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www.militaryfactory.com/vickers-medium-mark-i.jpg]] [[파일:external/www.tanks-encyclopedia.com/Vickers_medium_MkI_HD.jpg]] 빅커스 [[중형전차]]는 전간기에 빅커스에 의해서 제작된 영국의 전차로 이전에 사용하던 1차 대전형 전차와 외관상의 차이가 상당하다. == 제원 == ||<-2> 제원 Mk. I / Mk. II / Mk. III || || 형식 명칭 ||(개발명 Mk. I A2 / Mk. III A6) || || 중량 ||11.7t / 12.0t / 16.0t || || 전장 ||5.33m / 5.33m / 6.55m || || 전폭 ||2.78m / 2.78m / 2.65m || || 전고 ||2.82m / 2.68m / 2.49m || || 승무원 ||5명 || ||<|3> 장갑 ||최소 6mm, 최대 8mm || ||/ 최소 6mm, 최대 8mm || ||/ 최소 9mm, 최대 14mm || ||<|3> 주무장 ||[[3파운더]]포(47mm 50구경) 1문 (90발) || ||[[3파운더]]포(47mm 50구경) 1문 (111발) || ||[[3파운더]]포(47mm 50구경) 1문 (111발) || ||<|3> 부무장 ||2 × 7.7mm [[빅커스 기관총]], 4 × 7.7mm [[호치키스 M1909]] || ||/ 2 × 7.7mm [[빅커스 기관총]], 4 × 7.7mm [[호치키스 M1909]] || ||/ 3 × 7.7mm [[빅커스 기관총]] || ||<|3> 엔진 ||/ 암스트롱 시들리제 V 8기통 90마력 공랭식 가솔린엔진 || ||/ 암스트롱 시들리제 SC V 8기통 110마력 공랭식 가솔린엔진 || ||/ 암스트롱 시들리제 V 8기통 180마력 공랭식 가솔린엔진 || || 출력비 ||??.?hp/t / ??.?hp/t / ??.?hp/t || || 현가장치 ||헬리컬 스프링 || || 항속거리 ||190km / 193km / 160km || || 속도 ||24km/h / 29km/h / 48km/h (도로) || || 총 생산대수 ||약 10 ~ 140여량 / 약 100 ~ 167여량 / 3 ~ 6량[* 적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비전시 + 대공황기의 생산량이다.] || == 상세 == 1차대전이 끝난 후 세계 처음으로 유의미한 숫자가 양산된 '''신개발''' 전차로[* 이전에는 프랑스의 [[2C]]전차가 10대 정도 만 생산 되었고, 이미 전차의 아버지, 어머니인 MK전차와 FT-17은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었다.] 개발된지 20년이나 지난 후 2차대전에서 쓰이게 된다. 빅커스 중형 마크1은 이전의 영국 전차들과 달리 완전한 포탑을 가지고 있으며 현가장치도 용수철을 사용한 것으로 바뀌었고 사람이 걸어가는 수준의 속력을 가졌던 기존 전차들에 비하면 속력 또한 상당히 빨라졌다. 하지만 이 전차의 가장 중요한 개선점은 3인승 포탑을 적용하였고 현대 [[전차 승무원]]의 역할과 동일하게 전차장, 포수, 탄약수의 역할을 엄밀하게 구분하였다는 점이다.[* 3인용 포탑은 프랑스의 초중전차[[Char 2C]]에서 채용한 적이 있다.] 다만 동축기관총은 주포에 고정된 방식이 아닌 탄약수가 따로 움직이는 방식이였다. 정작 빅커스를 포함한 영국 전차 설계사들은 이후 [[다포탑 전차]]에서 삽질을 하게 된다. 물론 이때도 주포탑만큼은 3인승 포탑을 적용하고 차장, 포수, 탄약수의 역할을 구분하기는 했다. 박물관에 남아있는 해당 전차는 현대에도 작동 가능한 상태로 관리되고있다. == 파생형 == [[파일:external/www.tanks-encyclopedia.com/vickers-armstrong-medium-tank.jpg]] * 빅커스 Mk.2 보병전차: 1924년 시작으로 1925년에 빅커스 보병전차 Mk.1을 기본으로 개발되었다 약 100여대로 제작된 전차가 1925~1934년까지 양산되었다. 시대에 비해서 포탑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1932년부터 무전기가 포탑 후면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를 수납하기 위해 뒤통수가 튀어나오게 했고 이는 이후 영국 전차들에 공통점이 된다. 또한 사진에서도 보이듯 식민지 군에 배치되어 있을 때 이탈리아와 일본이 식민지를 침공하여 전투를 치뤘다. 소련이 1921년 15대를 구입해가서 ‘English Workman'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그런데 시기를 보면 MK.1을 구입한 것 같은데 구입한 것은 MK.2라고 한다(?) [[파일:external/alternathistory.com/03031610.jpg]] * 빅커스 Mk.3 보병전차: 빅커스 "16톤급 전차"라고 불린 영국의 보병전차로 1926~1931년 3대의 시제차량이 생산되었다. 일부자료에 의하면 1933년 3대 추가생산되어 1938년까지 일선 배치되었다고 하나 실전에 투입되지는 않았다. [[파일:external/3.bp.blogspot.com/birch-5.jpg]] * 빅커스 자주포 (일명)Birch Gun: 첫 자주포는 원래 영국에서 생산되었으며 개발 시작은 1923년, 1925년 시제차량이 빅커스 보병전차 Mk 2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몇몇 시제차량이 만들어졌으며 1925년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영국 정부의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결국 1928년 계획이 취소되었다. == 메체에서 등장 == * [[월드 오브 탱크]] 월드 오브 탱크에서 공통 트리[[월탱 영국 중형전차|Vickers Medium Mk1 보병전차]]가 1티어 전차로 등장하고 [[월탱 영국 중형전차|Vickers Medium Mk2(빅커스 보병전차 마크2)]]가 2티어, [[월탱 영국 중형전차|Vickers Medium Mk3(빅커스 중형전차 마크3) 보병전차]]가 3티어 중전차트리 에서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또 파생형인 [[월탱 영국 자주포|비치건]]도 영국 4단계 자주포에 등장한다 * [[강철의 왈츠]] [[파일:홍차국의위엄이넘치는자주포.png]] 비치건이 2성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자주포|자주포]]로 등장한다. 이름은 차나 휴스, 전차명은 Vickers Mark 2 자주포 [[분류:전차]][[분류:중형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