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르데냐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485, #002da6 20%, #002da6 80%, #002485)" '''{{{#fff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사보이아 공작)] ---- [include(틀:역대 시칠리아 국왕)]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485 0%, #002da6 20%, #002da6 80%, #002485)" '''[[사르데냐 왕국|{{{#fff 사르데냐 초대 국왕}}}]][br][[사보이아 공국|{{{#fff 사보이아 제15대 공작}}}]][br]{{{+1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br]Vittorio Amedeo I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ittorio_Amedeo_II_in_Maestà_-_Google_Art_Project.jpg|width=100%]]}}} || ||<|2> '''출생''' ||[[1666년]] [[5월 14일]] || ||[[사보이아 공국]] [[토리노]] 토리노 왕궁 || ||<|2> '''사망''' ||[[1732년]] [[10월 30일]] (향년 66세) || ||[[사르데냐 왕국]] 리볼리[* [[토리노]] 근교의 [[위성도시]].] 리볼리 성 || ||<|6> '''재위''' ||[[사보이아 공국|사보이아 공작]] || ||[[1675년]] [[6월 12일]] ~ [[1730년]] [[9월 3일]] || ||[[시칠리아 왕국|시칠리아 국왕]] || ||[[1713년]] [[9월 22일]] ~ [[1720년]] [[2월 17일]] ||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 국왕]] || ||[[1720년]] [[2월 17일]] ~ [[1730년]] [[9월 3일]] || || '''서명''' ||[[파일: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서명.sv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br]어머니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 || ||'''배우자'''||안 마리 도를레앙 ,,(1684년 결혼 / 1728년 사망),, || || '''자녀''' ||마리아 아델라이데, 마리아 루이사, 비토리오 아메데오,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 '''가문''' ||[[사보이아 가문]] || || '''종교''' ||[[로마 가톨릭]] ||}}}}}}}}}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보이아 공국]] [[공작(작위)|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 초대 국왕. [[프랑스 왕국|프랑스]]와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여 사보이아 공국을 생존시켰고 왕위에 올라 [[사보이아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 생애 == 아버지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가 [[1675년]] [[6월 12일]] 40살에 승하하자 9살의 어린 나이에 사보이아 공작으로 즉위하였고 어머니 사부아느무르[* [[사보이아 가문]]의 프랑스계 방계 가문.]의 마리 잔의 섭정을 받았다. 1684년 [[베르사유 궁전]]에서 [[필리프 1세(오를레앙)|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와 [[헨리에타 앤|잉글랜드의 헨리에타 앤]]의 차녀 안 마리 도를레앙과 결혼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나자 처음에는 처가인 프랑스 편으로 참전했으나 6촌인 [[사부아 공자 외젠]]이 [[황제군|오스트리아군]]을 이끌고 진입하자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편으로 갈아탔고 [[토리노 공방전]]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사보이아 공국의 독립을 지켜냈다. 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이 체결되면서 [[시칠리아]]를 획득하여 [[시칠리아 왕국|시칠리아 국왕]]이 되었으나, [[사국 동맹 전쟁]]으로 [[스페인]]에게 시칠리아를 빼앗겼다. 시칠리아를 되찾기 위해 참전했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6세]]의 반강제적인 협박을 이기지 못하고 1720년 [[사르데냐]]와 교환하여 [[사르데냐 왕국]]을 선포하였다. 이후 [[토리노 대학교]]를 부흥시키는 한편 [[팔레르모]]에서 데려온 건축가 필리포 유바라(Filippo Juvarra 1678~1736)로 하여금 베나리아 궁전을 재단장하고 수페르가 성당을 짓게 하였다. 그러나 맏아들 비토리오 아메데오의 사망으로 [[우울증]]에 빠져 말년으로 갈수록 [[가톨릭]]에 빠졌고 왕비 안 마리 도를레앙마저 사망하자 [[1730년]] 후계자 카를로 에마누엘레에게 양위하고 [[샹베리]]로 퇴위하였다. 자신의 성에 차지 않는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에게 양위한 것을 후회하여 복위를 시도하다가 신하들의 반대로 실패한 끝에 유폐되었고 1732년 사망하였다. 유해는 본인이 지은 [[토리노]]의 수페르가 성당에 안장되었다. == 가족 관계 == * 마리아 아델라이데 : [[1685년]] [[12월 6일]] ~ [[1712년]] [[2월 12일]] - [[프티 도팽 루이]]와 결혼.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어머니. * 마리아 안나 : [[1687년]] [[8월 14일]] ~ [[1690년]] [[8월 5일]] * 마리아 루이사 : [[1688년]] [[9월 17일]] ~ [[1714년]] [[2월 14일]] -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와 결혼. 스페인 국왕 [[루이스 1세]]와 [[페르난도 6세]]의 어머니 * 피에몬테 공 비토리오 아메데오 : [[1699년]] [[5월 6일]] ~ [[1715년]] [[3월 22일]]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 [[1701년]] [[4월 27일]] ~ [[1773년]] [[3월 20일]]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1705년]] [[12월 1일]] ~ [[1705년]] [[12월 19일]] 이 외에도 정부와의 사이에서 낳은 2명의 사생아가 더 있다. 그 중 한 명인 마리아 비토리아는 [[사보이아 가문]]의 직계가 단절된 후 사르데냐 왕위를 계승한 [[카를로 알베르토]]의 고조할머니이다.[* 유럽 왕실에서는 남성 방계 왕족과 직계의 여성 사생아를 결혼시키는 경우가 흔치 않게 있었다. 하지만 당시 사보이아 가문은 [[살리카법]]을 적용했기 때문에 여계는 의미가 없었다.] [[분류:사보이아 공작]][[분류:시칠리아 국왕]][[분류:사르데냐 국왕]][[분류:사보이아 가문]][[분류:1666년 출생]][[분류:1732년 사망]][[분류:피에몬테 주 출신 인물]][[분류:토리노 출신 인물]][[분류:퇴위한 군주]][[분류:수페르가 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