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리하이 밸리 아이언피그스/로스터)] ---- ||
'''{{{#FFFFFF 비마엘 마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9번}}}''' || || [[블레이크 트라이넨]][br](2017~2019) || {{{+1 →}}} || '''비마엘 마친[br](2020~2021)''' || {{{+1 →}}} || [[앤드류 셰이핀]][br](2021)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1번}}}''' || || [[A.J. 퍽]][br](2019) || {{{+1 →}}} || '''비마엘 마친[br](2021~2022)''' || {{{+1 →}}} || [[쥬리스 파밀리아]][br](202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친.jpg|width=100%]]}}} || ||<-2> '''리하이 밸리 아이언피그스 No.''' || ||<-2> '''{{{+2 비마엘 마친}}}[br]Vimael Machín''' || ||<|2> '''출생''' ||[[1993년]] [[9월 25일]] ([age(1993-09-25)]세) || ||[[푸에르토리코]] 휴마카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include(틀:국기, 속령=푸에르토리코)]) || || '''학력''' ||푸에르토리코 베이스볼 아카데미 - 버지니아 코먼웰스 대학교 || || '''신체''' ||180cm / 83kg || || '''포지션''' ||[[내야수]][* 3루수, 2루수를 주로 본다. 마이너에서는 1루수와 유격수로도 300이닝 넘게 출장하였다.]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29라운드 (전체 893번,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br][[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10라운드]] (전체 293번, [[시카고 컵스|CHC]])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0~2022) || || '''계약''' ||1yr / MiLB || || '''연봉''' ||2023 / MiLB || [목차] [clearfix] == 개요 ==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마이너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고향인 푸에르토리코의 푸에르토리코 베이스볼 아카데미[* 야구선수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야구 커리큘럼과 고교 학업 커리큘럼을 한 번에 제공해주는 비영리 단체이다. 14세부터 18세의 학생들이 재학할 수 있다. [[카를로스 코레아]], [[크리스티안 바스케스]]가 이 학교 출신이다.]에 재학하였다. 이 학교에 재학하며 푸에르토리코의 팔로미노 리그에 참가하였고, .380의 타율을 기록했다. 고교 졸업 후 2011년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29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입단을 거부하고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 첫 시즌이었던 2012년에는 59경기 OPS .734를 기록하였고, 졸업반이었던 2015년에는 65경기에서 .339/.401/.441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컵스마신.jpg|width=100%]]}}} ||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에서 10라운드 전체 293번으로 시카고 컵스에 지명받아 입단하였다. 계약금은 2천불을 수령하였다. 이 해의 입단 동기로는 [[이안 햅]] 등이 있다. 2018~19시즌부터 고향 푸에르토리코의 야구리그에 크리오요스 데 카과스(Criollos de Caguas) 소속으로 참가하고 있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139타석 .314/.413/.449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하였다. 이후 두 시즌 역시 .800이 넘는 OPS를 올렸다. 2019년 컵스 산하 AA와 AAA에서 129경기를 소화하며 .295/.390/.412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했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19 시즌 종료 후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룰5 드래프트/2019년|룰5 드래프트]]로 이적했고, 곧바로 현금트레이드를 통해 오클랜드에 자리를 잡았다. 이적 직후 팀 내 유망주 순위 17위에 이름을 올렸다. 내야 모든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으며, 팀에 부족한 좌타 자원이기때문에 쏠쏠한 백업 및 대타 자원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2020 시즌 ==== 7월 26일, 팀의 시즌 세 번째 경기에서 7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빅리그에 데뷔했다. 그러나 3타수 무안타에 그쳤고, 병살타를 두 개나 때려내며 아쉬움을 자아냈다. 7월 29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는 8번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8월 3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는 8회 말 3루수 대수비로 경기에 투입되었다. 9회 초 9점 앞선 상황 타석에 들어서 볼넷을 기록했다. 데뷔 첫 출루. 이후 [[맷 올슨]]의 적시타 때 홈을 밟으며 데뷔 첫 득점을 기록했다. 8월 11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는 8회 3루 대수비로 들어섰고, 9회 초 선두타자로 타석에 들어섰으나 [[한셀 로블레스]]에게 2루수 땅볼로 물러났다. 8월 15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원정 경기에서 8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였고, 첫 타석부터 [[케빈 가우스먼]]에게 좌전 안타를 뽑아내며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였다. 10타수만에 나온 안타. 다음 타석에서는 삼진으로 물러나며 아쉬움을 삼켰다. 이후 9월 4일부터 네 경기 연속으로 유격수 선발 출장하여 13타수 3안타를 기록했다. 9월 8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홈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8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였는데, 3타수 3안타 1득점을 기록하며 큰 활약을 펼쳤다. 두 번째 타석에서는 [[브래드 피콕]]을 상대로 데뷔 첫 2루타를 뽑아내기도 했다. 이 경기로 타율이 .171에서 .237로 순식간에 크게 올랐다. 시즌 최종 성적은 24경기 71타석 13안타 무홈런, .206/.296/.238이다. ==== 2021 시즌 ==== 내야 유틸리티 백업으로 개막 로스터에 합류하였고, 4월 27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는 땅볼로 커리어 첫 타점을 기록하였다. 