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 비셴테 리사라수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ESM 올해의 팀|[[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1998-99 ESM 올해의 팀|{{{#ffffff '''1998-99 ESM 올해의 팀'''}}}]]}}} || [[틀:2001 UEFA 올해의 팀|[[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68D6; font-size: 0.9em" [[틀:2001 UEFA 올해의 팀|{{{#ffffff '''2001 UEFA 올해의 팀'''}}}]]}}} || || ||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ffffff 1998}}}]]'''}}}}}} || ---- || '''{{{#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멤버}}}''' || || '''[[UEFA 유로 2000|{{{#06c 200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 비셴테 리사라수의 기타 정보 ''' }}} }}} || || {{{#!folding ▼ [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 명예의 전당)]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002f 0%, #dc042d)" {{{+1 [[FC 바이에른 뮌헨|{{{#ffffff '''FC 바이에른 뮌헨 앰버서더'''}}}]]}}}}}} || ||<-3> {{{#ffffff '''Fußball-Club Bayern München e.V. Ambassado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folgreich-als-spieler-bixente-lizarazu-absolvierte-zwischen-1997-und-2006-183-bundesligaspiele-fuer-bayern-muenchen-und-gewann-mit-den-sueddeutschen-sechs-.jpg|width=100%]]}}} || ||<-3> {{{#fff {{{+1 '''비셴테 리사라수'''}}}[* 보통 [[프랑스어]]식 발음에 따른 '빅상트 리자라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출신지인 [[바스크]] 지방 [[바스크어]]로 발음하면 비셴테 리사라수 (biˈʃente lis̻aˈɾas̻u)가 된다. [[http://en.wikipedia.org/wiki/Bixente_Lizarazu|영어판 위키백과]]][br]'''Bixente Lizarazu'''}}} || ||<-2> {{{#fff ''' 본명 ''' }}} ||비셴테 장미셸 리사라수[br](Bixente Jean-Michel Lizarazu) || ||<|2><-2> {{{#fff ''' 출생 ''' }}} ||[[1969년]] [[12월 9일]] ([age(1969-12-09)]세)|| ||[[프랑스]] 아키텐 생장드뤼즈 || ||<-2> {{{#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fff ''' 신체 ''' }}} ||[[키(신체)|키]] 169cm | [[체중]] 83kg[* 숫자 69와 인연이 매우 많다. 과거 [[바이에른 뮌헨]]에서 뛸 당시에는 몸무게가 '''69'''kg이었다. 19'''69'''년생에 키1'''69'''cm 몸무게 '''69'''kg이었던 [[리사라수]]는 [[바이에른 뮌헨]]에서 등번호 '''69'''번을 달고 뛰었다.] || ||<-2> {{{#fff ''' 직업 ''' }}} ||[[축구 선수]] ([[풀백(축구)|레프트백]] / ^^은퇴^^) || || {{{#fff '''소속''' }}} || {{{#fff '''선수''' }}} ||'''[[FC 지롱댕 드 보르도]] (1987~1996)''' [br] [[아틀레틱 클루브]] (1996~1997) [br] '''[[FC 바이에른 뮌헨]] (1997~2004)''' [br]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04~2005) [br] [[FC 바이에른 뮌헨]] (2005~2006) || ||<-2> {{{#fff ''' 국가대표 ''' }}} ||97경기 2골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1992~2004)^^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前 [[축구 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풀백(축구)|레프트백]].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레블뢰 군단]]과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의 왼쪽을 책임지던 풀백이고,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프랑스 국가대표 '철의 포백'의 일원이다.[* 참고로 나머지 셋은 [[릴리앙 튀랑]], [[로랑 블랑]], [[마르셀 드사이]]다.] 바이언에서 [[UEFA 챔피언스 리그|UCL]] 1회, [[분데스리가]] 6회 우승을 이끌었고, 국가대표팀에서는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 월드컵]]과 [[UEFA 유로 2000|유로 2000]] 우승에 기여하였다. 