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뉴 클리어 월드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비서스=스타프로스트}}}'''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비서스 암리타라.png|width=100%]][br] ,,[[비서스=암리타라|{{{#00C4E6 비서스=암리타라}}}]],,}}}|| || '''한글판 명칭''' ||<-5> '''비서스=스타프로스트''' || || '''일어판 명칭''' ||<-5> '''ヴィサス=スタフロスト''' || || '''영어판 명칭''' ||<-5> '''Visas Starfrost''' || ||<-2> '''속성''' ||<-2> '''종족''' ||<-2> '''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다양]] ||<-2> 효과[br][[싱크로 소환/튜너|튜너]][br][[싱크로 소환|싱크로]][br][[엑시즈 소환|엑시즈]][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 개요 == 부스터 팩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처음으로 "비서스=스타프로스트의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로써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이다. 비서스 테마는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 등처럼 "[[블랙 매지션|하나의 카드]]와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그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들"이 모여 테마가 된 케이스이다. [[포톤 하이퍼노바]]의 [[트리비카르마]]가 이를 최초로 지정했다. 트리비카르마 당시에는 비서스를 지정한 카드들이 비서스 전용 효과라기보단 다른 테마 지원에 비서스가 곁다리 끼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비서스와 기믹이 조화로운 [[마나둠]]이 추가되었고, [[듀얼리스트 넥서스]]를 시작으로 12기 부스터 팩에서 카드들이 대거 등장했다. 이 때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비서스"라는 카드군이,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선 파괴 트리거 효과가 있고 비서스를 지정하는 효과가 있는 "[[베다(유희왕)|베다]]"라는 카드군이 지정되었다. 이 문서에서는 "비서스" 카드군 또한 다루고 있다. == 스토리 == [[식무변세괴]] 이후의 비서스로 결국 각성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신세괴가 새롭게 만들어져 거목이 피어나고, 거목의 마나둠을 포함하여 스케어클로, 크샤트리라, 티아라멘츠를 복종시키기에 성공한다.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 추가된 카드는 [[베다=카란타]]와 비서스의 결전을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황상 베다=카란타에게 패배하여 감정을 전부 빼앗기고 [[뉴 클리어 월드]]에 표류하는 것으로 보인다. == 성능 == 비서스의 서포트 카드는 [[크샤트리라#크샤트리라 아크스트라|크샤트리라 아크스트라]]밖에 없어서 사실상 비서스와 동떨어진 [[크샤트리라]]를 제외한 나머지 세괴, 즉 [[스케어클로]] / [[티아라멘츠]] / [[마나둠]]의 카드에 폭넓게 자리하고 있다. 스케어클로와 마나둠은 비서스를 적극적으로 쓰던 테마로써 비서스의 서포트 카드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수 있으며, 티아라멘츠 또한 비서스를 적극적으로 쓰진 않아도 비서스의 이름이 표기된 마법/함정 카드를 자주 쓰고 있으니 역시 서포트 카드의 수혜를 입을 수 있다. 비서스와 각 테마의 궁합은 다음과 같다. * [[스케어클로]]는 단연 베스트. 비서스=스타프로스트를 소재로 소환할 수 있는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는 비서스를 쉽게 스케어클로의 기믹으로 잇게 해주는 카드로, 이후 스케어클로 노바 등으로 개체수를 늘려 추가 전개로 이을 수 있게 한다. 통칭 스케어클로 엔진이라 부르는 이 기믹은 대개 이러한 비서스와 스케어클로의 조화를 통한 개체수 증가를 보고 채용하게 된다. * [[티아라멘츠]]는 비서스의 자괴 시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평범하게 자괴 효과로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는 비서스와 다르게, 티아라멘츠는 덤핑을 중심으로 하는 덱이라 비서스 말고 다른 테마와의 궁합을 더 잘 볼 수 있다. 즉, 비서스가 굳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마법 / 함정의 대다수에서 비서스를 지정하기에 비서스를 지원하는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를 티아라멘츠에서도 쓸 수 있다. 특히 [[트리비카르마]]와는 상성이 좋다. * [[마나둠]]은 사실상 비서스와 같이 쓰는 것을 전제로 하는 테마, 비서스의 자괴 시너지를 자신의 기믹으로 이을 수 있는 테마다. 비서스가 튜너이며, [[비서스=암리타라]] 또한 마나둠과 비서스의 조합으로 쉽게 소환할 수 있어 비서스 덱의 전개의 초반을 담당할 수 있다. 