5월 14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던 [[채드 핀더]]가 복귀하며 20타수 1안타의 부진한 성적을 남긴 채 AAA로 내려갔다. 마이너에서는 여포짓을 일삼고 있는데, 스몰샘플이지만 5월 23일 현재까지 5경기 19타수 8안타와 .421/.500/.632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하고 있다. 6월 25일, [[마크 칸하]]가 좌측 고관절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오르자 콜업되었다. 그러나 3일만인 6월 28일 옵션되었다. 대신해서 [[프랭크 슈윈델]]이 콜업되었다. 7월 26일 [[앤드류 셰이핀]]이 트레이드로 오클랜드로 이적하고 등번호 39번을 달면서 등번호가 졸지에 없어졌다. 8월 14일 주전 유격수 [[엘비스 앤드루스]]가 셋째 출산으로 잠시 출전명단에서 빠지자 콜업되었다. 등번호는 31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8월 14일과 15일 치러진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연전에서 선발 출장하여 5타수 1안타 2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은 .077이 되었다. 8월 17일 앤드루스가 복귀하며 옵션되었다. 9월 26일 [[엘비스 앤드루스]]가 전날 왼쪽 [[종아리뼈]] 부상으로 IL에 오르자 콜업되었다. 앤드루스는 시즌아웃이 확실시되기에 마친은 시즌 끝까지 엔트리에 남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경기에서 6회 초 [[조시 해리슨]]의 대수비로 출장하였다. 7회 첫 타석에서는 무사 1,2루에서 무난히 번트를 성공시켰다. 동점상황 9회 말에는 무사 1루에서 푸쉬번트를 댔고, 높이 떴으나 1루수 [[율리 구리엘]]이 다이빙캐치에 실패하며 번트안타가 되었다. 이후 끝내기의 발판이 되었다. 1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시즌 타율 .138, OPS .357로 올랐다. 10월 1일 장염으로 인해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대신하여 [[피트 코즈마]]가 콜업되었다. 시즌 종료 시까지 돌아오지 못했다. 최종 성적은 39경기 37타석 4안타 무홈런 1타점 10삼진, .125/.200/.125. AAA 성적은 89경기 11홈런 72삼진 .295/.389/.479. ==== 2022 시즌 ==== 개막을 앞둔 4월 4일,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산하 AAA팀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로 계약이 이관되었다. 지난 시즌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시범경기에서도 부진해서 이러한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케빈 스미스]], [[쉘든 노이지]] 등이 대신하여 내야 유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4월 20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AAA팀 엘파소 치와와스와의 경기에서 [[리스 카니어]]를 상대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하였다. 4타수 3안타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5월에는 부진했으나 6월 1일부터 16일까지 13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만들며 호성적을 이어갔다. 6월 19일 엘파소 치와와스와의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2루타 2개 3타점으로 팀의 한 점차 신승을 견인했다. 시즌 타율은 .320, OPS는 .841로 상승했다. AAA에서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고, 결국 6월 30일 다시 빅리그로 콜업되었다. 7월 4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 7번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해 4회 초 [[키케 에르난데스]]의 안타성 타구를 다이빙 캐치로 잡고 완벽한 송구로 연결하며 이닝을 끝냈다. 타석에선 2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하였다. 나쁘지 않은 타격 컨디션을 보여주어 7월 8일부터는 1번타자로 출장하기 시작했다. 7월 10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홈 경기에서 6점 뒤진 8회 말 [[필 메이튼]]을 상대로 빅리그 첫 홈런을 기록했다. 7월 15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4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5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이어갔다. 3루에서의 깔끔한 수비는 덤. 7월 17일 5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꽁꽁 묶이며 타율이 .205까지 떨어졌다. 라인드라이브 타구만 4개가 나오며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10월 2일, 아들의 출산으로 경조사 명단에 올라 정규시즌 세 경기를 앞두고 고국으로 돌아가며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 12월 12일, [[션 머피]] 삼각 트레이드로 [[카일 뮬러]], [[에스테우리 루이즈]], [[프레디 타녹]], [[매니 피냐]]가 영입되어 40인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지명할당되었다. 이후 산하 AAA팀으로 계약이 이관되었다가 12월 20일 FA 신분이 되었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3년 전 룰5 드래프트에서 자신을 지명했던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비마엘 마친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OPS+ || fWAR || bWAR || || 2020 ||<|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24 || 71 || 13 || 2 || 0 || 0 || 11 || 0 || 0 || 8 || 10 || .206 || .296 || .238 || .534 || 53 || -0.2 || -0.3 || || 2021 || 15 || 37 || 4 || 0 || 0 || 0 || 1 || 1 || 0 || 3 || 10 || .125 || .200 || .125 || .325 || -5 || -0.5 || -0.3 || || 2022 || 73 || 253 || 49 || 12 || 0 || 1 || 26 || 13 || 1 || 25 || 47 || .220 || .300 || .287 || .587 || 73 || -0.1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112 || 361 || 66 || 14 || 0 || 1 || 38 || 14 || 1 || 36 || 67 || .208 || .290 || .261 || .551 || 61 || -0.8 || -1.2 || == 여담 == [각주] [[분류:푸에르토리코의 야구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푸에르토리코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