바이언 시절 출장 경기 수를 보면 부상때문에 그리 많은 경기에 출장한 선수는 아니다. 그럼에도 최고의 선수들만 등극할 수 있는 구단 명예의 전당에 오른걸 보면 얼마나 대단한 선수였는지를 알 수 있다. 뛰어난 민첩성과 악착같은 근성, 지칠줄 모르는 체력과 활동량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 클럽 경력 ==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1988년 프랑스의 [[FC 지롱댕 드 보르도]]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보르도에서 젊은 시절부터 실력을 인정받으면서 1992년부터는 [[프랑스]] 국가대표로도 활동하게 되었다.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1995-96 UEFA컵이었다. 리사라수의 소속팀 지롱댕 드 보르도는 8강에서 세리에 A의 강팀 [[AC 밀란]]을 격침시키고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사상 첫 UEFA컵 우승을 눈앞에 두고 만난 상대는 바이언이었고, 보르도는 안타깝게도 결승전에서 바이언에게 완패하였다. 하지만, 이 [[UEFA 유로파 리그|UEFA컵]]으로 인해 리사라수는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마치 [[2008 베이징 올림픽]]을 통해 [[앙헬 디마리아]]가 유명해지듯. === [[아틀레틱 클루브]] === 이듬해, 8년간 몸담았던 소속팀을 떠나서 리사라수는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의 [[아틀레틱 클루브|아틀레틱 빌바오]]에 입단하였다. 빌바오 팀은 바스크 [[순수혈통주의|순혈주의]]를 고집하는 바스크인으로만 구성되는 팀이었는데, 리사라수가 이 팀에 입단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 역시 [[바스크]]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바스크지역은 스페인과 프랑스 양국에 걸쳐있는데 리사라수는 북부 바스크 출신으로 프랑스 국적을 가지고 있었고 덕분에 리사라수는 빌바오 팀 사상 첫 외국인 선수라는 역사적 기록의 주인공이 되었다.[* 리사라수와 같이 북부 바스크 출신인 프랑스 선수로는 [[디디에 데샹]] 현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있다. 단 디디에 데샹은 빌바오에서 뛴 적은 없다.] === [[FC 바이에른 뮌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xente Lizarazu -2jpg.jpg|width=100%]]}}} || 빌바오에서 한 해를 보낸 후, 1997년 리사라수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FC 바이에른 뮌헨]]에 입단하였다. 20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리사라수의 기량은 절정에 이르렀고, 지난날 UEFA컵 결승전에서 만났던 바이언에서 당당한 주연으로 빛나는 역사를 만들어 갔다. 1998년부터 바이에른 뮌헨은 분데스리가 최고의 팀으로 군림하며 3년 연속으로 우승하였고, 뿐만 아니라 UEFA 챔피언스리그 2000-01 시즌에서 리사라수는 발군의 활약을 보여주면서, 바이언을 챔피언스리그 우승으로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2000-01 시즌 챔스에서 활약이 장난 아니였던 것이 8강에서 만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데이비드 베컴]]을 완벽히 봉쇄하면서 자신이 결장하였을 때 벌어졌던 1998-1999 챔스결승에서 벌어진 [[캄 노우의 기적(1999년)|캄프 누의 비극]]을 되갚아주었고, 4강에서는 [[레알 마드리드 CF]]의 [[루이스 피구]]를 지워버렸다.[* 2차전에서 피구는 라울의 어시스트를 받아 득점을 했으나, 전체적으로 리자라쥐에게 지워져서 존재감이 없었고, 오히려 교체로 들어왔던 반대쪽 측면의 사비오가 피구보다 더 활발한 모습을 보일 정도로 부진했다.][* 이 때 리자라수에게 된통 당한 피구는 리자라수를 카를루스의 공격력과 말디니의 수비력을 갖춘 선수라고 극찬하였다.] 결승에서는 당시 윙어들중에서는 날린다던 [[발렌시아 CF]]의 [[가이즈카 멘디에타]]를 삼켜버리면서 바이언의 왼쪽 측면을 지배하였고, 승부차기도 성공시키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리사라수는 황금기 바이언의 빠질 수 없는 중심 선수였다. 그리고 같은 프랑스 대표팀 후배인 [[윌리 사뇰]]의 영입에도 큰 공을 세웠다. 한편 2004년 바이언을 떠나 프랑스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뛰기도 했었는데, 당시 [[필립 트루시에]] 감독과 선수 기용법에 관한 마찰이 생겨서 반년 만에 다시 바이언으로 돌아오기도 하였다. 선수 생활 마지막까지 바이언에서 뛰었고, 2006년에 공식 은퇴를 선언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pGTHvWkAARCMg.