연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홀리데이 스페셜]] || 그루트 || 주연 || || [[토르: 러브 앤 썬더]] || 그루트 || 조연 || ||<|2> 2023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 '''그루트''' || 주연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2025년 || '''[[분노의 질주 11]]''' || '''[[도미닉 토레토]]''' || 주연 || == 게임 == *[[ARK: Genesis: Part 2]], 2021 - [[산티아고(아크 시리즈)|산티아고]][* 엔딩 마지막 장면에서 출연한다.], 2021~ *[[ARK 2]], 2022 == 기타 == * 유년기가 매우 불우했으며 친모와 양부 사이에서 찢어지게 가난한 생활을 하며 살았다고 한다. 2006년 인터뷰에서 친부는 태어나서 전혀 본 기억이 없으며 지금도 보고 싶은 생각이 아예 없다고 말했다. 길거리에서 푼돈을 벌기 위해 혼자 공연을 했고 옷도 상표를 떼지 않고 몇 달간 입다가 다시 되파는 식으로 살아왔다고 한다.[* 당시 미국은 환불 제도가 매우 널널해 몇달간 쓴 제품을 그냥 냅다 환불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널널했다. 소매점도 어차피 환불하면 되었다.] 거기에다 영화계에 데뷔하고 나서 초기에는 백인인지 흑인인지 애매한 외모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을 견디기 너무 힘들었다고도 토로했다. [youtube(36_-DauQi0s)]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팬이라고 한다. 단순히 좋아하는 수준이 아닌 직접 쓴 시나리오를 가지고 [[던전 마스터]]까지 한 상당한 헤비 플레이어. 《리딕》을 촬영하는 도중에 [[주디 덴치]]에게도 D&D를 가르쳐서 같이 플레이했다고 한다. [[http://static.tvtropes.org/pmwiki/pub/images/One_of_us_745.jpg|이런 만화까지 나왔을 정도다]]. [youtube(yLEMb_RIZ3o)] * 라스트 위치 헌터의 홍보 일환으로 위치 헌터라는 커스텀 클래스를 플레이하기도 했다. * [[폴 워커]]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함께 했던 영상을 [[https://www.facebook.com/photo.php?v=10152351540633313|공개하였다.]] * [[아이스 버킷 챌린지]]의 다음 타자로 [[블라디미르 푸틴]]을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av/196/read?articleId=1491120&objCate1=&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itemId=13&sortKey=depth&searchValue=%EA%B0%80%EB%94%94%EC%96%B8%EC%A6%88+%EC%98%A4%EB%B8%8C+%EA%B0%A4%EB%9F%AD%EC%8B%9C&platformId=&pageIndex=1|지목]]했다고 한다. || [[파일:빈드3.jpg|width=100%]] || [[파일:빈드4.png|width=100%]] || * 저음의 중후한 목소리와 근육질 체구로도 유명하다. 비슷하게 대머리 근육질 배우인 [[드웨인 존슨]]과 라이벌로 유명한데 [[분노의 질주 8]][* 대머리(빈 디젤)가, 대머리(드웨인 존슨)와 손잡고 대머리(제이슨 스테이섬)와 싸우는 영화라는 우스개도 있다.][* [[타이리스 깁슨|까만 대머리]]도 있다.] 제작 당시엔 영화 제작 견해 차이로 불화설이 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존슨의 생일에 디젤이 생일축하하는 모습이 인스타에 올라왔고, [[분노의 질주: 홉스 & 쇼]] 개봉 이후 존슨 또한 인스타 영상을 통해 디젤을 형제(brother)라 부르며 고마움을 표하는 등 어느정도 관계를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불화설이 사실이 아니라 영화 홍보를 위한 바이럴 마케팅의 일환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진실은 두 사람만이 알겠지만.][* 실제로 두 사람은 영화 제작 견해 차이로 사이가 틀어진게 맞으나 나중에 관계를 회복하고 각자의 길을 응원한다며 훈훈하게 마무리 됐다.] 