티아라멘츠는 굳이 비서스가 필요하지 않으니 제외하고, 비서스를 덱으로 구축한다면 스케어클로와 마나둠을 중심으로 구축하게 된다. 마나둠으로 전개를 시작하거나, 비서스를 베끼면서 [[히어로 얼라이브|카드 1장]]으로 소환권 없이 덱에서 꺼낼 수 있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전개를 시작하거나 해서 스케어클로를 거치면 꽤나 괄목한 결과물을 낼 수 있다. 이 경우는 마나둠이 주 전개 파츠이니, 마나둠 덱으로 분류된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2 === 이들은 비서스와 궁합이 좋은 [[마나둠]] 튜너들로, 비서스가 있을 때 자체적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며, 파괴 시 동명의 튜너들을 리크루트하는 효과가 있다. ==== [[마나둠#마나둠 히어리스|마나둠 히어리스]] ==== 공격력을 올려주는 마나둠 튜너. ==== [[마나둠#마나둠 미크|마나둠 미크]] ==== 레벨을 올려주는 마나둠 튜너. ==== [[마나둠#마나둠 토리드|마나둠 토리드]] ==== 동명의 카드뿐만 아니라 다른 마나둠 튜너들을 리크루트 할 수 있는 마나둠 튜너. === 레벨 4 === ==== [[비서스=삼사라]] ==== === 레벨 6 === ==== [[비서스=스타프로스트]]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8 === ==== [[베다=카란타]] ==== == 융합 몬스터 == === 레벨 8 === ==== [[비셔스=아스트라우드]] ==== 비서스와 하트의 융합체. == 싱크로 몬스터 (튜너) == === 레벨 8 === ==== [[비서스=암리타라]] ==== 비서스의 각성 형태. == 싱크로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10 === ==== [[마나둠 프라임하트]] ==== [[마나둠]]의 에이스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묘지/제외 존의 비서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 ==== [[스케어클로]]의 1링크 몬스터로 비서스를 소재로 소환할 수 있으며, 필드에 비서스가 있으면 소생이 가능하다. ==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노바|스케어클로 노바]] ==== 비서스를 묘지에서 소생시킬 수 있는 마법 카드. ==== [[스케어클로#디클라인 스케어클로|디클라인 스케어클로]] ====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상대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뒤집을 수 있는 효과가 생기는 [[사세괴=라이포비아]] 샐비지 카드.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그리프|티아라멘츠 그리프]] ==== 덱/묘지의 비서스를 특수 소환하고, 필드의 빛 속성 혹은 전사족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는 마법 카드. ==== [[마나둠#마나둠 이매진|마나둠 이매진]] ==== 비서스를 패에서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는 멀리건 카드. ==== [[마나둠#마나둠 앱시전|마나둠 앱시전]] ==== 패에서 비서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오세괴=칼라리움]] 서치 카드. ==== 세괴동심 ==== [[파일:世壊同心.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세괴동심, 일어판명칭=世壊同心(せかいどうしん), 영어판명칭=Realm Resona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 자신 묘지에서 공격력 1500 / 수비력 2100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 자신의 필드(앞면 표시) / 묘지 / 제외 상태인\, "비서스=스타프로스트" 1장과 공격력 1500 / 수비력 2100의 몬스터 4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비서스"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다음과 같은 효과 중 1개를 쓸 수 있는 카드. * 첫 번째는 공격력 1500 / 수비력 2100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비서스와 시너지가 있는 하트 몬스터들을 소생하게 될 것이다. 사실상 하트 시리즈만 소생 가능한 대신 라이히하트 외의 하트도 소환할 수 있게 된 스케어클로 노바지만, 스케어클로 링크 몬스터의 파괴를 1회 막아주는 노바와는 달리 묘지에서의 부가효과가 딱히 없고 노바 자체도 3장 풀꽉하는 카드까진 아니다보니 4번째 노바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카드는 아니다. * 두 번째는 비서스와 공격력 1500 / 수비력 2100 몬스터 4장을 되돌리고 "비서스"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일단은 해당되는 몬스터가 비서스=암리타라 뿐이며, 비서스=암리타라는 강력하지만 소환의 난이도는 굳이 이런 고생이 필요없이 간단한 편이라서 실용성 자체는 낮은 편. 