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db9.jpg|width=100%]]}}} || 리사라수는 첫 메이저대회였던 [[UEFA 유로 1996]]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레블뢰 군단의 확실한 레프트백으로 자리 잡는다. 그리고 이어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서는 맹활약, 프랑스를 월드컵 우승으로 이끈다. 특히 조별리그 2차전이었던 사우디와의 경기에서는 특유의 빠른 스피드로 상대 선수의 퇴장을 유도했으며, 프랑스의 4번째 골을 넣음으로써 대승을 이끌기도 했다. 비록 이탈리아와의 8강전에서 2번째 승부차기 키커로 나서서 [[잔루카 팔리우카]]의 선방에 막히기도 했으나 그것만 제외하곤 대회 내내 뛰어난 활약을 선보였다는 것은 분명했다. 당연히 [[UEFA 유로 2000]]에서도 주전으로 나서며 프랑스의 우승을 견인한다. 자신의 마지막 메이저대회였던 [[UEFA 유로 2004]]에서도 주전으로 활약했으나 8강에서 그리스에게 탈락했고, 이 대회를 끝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리사라수는 프랑스 대표팀에서 통산 97경기에 출전해 2골을 기록하였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로서도 레프트백 위치에서 부동의 중심 선수로 맹활약한 리사라수는 당시 프랑스 대표팀의 철벽 수비를 이끄는 선수 가운데 하나였다.[* 리사라수와 [[릴리앙 튀랑|튀랑]]이 워낙 특출났던 탓에 어디 놓아도 주전을 차지할 실력이 있던 [[뱅상 캉델라]]는 국대에서 백업역할에 그쳤다.] 특히 리사라수는 주전으로 뛸때 프랑스의 왼쪽 사이드를 단독으로 책임졌다. 당시 오른쪽의 [[로베르 피레스]]에 비해 왼쪽 사이드에는 확실한 윙어가 없었으며, 중앙의 [[티에리 앙리]], [[지네딘 지단]]이 주로 왼쪽 사이드에 처져서 플레이하는 경향 때문에 왼쪽에서 앙리, 지단의 백업을 전천후로 수행하는 역할은 바로 리사라수의 역할. 이 때문에 리사라수는 지네딘 지단을 완벽하게 보호하여 지단이 종횡무진 활약할 수 있도록 크게 뒷받침해줬다.[* 리사라수는 지단에 대해 [[http://cafe434.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L1hS&fldid=DQ4a&contentval=0000gzzzzzzzzzzzzzzzzzzzzzzzzz&nenc=&fenc=&from=&q=&nil_profile=cafetop&nil_menu=sch_updw&listnum=|"나는 경기 중에 어디로 패스해야 될지 모를 때 지단에게 패스한다."]]라는 말을 통해 그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드러냈다. 선수 은퇴 역시 지단이 은퇴선언을 한 4일 후에 같이 하게 된다.] 리사라수의 보좌에 힘입어 지단은 혼자 힘으로 경기를 뒤집고 팀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몇 안되는 선수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디디에 데샹]]도 그랬고 당시 프랑스는 어느 정도 지단에게 몰아주는 경향이 있었다.] 실제로 리사라수가 없는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지단은 비록 준우승은 했으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 비기는 등의 졸전을 하기도 했다. 리사라수 대신 주전 레프트백으로 출전했던 [[에릭 아비달]]이 [[설기현]]에게 스피드로 밀리면서 동점골의 빌미를 허용하기도 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호베르투 카를로스]]를 위시한 브라질 윙백들이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상대를 휘저었다면 리사라수는 공격력과 수비력을 모두 갖춘 풀백으로 뛰어난 테크닉과 수비력으로 상대 [[윙어]]를 무력화 시키며 측면 공격을 이끄며 만나는 팀의 상대 공격수마다 다 집어삼키기로 악명높은 수비수였다. 다소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리사라수는 프랑스 국대의 자랑 철의 포백([[비셴테 리사라수]]-[[마르셀 드사이]]-[[로랑 블랑]]-[[릴리앙 튀랑]])의 일원이며 [[지네딘 지단]]과 같이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월드컵]]의 우승멤버'''이다! 리사라수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 풍미한 세계 최고의 수비수이며 현대 축구 레프트백 통산 순위로 따지면, 부동의 원톱 말디니보다는 아래지만 [[호베르투 카를루스]]와는 어깨를 나란히 할만한 레전드급 레프트백이라 할 수 있다. 브라질에 [[카푸]]- [[호베르투 카를로스]]가 있었다면 프랑스에는 [[릴리앙 튀랑]]-비셴테 리사라수가 있었고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결승|1998 프랑스 월드컵 결승]]에서 [[릴리앙 튀랑]]-비셴테 리사라수가 완승을 거두었다. == 은퇴 후 == 은퇴 후에는 잠깐씩 축구 해설을 했었지만, 설상종목인 [[스켈레톤]]에서 40세에 우승했던 인물에 큰 영향을 받아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2006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스켈레톤 프랑스 대표가 되기 위한 도전을 시작하기도 했다. 