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유선통신)]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비대칭형 인터넷 환경 속도측정.jpg|width=100%]]}}}|| || 500 Mbps 급 비대칭형 인터넷 환경의 속도측정치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1162|'''통신사 꼼수에 속고 계셨습니다 : 대칭형 vs 비대칭형''']] [[통신 회사]]나 [[케이블 방송]] 사업자(SO)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한 통신 회선은 대칭형과 비대칭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비대칭형 회선은 대칭형 회선에 비해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이 낮지만 통신 회사에서는 이를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비대칭형 인터넷에 대칭형 인터넷과 같은 요금을 청구하며 소비자는 이를 알던 모르던 결국에는 낮은 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가장 큰 논란의 대상은 메이저 통신사인 [[SK브로드밴드]]와 [[LG U+]]이다. 이 둘은 2023년 기준으로도 [[HFC]]망을 이용한 인터넷이 공급되는 지역이 매우 많은 편. [[KT]]와 [[남인천방송]]은 [[HFC]]를 사용하지 않고 [[VDSL]] 혹은 [[FTTx]]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큰 논란은 없다.[* [[VDSL]] 기술을 기반으로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KT GiGA Wire에 한해 비대칭으로 제공되긴 하지만, 2020년대 기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속도 측정 시 비대칭 비율이 [[HFC]]망으로 구축된 인터넷 회선에 비하면 천지차이급으로 그리 심하지 않고, 완공된지 오래되어 [[광 케이블]]을 인입할 수 없는 건물에서만(예: 2000년대 이전에 완공된 아파트나 빌라 등) 어쩔 수 없이 서비스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납 가능한 수준이다.] == 비대칭형 회선에 대한 기술적 설명 ==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망은 다운로드 데이터량이 업로드 데이터량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다. 예를 들어 1988년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인 [[ADSL]]도 이름부터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인만큼 일반적으로는 [[유튜브]]나 [[넷플릭스]]같은 [[OTT]] 동영상 서비스나 [[IPTV]]를 이용하게 되면 업로드는 단순히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패킷을 보내는데에만 사용된다. 이런 이유로 다운로드 대역폭을 업로드 대역폭보다 더 넒게 책정한 방식이 비대칭형 인터넷이다. 전화선을 사용하는 [[ADSL]]과 [[VDSL]], 그리고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HFC]]가 대표적인 비대칭형 인터넷 방식이지만 사실 [[FTTH]]도 비대칭형 인터넷 방식이 존재한다. [[PON(네트워크)|G-PON]]의 경우 하향 약 2.5 Gbps, 상향 약 1.25 G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며[* [[SK브로드밴드]]가 이 기술을 이용해서 기가 인터넷과 2.5 Gbps급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10기가 인터넷]]에 사용되는 10G-EPON과 XG-PON에도 하향 10 Gbps, 상향 1 Gbps의 비대칭 모드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PON(네트워크)]] 문서를 참고하자. 참고로 비대칭형 인터넷 서비스라고 하더라도 [[광 케이블]]을 사용하는 [[FTTH]]로 구축된 환경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대칭형 인터넷 서비스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HFC]]망으로 구축되어 빠른 응답 속도와 안정적인 통신 환경이 필요한 [[온라인 게임]]이나 [[주식]] 거래 등을 이용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020년부터 대유행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재택근무]]와 [[원격 수업]]이 본격화 되고 [[유튜브]] 컨텐츠 업로드와 [[트위치]] 스트리밍 등 다운로드 뿐만 아니라 업로드도 중요한 시대가 도래하자 논란이 크게 불거졌다. == 비대칭형 회선의 문제점 == 비대칭형 회선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같은 비용을 지불하고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FTTH]]로 구축된 대칭형 회선이 설치된 건물에서는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같은 비율로 제공되는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인터넷 품질을 제공하지만 xDSL나 [[HFC]]로 구축된 비대칭형 회선이 설치된 건물에서는 다운로드 속도가 상품 고지 속도만큼 나와도 업로드 속도와 인터넷 품질이 형편없다. [[광 케이블]]을 사용한 [[FTTx]] 방식과 달리 전화선을 이용한 xDSL 방식이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HFC]] 방식은 구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광 케이블에 비해 외부에서 간섭하는 노이즈에 취약하다. 