다만, 뒤끝은 남았는지 존슨은 [[https://www.ign.com/articles/dwayne-johnson-confirms-he-wont-be-in-fast-and-furious-10-or-11|이후에 남은 두 편의 분노의 질주 메인 시리즈에는 출연하지 않는다는 발표]]를 했다.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그루트(MCU)|그루트]]의 목소리 더빙 출연료로 '''1500만 달러'''를 받았다고 한다. 인피니티 워 출연진들 중 분량 대비 출연료가 가장 높다고 한다. 그루트의 대사는 "I am Groot"밖에 없는지라 '겨우 대사 한 문장으로 날로 먹었다' 는 소리를 듣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도 그루트 연기를 위해 노력을 많이 한다. 한 문장만을 가지고 캐릭터를 표현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지라 "I am Groot"라는 대사를 수천 번 녹음해야 했고, '''그걸 또 16개 국어로 하고''', 가오갤 2편의 베이비 그루트나 인워의 사춘기 그루트를 연기하기 위해 '''생으로 목소리를 변조하는'''[* 모르고 들으면 어떻게 들어도 음성 변조 프로그램 or 아예 다른 연기자처럼 느껴질 정도로, 원래의 묵직한 목소리가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힘든 연기를 한다. * 이제는 고인이 된 [[폴 워커]]와의 우정이 각별한 것으로 유명한데 둘 모두를 스타덤에 올린 시리즈를 함께 이끈 것에 대한 마음이 큰 듯하다. 폴의 사망에 가장 충격을 받기도 했으며 소셜 미디어에 폴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분노의 질주로 상을 받게 됐을 때 폴을 언급하다가 [[See You Again]]을 부르며 [[https://youtu.be/2MzQA2ET294|폴을 기렸다.]] 2021년 10월에는 폴의 딸인 메도우의 결혼식에서 고인인 폴을 대신하여 메도우의 손을 잡고 결혼식장에 [[https://entertain.v.daum.net/v/20211023090652270|입장하였다.]] 실제로 빈은 메도우의 대부이기 때문에 폴이 부재한 상황에서 메도우의 아버지 역할을 하는 중이다. * 폴과 빈이 절친이었기 때문에 메도우도 빈의 딸인 하니아 싱클레어와 [[절친]]이자 [[의형제|의자매]]로 지낸다고 한다. 폴이 사망한 뒤 폴이 남긴 거액의 보험금과 재산이 모두 메도우에게 상속되게 되었는데, 메도우를 양육해야 할 메도우의 어머니와 조부모는 메도우는 뒷전이고 폴이 남긴 엄청난 돈을 가져가려고 송사를 벌였다. 메도우는 이후 탐욕스러운 모습을 보인 어머니와 조부모가 아닌 빈과 빈의 가족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 빈이 자꾸 촬영장에 늦게 오는 것도 모자라, 자주 대사도 까먹어, 같이 촬영하는 게 힘들어서 [[저스틴 린]]이 감독 자리를 하차한 게 밝혀졌는데, 이로 인해 빈 디젤과 드웨인 존슨과의 불화가 있는 이유가 납득간다는 평이 [[https://comicbook.com/movies/news/fast-x-director-justin-lin-quit-vin-diesel-difficult-fast-and-furious-10/|많다.]] * 2013년 분노의 질주 홍보 차 한국 예능 [[탑기어 코리아]]에 출연했다. 영화를 한 마디로 표현해달라는 요청에 엄지를 치켜들며 '''뒈봑!'''을 외치고, 영화에서 모는 차에 대해 썰을 풀었다. * 트리플-X 홍보차 한국에 내한했을 때 뉴욕의 예술인 마을인 그리니치 빌리지에 살던 어린 시절, 거의 매일 한국인 친구의 집에 가서 밥을 먹었다며 그 한국인 친구를 죽마고우로 꼽는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북미]] [각주]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1967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앨러미다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오스트리아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