전반적으로 최소 2종류, 어지간하면 3~4종류의 하트 몬스터를 전부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하는 카드인데, 개중 [[티아라멘츠]]와 [[크샤트리라]]는 비서스나 다른 세괴와 섞어서 쓸 메리트가 떨어지는 카드군인 탓에 이런 환경이 갖춰질 상황 자체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 어느 덱에서든 채용이 거진 불가능한, 스토리 진행용 카드라는 의견이 주. 다만 "비서스" 싱크로 몬스터라고 언급한 시점에서 다른 비서스 싱크로 몬스터가 등장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므로, 좀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해선 이후의 카드가 발매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일러스트는 [[식무변세괴]] 이후의 비서스를 다루며, 비서스에게 다시 [[스케어클로|녹색]], [[티아라멘츠|청색]], [[크샤트리라|적색]], [[마나둠|황색]] 구체가 모이고 있는 장면이다. 이후 신세괴가 생겨난 모양. 동심은 마음을 같이 하다라는 뜻이 있으며, 네 가지 하트의 힘을 모으는 장면으로 추정되는데 하트는 마음이라는 뜻도 있다. 또한 2번 효과로 네 가지 하트의 힘을 모아 비서스=암리타라가 된 설정을 재현할 수 있다. ==== [[베다(유희왕)#세괴만가|세괴만가]] ==== === 속공 마법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스트래들|스케어클로 스트래들]] ==== 비서스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의 퍼미션을 가진 마법 카드.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하트비츠|티아라멘츠 하트비츠]] ====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마법/함정 2장을 덱으로 바운스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기는 마법/함정 바운스 카드. ==== [[크샤트리라#크샤트리라 아크스트라|크샤트리라 아크스트라]] ==== 크샤트리라 엑시즈 몬스터가 파괴될 때 비서스를 소재로 [[비셔스=아스트라우드]]를 소환할 수 있는 마법 카드. ==== [[베다(유희왕)#세괴찬가|세괴찬가]] ==== === 지속 마법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디팡|스케어클로 디팡]] ==== 비서스에게 효과 파괴 내성/효과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마법 카드.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스크림|티아라멘츠 스크림]] ==== 몬스터가 소환될 때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덤핑할 수 있는 랜덤 덤핑 카드. === 필드 마법 === 크샤트리라의 [[육세괴=파라이조스]]를 제외한 모든 "세괴" 필드 마법은 전부 비서스를 지정한다. ==== [[사세괴=라이포비아]] ==== [[스케어클로]] 전용 필드 마법. ==== [[일세괴=페를레이노]] ==== [[티아라멘츠]] 전용 필드 마법. ==== [[오세괴=칼라리움]] ==== [[마나둠]] 전용 필드 마법. ==== 신세괴=암리타라 ==== [include(틀:뉴 클리어 월드 스토리 등장 세괴)] [[파일:新世壊=アムリター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신세괴=암리타라, 일어판명칭=新世壊(しんせかい)=アムリターラ, 영어판명칭=New World - Amritara, 효과외1=필드에 "비서스=스타프로스트"가 존재할 경우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 그 중의 1장을 자신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 그 중의 1장의 공격력의 절반만큼\, 필드의 튜너 1장의 공격력을 올린다., 효과4=● 그 중의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효과5=● 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 묘지에서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비서스의 "세괴". 비서스가 필드에 존재해야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에 비서스가 있어도 발동할 수 있지만, 되도록이면 자신 필드의 비서스를 마련할 것이다. 덕분에 비서스를 필드에 낼 수 없을 때 이 카드를 잡게 되면 말릴 가능성도 있다. 어차피 서치 방법은 많으므로, 매수를 많이 넣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무대회전]]을 통해 상대필드에 넘겨주면 상대가 비서스를 사용하는 덱이 아닌이상 필드 마법존을 걸어 잠가버릴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아래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비서스를 주력으로 채용하는 덱은 카드를 효과로 파괴할 일이 많다보니 자연스레 충족되며 특히 [[마나둠]]은 기믹이 충돌하는 [[오세괴=칼라리움]]의 대신이 되어줄 수 있을 정도로 유용하다. * 첫 번째 효과는 자신 필드에 수비 표시로 그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수비 표시로 소생하니 링크 몬스터는 소생하지 못한다. * 두 번째 효과는 튜너의 타점 상승. 다만 튜너는 대개 소재로 쓸 걸 상정하다 보니 스탯이 그렇게까지 높지 않아, 이 효과를 적용받아도 비서스급의 타점이 아니라면 튜너의 공격력이 매우 막대해질 일은 거의 없다. * 세 번째 효과는 덱 맨 밑으로 돌리고 1드로우. 