이 때문에 [[핑]](Ping, 지연 속도)이 튀는 것은 물론 인터넷 속도도 [[FTTH]] 인터넷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통신 회사는 이에 대해 고객이 항의를 하면 "'''고지할 의무가 없다, 정부지침에 따르겠다.'''"는 원론적인 말로 답변을 회피하기 때문에, 이 사실을 모르고 가입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도 큰 문제점이다. === 왜 아직도 사용하는가? === 1990년대 말,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인 [[두루넷]]을 시작으로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당시 두루넷은 본 문서에서 끊임 없이 언급하고 있는 [[HFC]] 망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구축에 나섰으며, 이에 당시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였던 [[파워콤]]과 [[LG]]의 자회사였던 [[데이콤]]도 질세라 HFC 망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구축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하나로통신]](현 [[SK브로드밴드]])은 전화선을 이용한 [[ADSL]]로 [[초고속 인터넷]] 시장에 발을 들이기 시작했지만, ADSL로는 한계가 있다 싶었는지 하나로통신에서도 [[HFC]] 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하나로통신 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케이블 TV]] 사업자들도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가망을 구축하고, 기존에 이미 제공하고 있던 [[케이블 TV]] 서비스 인프라를 이용해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해나간다. 이처럼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HFC]] 인터넷 서비스가 전화선을 사용한 [[ADSL]] 방식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를 구현해낼 수 있는 훨씬 합리적인 인터넷 제공 방식이'''었'''다. 참고로 이 시기에 한국통신(현 [[KT]])은 [[ISDN]]에서 큰 실패를 겪고 [[HFC]] 망을 구축하지 않고, 바로 전국토에 [[광 케이블]]을 무서운 속도로 깔기 시작하여 산간벽지까지 [[FTTH]]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대 후반, [[KT]]에서 [[광 케이블]]을 이용해 통신하는 [[FTTH]] 방식을 상용화하자 [[하나로텔레콤]](현 [[SK브로드밴드]])과 [[LG데이콤]]과 [[LG파워콤]](현 [[LG U+]])에서도 [[FTTx]] 방식을 상용화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HFC]]에서 [[FTTH]]로 전환하는 과정은 막대한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했고, 이에 부담감을 느낀 [[통신 회사]]들과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들은 FTTx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그나마 2006년에 DOCSIS 3.0 규격이 제정되고 곧 이어 DOCSIS 3.0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들이 출시되면서 FTTx 구축에 비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다운로드 속도라도 100 Mbps급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되자 발빠르게 신형 장비를 도입했다. 이후 2013년 DOCSIS 3.1 규격이 제정되면서 이론상 대칭형 기가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러나 이 사진이 표지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통신 회사에서 HFC망으로 대칭형 기가 인터넷을 제공하는 일은 없었다]]. [[HFC]]망에서 DOCSIS 3.1을 이용해 대칭형 [[기가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신 회사에서 설치한 HFC 장비는 물론 고객이 사용하는 HFC [[모뎀]]도 전부 교체해야한다. 거기다 DOCSIS 3.1 규격의 이론상 최대 속도를 제공하려면 업로드 주파수 대역을 최대폭으로 할당하고 채널 본딩까지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여러 이유로 업로드 대역을 DOCSIS 1.0에서나 사용하던 3.2 MHz 대역폭으로, 그것도 단 한개의 채널로만 구성해 최대 10 Mbps의 속도로 제공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SK브로드밴드]]나 [[LG U+]]처럼 [[동축 케이블]]에 온전히 인터넷 신호만 실어서 전송하거나 신형 HFC망을 구축한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들은 DOCSIS 3.0부터 도입된 채널 본딩으로 업로드 대역도 이론상 100 Mbps급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지만 2020년대 들어 그런 지역도 [[10기가 인터넷]] 제공을 위해 [[FTTH]]망으로 전환되고 있다. 