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 시리즈. 전부 하급 사이버스족 몬스터다. == 비트론 == [[파일:card10006693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비트론, 일어판 명칭=ビットロン, 영어판 명칭=Bitron, 레벨=2,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200, 수비력=2000, 효과외1=전자 공간에서 발견한 신종. 그 정보량은 적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비트론 메이트.jpg|width=100%]] >'''전자 공간에서 발견된 신종 몬스터.''' >'''정보량은 적지만, 표정은 의외로 풍부하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비트론) 텍스트 [[스타터 덱 2017]]에서 첫 발매된 사이버스족 일반 몬스터. 10기 텍스트에선 일반 몬스터도 효과 몬스터처럼 종족 옆에 "/일반"이란 표기가 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희왕 VRAINS]]에선 오프닝부터 유사쿠의 몬스터들 중 하나로 등장하고 듀얼에도 종종 나온, 이전작들의 [[크리보]] 같은 마스코트 카드다. 작중 묘사로는 유사쿠의 덱에 최소 2장은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타터 덱 2017]] || ST17-KR001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18]] || ST18-KR005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9]] || ST19-KR005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7|STATER DECK 2017]] || ST17-JP001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18|STATER DECK 2018]] || ST18-JP005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9|STATER DECK 2019]] || ST19-JP005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 Link Strike]] || YS17-EN00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tar Pack: VRAINS || SP18-EN001 || [[노멀]][br][[패러렐 레어|섀터포일 레어]] || 미국 || ||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Codebreaker]] || YS18-EN005 || [[노멀]] || 미국 || || == 디지트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623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디지트론, 일어판 명칭=デジトロン, 영어판 명칭=Digitron, 레벨=2,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500, 수비력=0, 효과외1=전자 공간에서 발견한 아종. 그 정보량은 그래서인지 조금 많다.)] 비트론의 아종으로, 레벨 2 일반 몬스터 중 최고 공격력이다. 레벨 2 몬스터 전체로 따져도, [[네프티스(유희왕)|네프티스의 이어주는 손]]에 이어 2위다. 그 외의 아종으로 최초의 사이버스족 / 튜너인 [[사이버스 싱크론]]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스 링크]]- || SD32-KR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19]] || ST19-KR006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스 링크|サイバース・リンク]]- || SD32-JP00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19|STATER DECK 2019]] || ST19-JP006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스 링크|Cyberse Link]] || SDCL-EN00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로트론 == ||<-5> '''유희왕/OCG의 1월 1일 0시 공개 카드''' || || 2017년 || || 2018년 || || 2019년 || || || → || '''프로트론''' || → || [[다이스어트]] || [[파일:プロト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프로트론, 일어판 명칭=プロトロン, 영어판 명칭=Protron, 레벨=1,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외1=전자 공간에서 발견되는 원종. 그 정보량은 미지수.)] 비트론과 디지트론의 [[프로토타입]]. 레벨 1 사이버스족 일반 몬스터라 [[링크리보]], [[링크 디사이플]], [[링크 스파이더]] 등 다양한 링크 1 몬스터의 소재로 쓸 수 있고, 특히 위의 둘이 못 부르는 링크리보를 부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원 포 원]]에 대응하는 것도 장점.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0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0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트루퍼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곤충족 테마, rd1=비틀트루퍼)] [[파일:card10010145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비트루퍼, 일어판 명칭=ビットルーパー, 영어판 명칭=Bitrooper, 레벨=4,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5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레벨 2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는 [[더 트릭키]]의 하위호환이니 스탯으로 차별화해야 한다. [[사이버스 가제트]]와 호궁합이다. 패에서 레벨 2 이하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비트루퍼를 특수 소환→사이버스 가제트를 일반 소환해 ①의 효과로 묘지의 레벨 2 이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랭크 4 엑시즈 소환이나 링크 3~4 링크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실제로 애니메이션 18화에서 유사쿠가 [[스택 리바이버]]와 사이버스 가제트와 함께 이 카드로 [[디코드 토커]]를 링크 소환했다. 하지만 패 코스트 없이도 자체적으로 특소 가능한 카드는 얼마든지 있기 때문에 사이버스족이라는 걸 차별화하지 않으면 쓸 일은 없다. 레벨 2 이하 한정인 것도 패말림을 유발한다. [[사이바넷 옵티마이즈]]의 일러스트에서 [[백업 세크레터리]]와 백업 오퍼레이터가 비트론을 비트루퍼의 몸에 연결한 걸 보면, 비트론을 개조한 몬스터로 보인다. 디지트론의 공격력(1500)과 비트론의 수비력(2000)을 가진 건 이 때문인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극한의 힘]] || EXFO-KR00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마스터 링크]]- || SD34-KR010 || [[노멀]] || 한국 ||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JP00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마스터 링크|マスター・リンク]]- || SD34-JP010 || [[노멀]] || 일본 ||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0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Codebreaker]] || YS18-EN011 || [[노멀]] || 미국 ||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173 || [[노멀]] || 미국 || || == 아머드 비트론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0년)] [[파일:アーマード・ビット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아머드 비트론, 일어판 명칭=アーマード・ビットロン, 영어판 명칭=Armored Bitr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5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아머드 비트론" 이외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사이버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링크 3 이상의 링크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①의 효과는 사이버스족 버전 [[론 파이어 블로섬]]. 다만 턴 제약과 효과를 무효로 하는 디메리트가 생겨 사이버스족 통일 덱이라 해도 무턱대고 쓰긴 어렵다. 보통 [[마린세스]] 덱에서 씨호스를 불러와 초동으로 쓰기 위해 채용된다. 혹은 [[사이바넷 코덱]]을 중점으로 굴리는 사이버스gs에서 파이어월 디펜서를 꺼내기 위해 채용되기도 한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 있는 상태에서 링크 3 이상의 자신 몬스터가 전투나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자기 자신을 특소할 수 있는 효과. 벽 몬스터로 쓰거나, 운이 좋으면 ①의 효과도 쓸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5]] || PP15-KR041 || [[슈퍼 레어]][br][[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V점프]] 2020년 3월호 부록 카드 || VJMP-JP175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이터니티 코드|Eternity Code]] || ETCO-EN09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