무난하게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좋은 효과다. * 네 번째 효과는 묘지의 필드 마법 샐비지. 이 카드와 파괴된 몬스터까지 최소 2:1 교환이다 보니 디스어드밴티지지만 필드 마법이라면 아무 거나 샐비지할 수 있다. 이름인 "암리타라"는 [[암리타]]와 [[타라#तारा]]라는 단어 2개를 합친 것으로 추정된다. 암리타 (अमृत)는 산스크리트어로 '불사'라는 뜻이고, 타라 (तारा)는 산스크리트어로 '별'을 의미한다.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트윈소우|스케어클로 트윈소우]] ====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스케어클로 1장을 코스트로 상대 몬스터 2장을 제외시키는 효과가 생기는 스케어클로 전용 [[갓버드 어택]].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메타노이즈|티아라멘츠 메타노이즈]] ====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달의 서]]를 적용함과 동시에 티아라멘츠 몬스터를 덤핑할 수 있는 카드. ==== [[마나둠#마나둠 브레이크하트|마나둠 브레이크하트]] ==== 비서스에게 1회성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카드. 이 카드 효과로 비서스를 소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는 공격력 2100 이하의 몬스터를 견제할 수도 있다. ==== [[트리비카르마]] ==== ==== [[식무변세괴]] ==== ==== 신세괴성겁 ==== [[파일:新世壊成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신세괴성겁, 일어판명칭=新世壊成劫(しんせかいじょうこう), 영어판명칭=New World Form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비서스=스타프로스트"의 카드명이 쓰여진 자신 묘지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속공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했을 경우\, 그 카드는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신세괴성겁"이 아닌\, "비서스=스타프로스트"의 카드명이 쓰여진 자신 묘지의 마법 / 함정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①의 효과는 비서스 이름이 기재된 마법 / 함정 카드들을 세트하는 효과. 게다가 속공 마법이나 함정 또한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어 자신 턴이라면 모두 즉발적으로 발동이 가능하며, 속공이나 함정 또한 상대 턴에도 견제로써 작용한다. [[스케어클로]], [[티아라멘츠]], [[마나둠]] 전부 마법 / 함정을 통한 견제에 능통한 덱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상대를 강력하게 견제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비서스 이름이 기재된 마법 / 함정 카드 3장을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 이들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보다시피 전부 묘지에 비서스 이름이 기재된 마법 / 함정 카드들이 있을 필요가 있는 효과. 따라서 첫 패에 잡혔고 ①의 효과를 발동할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면 그저 말림패에 불과할 것이다. 다행스럽게 이 카드는 서치가 가능하므로 그렇게 많이 넣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성겁은 불교의 사겁 중 하나로, 사겁은 세계가 처음 생기는 기간인 성겁, 세계가 존재하는 기간인 주겁, 세계가 파괴되는 기간인 괴겁, 세계가 없어져 아무것도 없는 기간인 공겁의 네 가지로 나뉘는데, 성겁이라는 이름답게 신세괴=암리타라의 창조를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신세괴는 사세괴의 숲, 일세괴의 호수, 오세괴의 나무, 육세괴의 붉은 건물 등 지금까지의 모든 세괴의 요소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 [[베다(유희왕)#샤르브 사르가|샤르브 사르가]] ==== ==== 로카 삼사라 ==== [[파일:世壊輪廻.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로카 삼사라, 일어판명칭=世壊輪廻(ローカ・サンサーラ), 영어판명칭=Loka Samsara,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비서스=스타프로스트" 1장을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공격력 3000 의 "하트"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1번밖에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엔드 페이즈에 뒷면으로 제외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세괴윤회'라 쓰고 '로카 삼사라'라고 읽는다.[* 로카(लोक)는 산스크리트어도 세계, 우주, 차원을 뜻하고 삼사라는 윤회를 뜻한다.] 