덤으로 이론상 최대 속도를 제공한다고 해도 앞서 언급한 최대 주파수 대역 할당과 채널 본딩은 통신 장비의 추가적인 리소스 소모와 그에 따른 높은 전력 소모와 발열까지 따라온다.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증가는 통신 회사들이 도태되고있는 [[HFC]]망과 장비에 투자하느니 차라리 [[10기가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FTTH]]망 구축에 투자하고 기존 HFC망을 방치하는 악순환을 부른다. [[VDSL]]의 후속 기술인 G.fast와 G.hn도 기술 도입 초창기에는 HFC만큼 비대칭형 논란이 있었지만[* 사실상 업로드는 100 Mbps급을 유지한 채 다운로드만 500 Mbps급을 제공했다.] 기술의 발전으로 2020년대에는 [[FTTH]]로 제공하는 대칭형 500 Mbps급 기가 인터넷의 품질을 보이고 있다. === 최저 속도 보장 제도의 헛점 === [[2021년]] [[KT 10기가 인터넷 속도 저하 사건]]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최저 속도 보장 제도를 제정하여 이용 약관상 인터넷의 다운로드 속도가 상품 고지 속도의 50% 이상이어야하며 SLA 측정 기준 일정 횟수 이상 미달하면 위면해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업로드 속도는 규정에 없기 때문에 HFC망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500 Mbps 인터넷(통칭 반기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속도가 최소 보장 속도인 250 Mbps를 아슬아슬하게 넘어도 업로드 속도는 이론상 최대 속도인 120 Mbps는 커녕 10 Mbps 조차 나오지 않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32077|참고 기사]] 이 경우 위면해지는 어렵다고 봐야한다. 그나마 [[SK브로드밴드]]나 [[LG U+]] 같은 대기업들은 DOCSIS 3.1 장비 구축 이후 단계적으로 이론상 업로드 제공 속도를 100 Mbps [[초고속 인터넷]]급으로 증가시켰지만 [[HFC]]망 특성상 실제로 제공되는 인터넷 업로드 속도는 이론상 최대 속도의 절반 정도 밖에 되지않으며 [[동축 케이블]]에 [[케이블 TV]] 신호까지 전송하는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업로드 속도는 더 열악한 현실이다. == 설치 현황 == [[LG헬로비전]], [[딜라이브]] 등의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들은 기본적으로 [[HFC]]를 통해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말할 것도 없다.[* 다만, [[LG헬로비전]]과 [[SKB 케이블]](구 [[티브로드]]) 같은 경우는 애초에 대기업([[CJ그룹]], [[태광그룹]]) 계열사였던데다 가입자수도 통신사와 견줄 정도로 많았고, 최근에는 통신사에 인수되었기 때문에 타 사업자들에 비해선 가입자용 광 케이블망 보급률이 높은 편이다. 요즘은 각각 [[LG U+]]와 [[SK브로드밴드]]의 광 케이블망을 임차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인터넷 서비스에 전화선과 광 케이블만을 사용하는 [[남인천방송]]은 예외.] 3사 대형 통신사 중 [[HFC]]망을 사용한 통신 회사를 많이 인수한 [[SK브로드밴드]]가 HFC망을 기반으로한 비대칭형 인터넷이 많이 구축되어 있고 [[LG U+]]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LG U+는 2020년에도 [[서울시]] [[강남구]]에 HFC망을 구축한 기이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LG U+는 2026년까지 HFC망을 [[FTTH]]망으로 전부 전환할 예정이라고 한다. [[http://www.work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851|참고 기사]] == 본인이 사용하는 인터넷이 비대칭인지 확인하기 == * 우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벤치비나 [[Speedtest.net]] 등으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여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극명하게 차이가 나는지 확인한다. 업로드 속도가 다운로드 속도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면 비대칭형 회선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 때 반드시 [[UTP 케이블|랜선]]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측정해야 정확도가 올라간다. [[Wi-Fi]]로 측정하게 될 경우, 여러 가지 요소로 손실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 [[모뎀]]에 연결된 인입선을 확인해본다. [[광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면 대칭형이고,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면 비대칭형이다. [[HFC]]망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지름은 8~10mm 정도 되지만, [[FTTH]]망에 사용되는 광 케이블의 지름은 얇으면 2~3mm, 굵어야 5~6mm 밖에 되지않아 동축 케이블에 비하면 매우 가늘다. 