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ilkyClumsyOnerousDust, 합의사항1='비판' 문단과 '논란' 문단을 '비판과 논란' 문단으로 통합하고 하위 서술 또한 통합한다., 토론주소2=SilkyClumsyOnerousDust, 합의사항2='비판과 논란' 문단에는 비디오머그 채널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서술을 모두 허용한다., 토론주소3=SilkyClumsyOnerousDust, 합의사항3='비판과 논란' 문단에 대한 반론 문단을 1개 작성할 수 있다., 토론주소4=SilkyClumsyOnerousDust, 합의사항4='비판과 논란' 문단 이외에서 채널 자체에 대한 비판과 논란을 언급하는 것과 '반론' 문단 이외에서 채널 자체에 대한 비판과 논란을 반박하거나 정정하는 식의 서술은 일절 허용하지 않는다.)] [include(틀:SBS NEWS)] ---- [include(틀:대한민국의 뉴미디어 브랜드)] ---- ||<-2> {{{#350b7b {{{+2 '''비디오머그 - VIDEOMU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비디오머그_프로필_2020.jpg|width=100%]]}}} || || '''채널 개설''' ||[[2016년]] [[3월 29일]] ([dday(2016-03-29)]일) || || '''첫 업로드''' ||[[2016년]] [[8월 22일]] ([dday(2016-08-22)]일) || || '''방송국''' ||[[SBS|[[파일:SBS 로고.svg|width=60]]]] || || '''운영[* 기획&제작&제작&편집 포함]''' ||[[SBS디지털뉴스랩]] || || '''방송 분야''' ||[[미디어|뉴미디어]], [[뉴스]] || || '''구독자''' ||132만명^^(2023.09.05. 기준)^^ || || '''조회수''' ||2,275,095,707회^^(2023.09.05. 기준)^^ || || '''링크''' ||[[http://news.sbs.co.kr/news/videoMugList.do?plink=GNB&cooper=SBSNEWS|[[파일:비디오머그.png|width=24]]]]^^'''(비디오머그)'''^^ [[https://www.youtube.com/channel/UCMEbRpvuwTbXxGiyDb1mT8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비디오머그 - VIDEOMUG)'''^^[br][[https://twitter.com/videomug_sb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 [[https://ko-kr.facebook.com/videomu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story.kakao.com/ch/videomug|[[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height=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는 것이 믿는 것, 비디오머그 VIDEOMUG[br]비디오머그는 국내외 다양한 스토리와 뉴스를 감각적인 영상과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으로 전달하는 No.1 소셜 동영상 미디어입니다.''' 2012년 6월 5일, [[SBS NEWS]]에서 시작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등 SNS에서 제공하고 있는 뉴미디어 브랜드이다. 주로 내용은 TV에서 방영되었던 소식을 자막뉴스 형태로 알려주거나, 정치나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팝업뉴스 형식으로 보내고 있다. == 코너 ==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djN7-cQEx8o91TN3znJhlS|워싱턴인사이트]]''' - [[미국]]의 다양한 문제적 현장에서 세상을 보다! (ft.SBS [[김수형]] 워싱턴 특파원)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f-n7iBWN3JE5jXWjrYg-A_|비머실록]]''' - 어제와 오늘을 잇는 웰메이드 미니 [[다큐멘터리|다큐]]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ffcx2WKLI16Oca6cRr5qFv|비머in우크라이나]]'''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eH_54ar6VHbAKloWR4tTp9|비머 오리지널 - 이슈 탐사]]''' - SBS탐사부와 비디오머그의 콜라보|이슈의 이면(裏面)을 파헤치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fo1Z2MQ83CAeTYJIDsY9xR|비머 Q&A |아는 게 힘이다]]''' - 알아두면 '쓸데 있는' 정보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eO5fFVK63VTcASCNcwqfBB|비머 팩트체크 | 사실은+마부작침]]''' - 진짜 이거 맞아? [[팩트|확실하게 짚어드립니다]]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8zNPMaG8KfDJWs6PqgEBuoJwHMtmYCo|비머 인터뷰 | 사람을 만나다]]''' - 비디오머그에 털어놓는 솔직한 이야기 [[SBS]]의 TV 뉴스 프로그램에서도 비디오머그를 자주 활용하고 있다. [[SBS]] [[모닝와이드]]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자들을 위해 [[뭘스트리트]] 채널을 따로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 진행자와 전문가가 1:1로 문답하는 방식인데, 진행자의 예리한 질문에 대해서 호평이 많은 편. 