그런데 갑자기 [[브라질리안 주짓수]]를 수련하더니 2009년 유러피언 대회 파란띠 부문에서 '''우승'''해버렸다. 몇년 뒤 보라띠에서는 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주짓수를 수련하기 시작한 이유는 자신의 오래된 취미인 [[서핑]]에 필요한 근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애초에 축구선수 출신에 그것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월드컵]], [[UEFA 유로 2000|유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00-01 시즌|챔스]] 주전 우승 멤버였는지라 다리 힘이 엄청 강했을 것이다. 그래서 브라질리안 주짓수 대회에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006년부터 프랑스 여배우인 클레르 켐과 12년째 연애중이다. 둘 사이에는 2008년에 8월에 태어난 딸 우하이나 (Uhaina)가 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지롱댕 드 보르도]] (1988~1996) * [[리그 2|디비지옹 2]]: 1991-92 * [[UEFA 인터토토컵]]: 1995 * [[FC 바이에른 뮌헨]] (1997~2004, 2005~2006) * [[분데스리가]]: 1998-99, 1999-00, 2000-01, 2002-03, 2004-05, 2005-06 * [[DFB-포칼]]: 1997-98, 1999-00, 2002-03, 2004-05, 2005-06 * DFL-리가포칼: 1997, 1998, 1999, 2000 * [[UEFA 챔피언스 리그]]: 2000-01 * [[인터컨티넨탈컵]]: 2001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1998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2000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1, 2003 === 개인 수상 === * [[UEFA 올해의 팀]]: 2001 * [[ESM 올해의 팀]]: 1998-99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스타팀: 2001 * UNFP 20주년 스페셜팀 트로피: 2011 * 키커 올해의 수비수: 2000-01, 2001-02, 2004-05 * 독일 이달의 골: 2000년 2월 * FIFA XI: 2002 * 바이에른 뮌헨 명예의 전당 === 수훈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1998 === 출전 기록 === ||<|2> 시즌 ||<|2> 클럽 ||<|2> 소속리그 ||<-2> 리그 ||<-2> FA컵 ||<-2> 대륙대회 ||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1988/89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16 || 0 || 1 || 0 || - || - || || 1989/90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38 || 2 || 4 || 0 || - || - || || 1990/91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35 || 2 || 1 || 0 || 6 || 0 || || 1991/92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2 || 33 || 5 || 5 || 0 || - || - || || 1992/93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36 || 4 || 3 || 0 || - || - || || 1993/94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32 || 9 || 3 || 0 || 6 || 0 || || 1994/95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33 || 2 || 4 || 1 || 4 || 0 || || 1995/96 || 지롱댕 보르도 || 디비지옹 1 || 23 || 3 || 0 || 0 || 17 || 5 || || 1996/97 || 아슬레틱 빌바오 || 라리가 || 16 || 0 || 2 || 0 || - || - || || 1997/98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18 || 0 || 5 || 0 || 2 || 0 || || 1998/99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19 || 2 || 5 || 1 || 9 || 0 || || 1999/00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22 || 1 || 1 || 0 || 10 || 1 || || 2000/01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16 || 0 || 1 || 0 || 10 || 0 || || 2001/02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25 || 1 || 1 || 0 || 12 || 0 || || 2002/03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26 || 2 || 5 || 0 || 3 || 0 || || 2003/04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26 || 1 || 1 || 0 || 8 || 0 || || 2004/05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리그 1 || 14 || 0 || 1 || 0 || - || - || || 2004/05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13 || 0 || 2 || 0 || 4 || 0 || || 2005/06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 18 || 0 || 3 || 0 || 6 || 0 || == 리사라수에 대한 말말말 == > '''나는 라이트윙으로 뛰면서 수많은 레프트백과 맞붙어봤다. 카를로스에게는 미안하지만 나는 리사라수를 최고로 꼽는다. 리사라수는 말디니의 수비력과 카를로스의 공격력을 갖춘 선수이며 어떠한 라이트윙도 그와 마주치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나도 마찬가지다.''' > ---- > [[루이스 피구]] > '''나는 언제나 내가 뛰는 팀에서 왼쪽 수비는 리사라수가 맡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 ---- > [[지네딘 지단]] == 기타 == * [[소수민족]]인 [[바스크]] 출신으로 1969년 12월 9일 프랑스 쪽 바스크 지방의 생장드뤼즈 태생이다. 때문에 관청에 [[출생신고]]를 하러 갔을 때 관청 공무원들이 Bixente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이름인 '뱅상(Vincent)'으로 고쳐서 등록했다. 그의 말에 의하면 "관청에 머저리가 한 사람 있었는데요, 우리 부모님이 지어 주신 Bixente라는 이름을 지들 맘대로 Vincent로 써서 호적에 올렸어요. 뱅상이 누구인지 난 모르겠어요."라고 한다. 1996년에야 법적 절차를 거쳐서 자신의 원래 이름으로 호적을 정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xente-Lizarazu-Bayern-Munich-69.jpg|width=100%]]}}} || * 리사라수는 '''[[69]]'''라는 숫자와 많은 인연이 있었다. 1969년생인 데다가 키 169cm, 몸무게 69kg이기까지 했으니... 그래서 바이에른 뮌헨에서 선수로 뛸 때의 등번호도 69번으로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5b102ea166a4bdca3a3ab276-ph0.jpg|width=100%]]}}} || * 지단과 신뢰감을 굳게 형성한 듯하다. 지단이 2006 독일 월드컵 결승전에서 [[마르코 마테라치|마테라치]]에게 박치기한 사건을 회상하면서 그 자리에서 본인을 말릴 사람은 리자리수 밖에 없었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가 있다.[* 당시 리자리수는 국가대표에서 은퇴한 상태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otball-san-siro-stadium-milan-italy-20002001lizarazu.jpg|width=100%]]}}} || * 2000-01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당시 [[빅이어]]를 머리에 쓰는 세레머니를 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UEFA 챔피언스 리그/2019-20 시즌|19년 후,]] [[FC 바이에른 뮌헨|같은 팀,]] 같은 포지션, 같은 국적의 [[뤼카 에르난데스|한 후배]]가 따라하기도 했다.[* [[뤼카 에르난데스]]는 전 소속 팀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시절에도 유로파 리그 트로피로 따라했다.] 그리고 그 다음 해에는 국적은 다르지만 같은 바스크계인 [[아스필리쿠에타|다른 후배]]가 따라했다. * 프랑스 출신으로 [[아틀레틱 빌바오]]에서 뛰는 1번째 선수였다. 또 아틀레틱 클루브에서 뛰던 시절엔 팀에서 유일하게 스페인 국적 선수가 아니기도 했다. 2번째 선수 [[에므리크 라포르트]]도 이와 같다. 하지만 라포르트는 2021년에 스페인 국적을 취득하여,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뛰게 되었다. [[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1969년 출생]][[분류:바스크의 축구선수]][[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은퇴, 이적]][[분류:아틀레틱 클루브/은퇴, 이적]][[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은퇴, 이적]][[분류:프랑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분류: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FIFA 월드컵 우승 선수]][[분류:피레네자틀랑티크 출신 인물]][[분류:1987년 데뷔]][[분류:2006년 은퇴]][[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슈발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