광 케이블도, 동축 케이블도 아닌 전화선이 모뎀에 연결되어 있다면 VDSL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이나 G.fast 혹은 G.hn 기술을 이용한 [[기가 인터넷]]이 제공되는 것으로 이 또한 역시 비대칭형 인터넷이 제공될 수 있다. * 인터넷 설치 조회 사이트에서도 파악이 가능하다.[[https://cyber.skbroadband.com/product/join/address/search.do|SK브로드밴드]][* 비대칭형으로 설치되는 지역에는 인터넷 상품 뒤에 (HFC)라고 표기된다.], [[https://www.lguplus.com/support/online/coverage-check|LG U+]][* 비대칭형으로 설치되는 지역에는 인터넷 상품이 기가슬림이나 500M 까지만 표시된다.] == 기피 방법 == * 인터넷 설치 전에 인터넷을 설치할 통신사로 전화를 통해 대칭/비대칭 여부를 확인한다. 단, 상담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전문용어[* 대칭형 - [[FTTH]], 비대칭형 - [[HFC]].]를 사용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이해하기 쉽게 하려면 오히려 풀어서 얘기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 있으나, 대칭형/비대칭형 이렇게 설명하면 이해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는 위에서 언급한 인터넷 설치 조회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2000년대에 설계 및 준공된 아파트에 거주한다면 대부분 집 안에 설치된 단자함[* 주로 현관 두꺼비집 아래에 있다.]에 인터넷 전용선로가 인입되어있어 대칭형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2010년대에 설계 및 준공된 아파트라면 단자함에 [[FTTH]] 선로가 인입되어있어 인터넷 설치 기사가 방문한지 몇십분도 안걸려 인터넷 개통이 가능할 정도다. * [[LG U+]]에 한해, 개인상품이 아닌 SOHO 상품으로 설치 시 망이 구축되어 있거나 망 구축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경우(말단주 등 설치곤란사유 제외) 무조건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단, 사업자 등록이 해당 주소지에 되어있어야 한다. 결합의 경우 제한적으로 가능하나 개인상품에 비해 할인폭은 조금 좁다. == 해결 방법 == 주변에 신축 아파트가 들어선다면 고객 센터에 대칭형 인터넷 구축을 문의해보자. 단독주택이면 거절 당할 확률이 높지만 연립주택이나 구형 아파트같이 해당 통신사의 고객이 많이 살고 있는 환경일 경우에는 대칭형 인터넷을 설치해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사례도 존재한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405100|나만 느린 인터넷, 원인은 ‘대칭·비대칭’?]] - [[머니S]] 기사 * [[http://www.top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65744|빌라서 SKT‧LGU+인터넷 속도 느리고 자주 끊기는 이유]] - 탑데일리 기사 == 여담 == * 비대칭형 인터넷은 무선통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위해 다운로드 속도의 비율을 높히는 쪽으로 발전했기 때문. [[5G]] [[NR]] 기준 다운로드 속도를 1Gbps 이상으로 끌어올렸지만 업로드 속도는 200Mbps도 되지않는다. 만약 500Mbps급 비대칭형 기가 인터넷을 ~~굳이~~ 체험해보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4G]] [[LTE]] 모드로 사용해 보는 방법도 있다. 광대역 LTE-A 기준 핑 약 30ms, 다운로드 속도 약 300Mbps, 업로드 속도 약 50Mbps로 HFC 비대칭형 인터넷과 비슷하다. == 관련 문서 == * [[HFC]] * [[유사광랜]] *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 * [[통신회사/이동통신사의 횡포/한국]] * [[KT 10기가 인터넷 속도 저하 사건]] * [[SK텔레콤]][* [[SK텔레콤]]이 직접 망을 운용하고 설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SK브로드밴드]]의 재판매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래서 [[SK텔레콤]]을 통해 가입된 [[SK브로드밴드]]의 [[HFC]] 회선 가입자수만 '''34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http://www.top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65744|#]]] * [[SK브로드밴드]] * [[B 인터넷]] * [[LG U+]] * [[U+ 인터넷]] * [[LG U+/논란 및 사건 사고]] * [[케이블 인터넷]] * [[LG헬로비전]] * [[딜라이브]] * [[현대HCN]] * [[CMB]] * [[서경방송]] * [[아름방송]] * [[푸른방송]] * [[금강방송]] * [[KCTV제주방송]] * [[KCTV광주방송]] * [[CCS충북방송]] * [[JCN 울산중앙방송]] [[분류:2000년대 사건사고]][[분류:2010년대 사건사고]][[분류:2020년대 사건사고]][[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사건 사고]][[분류:SK브로드밴드]][[분류:SK텔레콤]][[분류:LG U+/논란 및 사건 사고]]