매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오후 6시에 라이브를 진행한다.[* 라이브는 뭘스트리트 채널이 아닌 [[https://www.youtube.com/user/sbsnews8|SBS뉴스 채널]] 계정에서 진행하는데 가끔 SBS 모바일24에 재방송 되는 경우도 있다.] [[스포츠]] 관련 영상들도 제작하는데 퀄리티가 좋고 조회수도 높다. 이후 [[스포츠머그]]라는 새 채널로 분리됐다 == 특징 == SBS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성향만 따지자면 형제격인 [[스브스뉴스]]와 공통점을 많이 보이고 있었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논란 및 비판 항목 참고. 젠더 문제와 관련해서 평소에는 [[페미니즘]] 성향의 논조를 취하고 보도를 많이 하는 스브스뉴스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성향을 보이면서 업로드되는 동영상이 대다수 존재한다. [[배리나]] 질문 이벤트를 했는데 상당히 여론이 좋지 않고, 악플과 비판적인 논조의 리플을 삭제하였다. 다만 [[https://www.youtube.com/watch?v=071-2tKcaR8|TBS]]나 [[https://www.youtube.com/watch?v=vF-QY7-wCh0|세계일보]]등을 제외하면 주요 언론과의 인터뷰가 거의 없었던 [[오세라비]] 작가와의 [[https://www.youtube.com/watch?v=MHyc-6mU6Aw|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5Z0XAnXu-ZI|영상]]도 존재하고 [[https://www.youtube.com/watch?v=tkCp3N7SuiQ|남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자 영상]]도 보여주는 등 스브스뉴스와의 차이점도 다소 갖고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남북 정상회담때 주로 핵 문제나 남북 관계, 북미 관계 등의 무거운 정치적 내용보다는 [[https://m.youtube.com/watch?v=Xo9W9gSPy8Y|남북정상회담]]이나 [[https://m.youtube.com/watch?v=1sCx86sB7TY|북러정상회담]]에서의 발언, [[https://m.youtube.com/watch?v=upaOLvpygkA|리설주와의 관계]] 등 김정은 개인의 발언, 행보에 대한 영상에서 특히 많이 드러나는데 이러한 영상들을 통해 김정은의 독재, 인권 탄압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시켜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중국]]에 대해서는 중국의 열병식 영상을 올리면서 '트럼프, 보고있나?'라며 자극적인 제목을 다는 등[[https://www.youtube.com/watch?v=yOT6iYpf264|#]] 모습을 보이다가 [[코로나 19]] 사태 이후에는 [[리원량]] 열사를 추모하는 [[https://www.youtube.com/watch?v=LsU95yGfrw4|영상]]을 올리거나 미국 정부를 향해 자기는 입국 제한을 풀고 한국, 일본부터 제한하라는 중국 기자의 황당한 발언을 비판하는 [[https://www.youtube.com/watch?v=htZDQWgoCyk|영상]], 그리고 중국인들이 중국 공산당의 대처를 비판하다 소리소문없이 사라지는 중국의 실태에 대해 [[시진핑핑이]] 드립까지 치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fxCmf_WrizM|비판]]하며, 중국의 국가법 제정에서 [[https://youtu.be/y78c4X5FZn0|곰돌이 푸]] 드립 등을 하였다. 조회수만 높일 수 있다면 어느 쪽이든 성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극적인 내용을 내보낸다는 점에서 [[인사이트(언론)|인사이트]]와 유사하다. [[슈퍼 마리오 월드]]나 드라마 [[야인시대]]의 효과음을 자주 사용한다. 특히, 야인시대와 관련된 요소는 섬네일이나 영상에도 자주 등장하는 편. == [[비디오머그/논란 및 비판|논란 및 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디오머그/논란 및 비판)] == 여담 == * [[스브스뉴스]]와 같은 19층을 쓴다[* [[https://youtu.be/5YrWCRX6gsQ|비디오머그와 스브스뉴스의 콜라보 영상]]] * [[2019년]] 새 [[애국가]] 영상에 영상자료를 기증했다[* [[https://youtu.be/RLvrBN-g0rI]]] * 2021년 4월 구독자 100만을 돌파했다 [youtube(vmrNuMh26qs)] * [[모병제]]vs[[징병제]] 영상에서 나무위키를 '''온라인 백과사전 나무위키''' 라고 언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fcPEnoL1jNo|#]] == 관련 문서 == * [[SBS디지털뉴스랩]] * [[스포츠머그]] * [[뭘스트리트]] * [[엠빅뉴스]] * [[스브스뉴스]] * [[SBS NEWS]] [[분류:SBS NEWS]][[분류:SBS 유튜브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