처음으로 비서스의 분신들을 공격력 1500, 수비력 2100의 스테이터스가 아니라 하트라는 이름으로 지정하는 카드이다. [* 공격력 3000이라고 별도로 지정한 건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나 [[No.82 하트랜드라코 ]]같은 경우가 있기 때문 별 수 없었던 모양.] 효과를 요약하면 필드의 비서스를 강화형 하트로 일시적으로 바꾸는 효과이다. 비록 효과는 1번밖에 못 쓰고 턴 종료 시 뒷면 제외되지만, 지속 효과는 턴 내내 적용되기에 어태커적인 면모가 강하고 싱크로로 뽑는 것이 전제인 [[마나둠 프라임하트]]를 빼면 각각 [[스케어클로 트라이히하트]]의 유사 [[이수마수 바구스카]]록, [[티아라멘츠 카레이드하트]]의 덱바운스,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의 [[매크로 코스모스]] 등 나름 강력한 견제를 걸 수 있다. 다만 서치 수단이 암라타라 정도로 한정되어 있는데다, 원래는 필드에 유지시키는 것이 좋을 하트들을 잠시 벽처럼 세우는 정도로 써야 하고 이들이 원래 쓰던 덱이 아니면 뽑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의 소환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카드로 쓰는 것 외에는 다른 활용을 못 하는 카드가 엑덱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점이 채용을 고민하게 만든다. 일단 암라타라를 통해 가지고 올 착지점이나 추가 견제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다. 일러스트는 비서스의 다양한 모습과 분신인 하트들을 보는 베다. 이걸 보고 베다를 비서스 사생팬으로 취급하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7-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GOV-JP073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AGE OF OVERLO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지속 함정 === ====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스크래시|스케어클로 스크래시]] ==== 비서스를 수비 표시로 공격할 수 있게 하는 함정 카드. 추가적으로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스케어클로 몬스터가 있으면 퍼미션 효과로도 기능한다.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사리크|티아라멘츠 사리크]] ==== 비서스가 필드에 있으면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를 프리 체인으로 무효화시킬 수 있는 카드. ==== 별이 가득한 신세괴 ==== [[파일:星満ちる新世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별이 가득한 신세괴, 일어판명칭=星満(ほしみ)ちる新世壊(しんせかい), 영어판명칭=New World Star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비서스=스타프로스트"가 존재하는 한\, 자신 몬스터는 각각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비서스=스타프로스트"가 존재할 경우\, 자신 엔드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가 존재할 경우\, 덱으로 되돌리지 않고 패에 넣을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몬스터 전원에게 적용되는 1회 전투 파괴 내성. [[충혹마#충혹의 동산|충혹의 동산]]이 가지고 있는 내성이며 전선 유지에 도움이 된다. ②의 효과는 비서스가 존재할 경우 엔드 페이즈마다 묘지의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가 있다면 패에 넣을 수도 있다. 소모가 꽤나 격렬한 [[마나둠]]과의 궁합이 좋을 것이다. [[비서스=암리타라]]가 이 조건을 만족시킨다. 일러스트는 [[비서스=암리타라]]에게 복종하는 [[크샤트리라#크샤트리라 유니콘|크샤트리라 유니콘]],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루루칼로스|티아라멘츠 루루칼로스]], [[스케어클로#스케어클로 아스트라|스케어클로 아스트라]]. 뒤의 칼라리움의 거목의 [[마나둠]]들도 보인다. === 카운터 함정 === ==== [[티아라멘츠#티아라멘츠 크라임|티아라멘츠 크라임]] ==== 비서스가 필드에 있을 때 패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면서 격발시킬 수 있는 퍼미션 카드. ==== [[마나둠#마나둠 리프레이밍|마나둠 리프레이밍]] ==== 싱크로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하면 격발시킬 수 있는 퍼미션 카드. 비서스가 있으면 무효화된 카드가 파괴된다. == 관련 카드 == 비서스 세계관과 관련이 깊지만, [[비서스=스타프로스트]]를 지정하지 않는 카드. 이런 카드들은 [[트리비카르마]]/[[비서스=암리타라]] 등의 서포트를 받지 못한다. === [[뉴 클리어 월드]] === === [[기성상]]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서스=스타프로스트, version=257)] [[분류:유희왕/OCG/카드군/서포트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